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7:31:58

할림 프르다나쿠스마 국제공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f142b><colcolor=#000,#fff> 자바 <colbgcolor=#f5f5f5,#2d2f34> 국제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 주안다 국제공항 · 케르타자티 국제공항
국내 제네랄 아마드 야니 공항 · 할림 프르다나쿠스마 국제공항
칼리만탄 국제
국내 수파디오 공항
누사 틍가라 국제 응우라라이 국제공항 · 롬복 국제공항
국내 후세인 사스트라네가라 공항
말루쿠 국제
국내
술라웨시 국제 [[삼 라툴랑이 국제공항|삼 라툴랑이 국제공항]] · [[술탄 하사누딘 국제공항|술탄 하사누딘 국제공항]]
국내
수마트라 국제 쿠알라나무 국제공항 · 폴로니아 국제공항
국내 항 나딤 국제공항 · 데파티 아미르 공항
파푸아 국제
국내
}}}}}}}}} ||
'''{{{+2
파일:Halim_Perdanakusuma_Airport_logo.png
파일:Halim_airport.jpg
Halim Perdanakusuma International Airport
공항코드
IATA HLP
ICAO WIHH
주소
자바 자카르타 동자카르타 마카사르
상세
고도 25 m (82 ft)
좌표 북위 6 도 15 분 59 초
동경 106 도 53 분 28 초
운영 시간
24시간
개항일
1985년 4월 6일
활주로
제1 활주로 06/24 (3,000m x 60m)
운영
소유 인도네시아 공군
운영 앙카사 푸라 II (PT Angkasa Pura II)
운영시간 24시간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할림 프르다나쿠스마 국제공항

1. 개요2. 역사3. 운항 노선
3.1. 국내선
4.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 외곽에 있는 국내선 전용 공항이며, 1985년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이 개항하기 전까지 인도네시아의 관문역할을 하던 공항이었다.[1]

공항의 이름은 인도네시아 공군 원수이자 독립운동가이던 할림 프르단쿠스마에서 유래되었다.

2. 역사

1970년대 이전까지 군사 전용 공항이었으나, 1970년대 민간 시설로 전환되었다. 그러다 1991년 인근 탕게랑에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이 완공되면서 다시 군사 시설로 전환되었다. 그러다 수카르노-하타 공항의 혼잡을 줄이기 위해서 2014년에 다시 민간 항공기 운항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공항의 시설은 상업용 항공기를 처리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2] 이 때문에 몇몇 정치인들은 할림 페르다나쿠수마 공항의 운영을 군용에서 공동 사용으로 변경하기로 한 결정을 비판했다. 그들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을 확장한 후, 이 공항을 다시 군용 공항으로 바꾸자고 주장했다. 한국으로 치면 수카르노 하타와 할림 프르다나쿠스마공항의 관계는 인천공항 - 김포 간 관계로 보일 수 있으나 이쪽은 김포보다도 못하다.[3]

3. 운항 노선

3.1. 국내선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바틱 에어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ID 덴파사르/발리, 마카사르, 말랑, 메단, 파당, 팔렘방, 프칸바루, 스마랑, 솔로, 수라바야, 욕야카르타 국제공항
시티링크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QG 발릭파판, 덴파사르, 말랑, 메단, 파당, 팔렘방, 프칸바루, 스마랑, 실랑깃, 솔로, 수라바야, 타식말라야, 욕야카르타 아디수집토

4. 사건사고



[1] 이 점은 대한민국김포국제공항과 유사하다.[2] 이러한 이유로 이쪽발 항공권은 수카르노-하타발보다 더 비싸다.[3] 김포는 국내선 거점 공항 단거리 국제선이 있어서 이쪽보단 훨씬 상황이 낫다. 장기적으로도 도서 지역이나 국제선 확충이 된다면 홍콩, 베트남, 필리핀 등지도 취항 가능성이 높지만 이쪽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에서\ 역사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에서\ 역사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