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a5cc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a5cc3> | }}} | |||||||
{{{#!wiki style="color: #3a5cc3;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급행용 | 보통용 | |||||||
1000계 | 8000계 | 5500계 | 5550계 | ||||||
9000계 | 9300계 | 5700계 | |||||||
퇴역・도입 예정 | |||||||||
3000계 | 7890형 | 5001형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한신 5001형 전동차 Hanshin 5001 series 阪神5001型電車 | }}} | |||
| |||||
외부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4량 1편성 | ||||
운행노선 | | ||||
도입년도 | 1977년 ~ 1981년 | ||||
제작회사 | 무코가와 차량공업 | ||||
소유기관 | 한신 전기철도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 1977년 3월 14일 ~ 2025년 2월 10일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궤간 | 1,435㎜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최고속도 | 설계 110㎞/h 영업 91㎞/h | ||||
가속도 | 4.5㎞/h/s | ||||
감속도 | 5.0㎞/h/s | ||||
전장 | 18,980㎜ | ||||
전폭 | 2,800㎜ | ||||
차체 | 보통 강철 | ||||
대차 | FS-391 | ||||
모터출력 | 190㎾ | ||||
구동장치 |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 ||||
기어비 | 74:13 (5.69) | ||||
제어방식 | 도시바 저항제어 PE30-A1 | ||||
보안장치 | 한신/산요/한큐형 ATS | ||||
제동방식 | HSC-D 전자기 직통 전기 공 병용 억속식 | ||||
MT 비 | 4M 0T | }}}}}}}}} |
1. 개요
한신 전기철도의 보통용 통근형 전동차로, 1977년부터 초대 제트카로써 48년간 운행해온 한신의 초대 제트카이다. 총 4량 편성 8개, 총 32량이 제작되었다.한신 본선과 한신 고베 고속선 및 니시오사카선 내의 보통열차로 운행하다 한신 5700계 전동차의 도입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사양 및 특징
행선지 표시기 설치 이전 |
강철 차체로, 선두차를 개조해서 만든 중간차이기에 선두차와 중간차 간의 전장은 똑같다. 차체는 당시 만들어진 급행용 차량들과 동일하며 무코가와선에서 운용되다 2020년 퇴역해 지금은 무코가와단지에 보존되어 있는 한신 7890형 전동차와도 외관이 같다. 5001형의 운용 초기에는 연결, 분리를 통해 2-4량 편성을 오가며 조성되었기에 전면에 포장을 부착했다. 행선지 표시기 설치 이전에는 전면 운전대 창문 밑에 있는 판걸이에 행선지 방향판을 걸어서 사용했다. 2014년에는 LED 전조등으로 개조가 실시되었다. 하지만 개조를 기다리다 폐차된 편성도 있었다.
측면 문은 한 쪽으로만 열리는 문을 사용하고 있던 당시의 급행용 차량과 다르게 1대 5001계를 이어 양 쪽으로 열리는 문을 채택했다. 차내에는 과거 한신의 표준적인 내장재를 사용하여 천장은 흰색, 바닥과 벽은 올리브색으로 되어있다. 차 내에 별도의 역 안내기가 없어 방송에 의존해야한다.
3. 운용
1977년 3월 14일 운용을 개시했으며, 본선과 니시오사카선의 보통열차 운용에 투입되었다. 본선 및 출퇴근시간대 니시오사카선에서는 4량으로, 니시오사카선에서는 2량으로 운행되고 있었다.한신 아와지 대지진으로 한신 8000계 전동차 등 타 형식에서 폐차가 속출하는 가운데 5001형에서 폐차된 차량은 없었다. 이후 한신난바선의 오사카난바역 연장에 따라 니시오사카선(아마가사키역-니시쿠죠역)에서의 운행을 중단했다. 한신 본선과 한신 고베 고속선 내 보통열차로 운행하다 2021년 5월부터 5700계로의 대차가 시작되어 2025년 2월 10일 마지막 편성인 #5025를 마지막으로 운용을 종료하였다.
4. 여담
한 편, 청동차의 마지막 편성인 #5025의 선두차 중 한 량인 5028F는 현재까지도 아마가사키 차고에 보존되어있다. 마지막 적동차인 7890형의 7890F가 보존 1년 후 무코가와단지의 공원 내에 정태보존된 것처럼 어딘가에 전시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