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7:28:04

하와이 제1구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204473><tablebgcolor=#204473>
파일:미국 하원 문장.svg
하와이 제1구
HAWAII's 1st Congressional district
}}}
파일:HAWAII 1st Congressional district.jpg
<colbgcolor=#204473><colcolor=#ffffff>인구 수720,786명 (2019)
하와이
관할 구역호놀룰루, 밀릴라니, 펄시티, 와이파후
하원의원

에드 케이스

1. 개요2. 특징3. 역사
3.1.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

미국 하와이의 연방 하원의원 선거구. 하와이의 주도이자 최대 도시인 호놀룰루 및 그 주변 지역을 관할한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민주당에드 케이스.

2. 특징

인구 720,786명 (2019년 기준)
중위가구소득 $86,674
인종 구성 아시아계 54.8%
백인 18.8%
기타 인종 7.8%
히스패닉 5.4%
흑인 2.0%
아메리카 원주민 0.2%
출처

하와이답게, 특히 호놀룰루를 관할하는 선거구답게 선거구 주민들 중 아시아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아시아계 중에서도 일본계가 가장 많기 때문에, 이 선거구의 역대 하원의원들 중에서도 일본계 미국인들이 많은 편이다. 그리고 아시아계가 많은 하와이 특성상 민주당 지지세가 매우 강하다.[1]

3. 역사

3.1. 역대 국회의원

의원명 소속 정당 임기
스파크 마쓰나가

1971년 1월 3일 ~ 1977년 1월 3일
세실 헤프텔

1977년 1월 3일 ~ 1986년 7월 11일[2]
닐 아베크롬비

1986년 9월 20일 ~ 1987년 1월 3일
팻 사이키

1987년 1월 3일 ~ 1991년 1월 3일
닐 아베크롬비

1991년 1월 3일 ~ 2010년 2월 28일[3]
찰스 주

2010년 5월 22일 ~ 2011년 1월 3일
콜린 하나부사

2011년 1월 3일 ~ 2015년 1월 3일
마크 타카이 2015년 1월 3일 ~ 2016년 7월 20일[4]
콜린 하나부사 2016년 11월 14일 ~ 2019년 1월 3일
에드 케이스 2019년 1월 3일 ~ 현재

4. 역대 선거 결과

4.1. 201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rowcolor=#000> 하와이 제1구
호놀룰루, 밀릴라니, 펄시티, 와이파후
후보 득표수 비고
정당 득표율 선거인단
파일:1024px-Democratic_Disc.svg.png 에드 케이스
Ed Case
134,650 1위


73.10% 당선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 캠벨 카바소
Campbell Cavasso
42,498 2위


23.07% 낙선
파일:자유당(미국) 심볼.png 미셸 팁펜
Michelle Tippens
3,498 3위


1.90% 낙선
파일:녹색당(미국) 심볼.png 잭 버드
Zach Burd
2,214 4위


1.20% 낙선
Ind 캘빈 그리핀
Calvin Griffin
1,351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73% 낙선
총 투표수 184,211


유지

4.2.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rowcolor=#000> 하와이 제1구
호놀룰루, 밀릴라니, 펄시티, 와이파후
후보 득표수 비고
정당 득표율 당선여부
파일:1024px-Democratic_Disc.svg.png 에드 케이스
Ed Case
183,245 1위


72.02% 당선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 론 커티스
Ron Curtis
71,188 2위


27.98% 낙선
총 투표수 254,433


유지


[1] 이 선거구의 역대 하원의원들 중 공화당 출신이 단 2명밖에 없으며, 그 2명도 모두 아시아계 출신이다.(일본계 1명, 중국계 1명)[2] 하와이 주지사 선거 출마를 위한 중도 사퇴.[3] 하와이 주지사 선거 출마를 위한 중도 사퇴.[4] 임기 중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