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02:18:18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성대학교
파일:한성대학교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캠퍼스
상징 역사 사건 사고
||<-4><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4f9f>
학생 정보
||
학사 제도 학교생활 커뮤니티 동아리
입학 기구/언론 출신 인물
기타 정보
교통 (셔틀버스) 한성학원 설립자
}}}}}}}}} ||
파일:한성대학교 미래관.jpg
<colbgcolor=#0A4DA1>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漢城大學校 學術情報館

HANSUNG UNIVERSITY DIGITAL LIBRARY
<colcolor=#fff> 개관 1973년 3월
한성여자대학 도서관
자료 수 781,255책 (2024년)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16길 116 (삼선동2가 389)
규모 지상6층, 지하2층
건설 <colbgcolor=#0A4DA1> 설계 공간그룹
시공 삼성물산 건설부문
홈페이지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지도

1. 개요2. 연혁3. 시설
3.1. 지하1층3.2. 1층3.3. 2층3.4. 3층3.5. 4층3.6. 5층3.7. 6층3.8. 한성 아키비움
4. 운영5. 서비스6. 대출 및 반납

1. 개요

파일:attachment/ha4_ispando.jpg
파일:미래관_야경.jpg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한성대학교대학도서관.

1973년 한성여대 도서관으로 설립되어 1978년 한성대 중앙도서관으로, 2003년 한성대 학술정보관으로 개칭되었다. 과거 창의관에 있었다가 2003년 학술정보관 단독건물로 미래관이 완공되었다. 연구관, 낙산관, 인성관과 함께 공간그룹이 설계를 담당하였고 삼성물산 건설부문에서 시공하였다.

1996년 국내 대학도서관 최초로 전자정보관을 개관하였다. 2001년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상을 수상하였고 2004년에는 한국건축문화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05년 세계도서관정보대회에서 방문도서관으로 선정되었다. 2020년에도 서울소재 대학 중 유일하게 한국도서관상 단체부문을 수상하였다.

2024년 기준 비도서자료, 연속간행물 등을 제외한 순수 장서량은 764,842권으로 단순히 장서량만으로는 많은 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한성대가 단일 캠퍼스인데다 재학생이 1만 명이 채 되지 않는 중소규모 대학임을 감안한다면 학교 규모에 비해서 적지 않은 장서량이다. 재학생 규모가 비슷한 서울여자대학교, 서경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삼육대학교 등보다 많다. 또한 규모보다 생각해야 될 것이 대학의 역사인데, 전술한 대학들보다 수십 년 이상 짧은 역사, 다시 말하면 도서관 설립하고 책 사모으기 시작한 역사가 짧다는 것을 생각하면 대단한 성과다.

정문에 위치해 캠퍼스의 관문 역할을 하는 건물로, 흔히 위압적인 대학도서관의 디자인에서 탈피해 전면부를 모두 유리로 마감하여 개방감을 높였다. 2016년 상상관이 완공되기 전까지 각종 홍보자료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등 랜드마크 역할을 톡톡히 했던 건물로 2004년 건축문화대상 수상 당시 동선설계 및 디자인과 관련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수상 기사
공간그룹 작품소개
설계자 인터뷰

미래관이 학술정보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 문서에서는 학술정보관과 미래관에 관한 내용을 모두 다룬다.

2. 연혁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연혁
1973 한성여자대학 도서관으로 개관
1978 한성대학 중앙도서관으로 개칭
1981 종합관 준공과 함께 종합관 3층으로 이전
1984 학생회관 준공과 함께 학생회관 3~4층으로 이전
1988 완전개가식 체제로 운영
1991 KOLAS 자동화시스템 도입
1993 정보검색실 개관
1994 서울동북부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발족 및 가입
1996 전자정보관 개관
2000 국회도서관과 정보공유협약 체결
서울동북부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제6대 회장교 선임
2001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상 수상
2003 미래관 신축 개관 및 학술정보관으로 명칭 변경
2005 IFLA 주최 세계도서관정보대회 방문도서관 선정
2006 세계도서관대회방문단 방문
2007 대학사료실 개관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제34대 회장교
2010 2010년도 대학도서관 평가 1위 선정(소규모 대학)
SLIMA사용자협의회 제10대 회장교
서울동북부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16대 회장교 선임
성북구청과 '도서관 교류 및 발전을 위한 협약' 체결
2011 장서 50만 권 달성
2013 교육부 주관 '대학기관 평가인'」 학술정보관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 모범사례’ 선정
2015 보존서고 조성
연속간행물실 개실
사대도협 회원간 '일반열람실 상호 이용 프로그램 협정' 체결
2016 한성아키비움 개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 선정
2017 상상커먼스, Design&IT정보센터 개실
2018 성북문화재단과 '도서관 교류 및 발전을 위한 협약' 체결
성북작은도서관네트워크와 '도서관 교류 및 발전을 위한 협약' 체결
국회도서관과 '국가학술정보 클라우드 협력에 관한 업무 협약' 체결
2019 러닝커먼스 개실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상 수상
2020 창의열람실, 집중열람실 개실
한국도서관협회 주관 ‘2020년도 한국도서관상’ 수상
2021 메타버스 도서관 '한성북니버스' 개관
교육부 주관 ‘2020년 대학도서관 평가’ 특성화 평가 1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상 수상
국립중앙도서관 주관 '제15회 도서관 혁신 아이디어 및 우수 현장 사례 공모' 우수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
2022 국립중앙도서관과 지식정보자원 공유 및 도서관 업무 교류에 관한 협약 체결
2023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 8년 연속 선정

3. 시설

6층 Design&IT정보센터 · 하늘정원
5층 인문·자연과학자료실 · 상상커먼스
4층 사회과학자료실 · 집중열람실
3층 어문학자료실 · 러닝커먼스 · 창의열람실
2층 로비 · 정보화팀 · 학술정보팀
1층 디지털스튜디오 · 보존서고 · 학위논문실
지하1층 그라찌에 · 글로벌라운지 · 미디어콘텐츠제작실 · 언어교육센터 · 자유실습실 · 출력센터 · 학생상담센터 · DLC · ELC

하나의 건물이지만 출입구가 두 곳이 있는데, 학술정보관이라 쓰여진 곳과 미래관이라 쓰여진 곳으로 나눠져 있다. 지하(글로벌플라자)나 열람실로 가려면 미래관으로, 그 외 시설은 학술정보관으로 들어가야 한다. 서로 분리되어 있고 엘리베이터도 따로 운행되는 등 아예 단절되어 있는 특이한 구조다.

3.1. 지하1층

글로벌플라자
강의실 · 그라찌에 · 글로벌라운지 · 미디어콘텐츠제작실 · 언어교육센터 · 자유실습실 · 출력센터 · 학생상담센터 · DLC · ELC
글로벌플라자로 불리는 곳으로, 층수상으로는 지하지만 성큰 구조라 지상과도 연결되어 있다. 글로벌라운지는 외국인 교수를 만날 수 있는 곳으로, 교수실과 스터디라운지, 각종 외국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세미나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옆으로 선큰광장과 그라찌에 카페가 있고 맞은편으로는 우촌관과 상상관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있다. 통로 옆으로 인쇄와 복사, 제본 등을 할 수 있는 출력센터와 학생상담센터, 외국인 언어교육원이 자리잡고 있다.

DLC(Digital Learning Center)는 강당으로 각종 강연이나 설명회 등이 진행되는 곳이며 바로 옆에 위치한 ELC(Electronic Learning Class)는 대형 계단식 강의실이다. 안쪽에 첨단강의실과 컴퓨터강의실들이 위치해 있는데 보통 컴퓨터공학부와 문화콘텐츠학과, 부동산학과의 수업이 진행된다.

자유실습실에서는 컴퓨터와 프린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데 매학기 6,000원어치 만큼 무료로 인쇄할 수 있다.

3.2. 1층

디지털스튜디오 · 보존서고 · 학위논문실
건물에 처음 들어가면 나오는 로비를 1층으로 아는 경우가 많지만 그곳은 2층이다.

보존서고는 폐가식 서가로 운영중이니 이곳의 자료를 열람하고자 할 때는 사서에게 따로 문의해야 한다.

이곳에 박물관이 있었다. 대학에서 소장한 농경 유물들을 전시한 농경생활사전시관과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마약 관련 박물관인 마약전시관, 대학과 한성학원의 역사자료들을 전시한 대학사료실로 모두 폐관되었으나 대학사료실은 상상관에 한성아키비움으로 재개장하였다.

3.3. 2층

로비 · 정보화팀 · 학술정보팀
로비에는 대출 및 반납 업무를 진행하는 인포메이션 데스크와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스터디라운지가 마련되어 있고, 학술정보관 행정 업무를 보는 사무실이 위치해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통과하려면 학생증이 필요하다.

3.4. 3층

러닝커먼스 · 어문학자료실 · 창의열람실
파일:창의열람실.jpg
창의열람실
파일:학술정보관3.jpg
어문학자료실

어문학자료실과 자유롭게 공부하거나 독서,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는 러닝커먼스가 있다. 책상과 의자 외에도 눕거나 편하게 앉아있을 수 있는 공간, 빈백 등이 마련되어 있다.

창의열람실은 스터디카페 형식의 열람실로 자율좌석제로 운영되며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과 의자가 있고, 잔잔한 음악도 재생되는 등 자유로운 분위가 조성되어 있다. 규정상 대화도 가능하다. 물론 그렇다고 시끄럽게 하지는 말자.

상상관 2층 상상홀과 구름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3.5. 4층

사회과학자료실 · 집중열람실
파일:학술정보관4.jpg
집중열람실

사회과학자료실과 집중열람실이 조성되어 있다.

집중열람실의 경우 창의열람실과 달리 독서실 형태로 운영하는 전형적인 열람실이다. 키오스크나 학술정보관 홈페이지를 통해 좌석 예약 후 이용 가능하며 정숙한 분위기로 운영하기에 노트북 사용도 금지된다.

집중열람실은 좌석예약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3시간마다 이용시간을 연장해야 한다. 이용종료 30분 전부터 연장이 가능하다.

3.6. 5층

상상커먼스 · 인문·자연과학자료실

상상커먼스는 창의열람실과 비슷하게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독서 및 학습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잡지, 학술지 등이 배치되어 있고, 그룹 스터디룸, 소파 등이 마련되어 있다.

3.7. 6층

Design&IT정보센터 · 하늘정원
파일:학술정보관6.jpg
하늘정원

정보센터는 자료실과 멀티미디어정보실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실에는 IT 및 예술학 분야 자료를 소장하고 있고, 멀티미디어정보실에서는 Blu-ray, DVD, VIDEO, CD, SLIDE 등의 비도서자료 열람 및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다. 학술정보관에는 층마다 프린터가 있는데 6층에서는 플로터를 이용한 대형 출력이 가능하다.

야외 테라스에는 하늘정원이라는 작은 쉼터가 조성되어 있다.

3.8. 한성 아키비움

상상관 1층에 위치한 학교 역사관. 한성대학교 및 한성학원, 한성여중고의 역사와 중요 기록, 자료 등을 소장하고 전시하고 있다. 개관시간 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4. 운영

구분 학기중 방학중
자료열람실 평일 09:00~21:00
토요일 11:00~15:00
일요일·공휴일 휴관
평일 10:00~16:00
주말·공휴일 휴관
창의열람실 06:00~23:00[1] 06:00~23:00
집중열람실 06:30~23:00[2] 10:00~16:00
우촌관열람실 24시간 휴실
한성아키비움 평일 09:00~19:00
주말·공휴일 휴관
평일 10:00~15:00
주말·공휴일 휴관

5. 서비스

자세한 내용은 학술정보관 홈페이지 참고.

6. 대출 및 반납

대상 대출 권수 대출 기간
재학생 학부생 15권 15일
대학원생 20권 30일
졸업생, 수료생, 휴학생 7권 15일
수시 합격생[6] 3권 7일
대상 연속간행물 학위논문 DVD·Blu-ray
학부생 · 대학원생 2책 7일 관내 열람 관내 열람

[1] 시험기간 24시간 운영[2] 시험기간 24시간 운영[3] 9급/7급 공무원, 경찰직, 소방직, 교육학, 공인중개, 주택관리, 사회복지, 물류관리, NCS, 한국사능력시험, 국어능력시험 등[4] 토익, 토플, 텝스, 오픽, IELTS 등 어학시험 및 영어회화 강좌,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제2외국어 강좌, 공인중개사 강의[5] 자격증,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이용 등 IT 강좌[6] 합격통지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