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6:04:16

픽토맨서


{{{#!wiki<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9F2637>파일:ff14-logo-small.png파이널 판타지 14
클래스 & 잡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0px -5px 0px;"
파일:파판14전투멘토.png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1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전  투 】
{{{#!wiki style
전투 직업
파일:파판14방어역할.png 방어 역할 파일:파판14회복역할.png 회복 역할
파일:FFXIV_PLD_lodestone.png
나이트
파일:FFXIV_WHM_lodestone.png
백마도사
파일:FFXIV_WAR_lodestone.png
전사
파일:FFXIV_SCH_lodestone.png
학자
파일:FFXIV_DRK_lodestone.png
암흑기사
파일:FFXIV_AST_lodestone.png
점성술사
파일:FFXIV_GNB_lodestone.png
건브레이커
파일:FFXIV_SGE_lodestone.png
현자
파일:파판14근거리공격역할.png 근거리 공격 역할 파일:파판14원거리물리공격역할.png 원거리 물리 공격 역할
파일:FFXIV_MNK_lodestone.png
몽크
파일:FFXIV_BRD_lodestone.png
음유시인
파일:FFXIV_DRG_lodestone.png
용기사
파일:FFXIV_MCH_lodestone.png
기공사
파일:FFXIV_NIN_lodestone.png
닌자
파일:FFXIV_DNC_lodestone.png
무도가
파일:FFXIV_SAM_lodestone.png
사무라이 파일:파판14원거리마법공격역할.png 원거리 마법 공격 역할
파일:FFXIV_RPR_lodestone.png
리퍼
파일:FFXIV_BLM_lodestone.png
흑마도사
바이퍼
파일:FFXIV_SMN_lodestone.png
소환사
파일:FFXIV_RDM_lodestone.png
적마도사
픽토맨서
파일:FFXIV_BLU_lodestone.png
청마도사
}}}}}}}}}    
파일:파판14제작멘토.png
【 제작 및 채집 】
#!wiki style
||<-4><tablewidth=100%><#9F2637> '''{{{#ffffff 제작 및 채집 직업}}}''' ||
||<-2><#6D4DB8> [[파일:파판14제작자.png|height=25]] {{{#fff 제작자}}} ||<-2><#B89A40> [[파일:파판14채집가.png|height=25]] [[채집가(파이널 판타지 XIV)|{{{#fff 채집가}}}]] ||
||<bgcolor=#ffffff,#222222><width=50><:>{{{#!wiki style="margin: -3px -6px;"
[[목수(파이널 판타지 14)|[[파일:FFXIV_CRP_lodestone.png]]]]}}}||<width=200><:>[[목수(파이널 판타지 14)|{{{#6D4DB8 목수}}}]]||<width=50><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14/직업#s-3.1|[[파일:FFXIV_MIN_lodestone.png]]]]}}}||<width=200><:>[[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3.1|{{{#B89A40 광부}}}]]||
||<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2|[[파일:FFXIV_BSM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2|{{{#6D4DB8 대장장이}}}]]||<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3.2|[[파일:FFXIV_BTN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3.2|{{{#B89A40 원예가}}}]]||
||<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3|[[파일:FFXIV_ARM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3|{{{#6D4DB8 갑주제작사}}}]]||<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3.3|[[파일:FFXIV_FSH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3.3|{{{#B89A40 어부}}}]]||
||<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4|[[파일:FFXIV_GSM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4|{{{#6D4DB8 보석공예가}}}]]||<bgcolor=#dddddd,#383b40>||<bgcolor=#dddddd,#383b40>||
||<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5|[[파일:FFXIV_LTW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5|{{{#6D4DB8 가죽공예가}}}]]||<bgcolor=#dddddd,#383b40>||<bgcolor=#dddddd,#383b40>||
||<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6|[[파일:FFXIV_WVR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6|{{{#6D4DB8 재봉사}}}]]||<bgcolor=#dddddd,#383b40>||<bgcolor=#dddddd,#383b40>||
||<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7|[[파일:FFXIV_ALC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7|{{{#6D4DB8 연금술사}}}]]||<bgcolor=#dddddd,#383b40>||<bgcolor=#dddddd,#383b40>||
||<bgcolor=#ffffff,#222222><:>{{{#!wiki style="margin: -3px -6px;"
[[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8|[[파일:FFXIV_CUL_lodestone.png]]]]}}}||<:>[[파이널 판타지 XIV/직업#s-4.8|{{{#6D4DB8 요리사}}}]]||<bgcolor=#dddddd,#383b40>||<bgcolor=#dddddd,#383b40>||

}}}||

직업 아이콘 파일:FFXIV_PCT_icon.png
한국어명 픽토맨서
일어명 ピクトマンサー
영문명 Pictomancer (PCT)
프랑스어명 Pictomancien
독일어명 Piktomant
픽토맨서 획득 조건 1. 투사/마법사 레벨 80
2. '???' 퀘스트 클리어
주 장비
역할 원거리 마법 공격 고유 리미트 브레이크 크로매틱 판타지[1]: 원형 범위에 큰 피해
직업 획득 장소
1. 개요2. 상세
2.1. 장단점
3. 잡 전용 HUD4. 기술
4.1. 특성4.2. 역할 기술4.3. 기타

때는 제5성력 말기, 마하의 흑마법과 암다포르의 백마법이 충돌하는 마대전이 한창이던 시기였다.
후에 열두 현자 중 한 명으로 기려지게 되는 방랑 화가 [릴름]에 의해 새로운 마법, [그림 마법]이 탄생했다.
지팡이를 붓으로 바꾸고, 마력을 물감 삼아 상상한 것을 현실에 나타내는 이 마법은 그 경지가 극한까지 다다르면 존재하지 않는 생물, 무기, 심지어 풍경까지도 구현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그렇기에, 그림 마법을 사용하는 픽토맨서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그림 실력이 아닌, 마력을 다루는 재능과 미래를 그려내는 상상력이다.

1. 개요

파이널 판타지 VI의 캐릭터인 릴름 애로우니의 잡이자 확장팩 2개만에 드디어 새로 나온 파이널 판타지 14의 원거리 마법 공격 클래스. 트레일러 및 시연 영상에서는 그림을 실체화 시켜서 공격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황금의 유산 확장팩을 가지고 있는 채로 80Lv이상의 직업을 보유하고 있어야 그리다니아에서 해금이 가능하다.

2. 상세

캐스터답게 캐스팅을 주로 하고싶지만 흑마도사(파이널 판타지 14)는 너무 부담스럽다는 유저들의 요청 끝에 탄생한 최신예 캐스터. 흑마도사는 언제나 천사의 언어 초시계가 돌고 있어 제한된 시간 안에 딜싸이클을 수행해야하고 이를 실패할 경우 성능이 바닥을 치기 때문에 운용 난이도가 높아 선호도가 떨어졌다. 그러나 다른 캐스터 직업인 소환사(파이널 판타지 14)적마도사(파이널 판타지 14)가 전통적인 캐스터 판타지와 거리가 멀었으므로 픽토맨서는 흑마도사의 구조를 기본 골자로 하되 운용 난이도를 낮추고 여기에 그림이라는 픽토맨서만의 독특한 자원을 더한 끝에 탄생한 캐스터다.

기본적으로 123 콤보[2]를 사용하지만 사용할때마다 다음에 사용할 기술로 자동으로 바뀌기 때문에 사용감은 근딜의 123이 아닌 음유시인의 111스팸과 같다[3]. 이 기본 콤보를 사용해 팔레트 게이지를 채우고 이것을 사용하여 강화된 콤보[4]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골자이며 여기에 긴 캐스팅 시간[5]을 들여 그린 그림을 구현을 통해 발동하는 것이 픽토맨서의 전부.

강화된 콤보는 기본 콤보에 비해 시전시간이 길고 기본 콤보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3스택을 반드시 소모할 것[6]과 시즈모드를 강요하게 되는데 이 타이밍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고 색빼기를 사용했더라도 기본 콤보를 제외한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는데 제한이 없으며 제한시간조차 없기 때문에 제한된 시간동안 특정한 기술의 사용을 강제하며 기술 사용의 다소 제약을 받는 흑마도사에 비해 매우 편리한 사양이다.

픽토맨서 특유의 시스템으로 긴 캐스팅 시간을 들여 그림을 그리고 이를 발현을 통해 사용한다. 3가지 종류의 그림을 그릴 수 있어 각각 동물/무기/풍경 그림이며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데 동물은 공격 능력, 무기는 공격 마법, 풍경은 파티 시너지이고 동물은 그릴때마다 상징을 모아 이를 소모해 강력한 기술을 쓸 수 있다.

픽토맨서의 기본 콤보, 강화 콤보, 그림 그리기는 모두 시전시간보다 재사용 대기시간이 길어 캐스팅을 완료하고 능력을 1회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역시 주력기들이 재사용 대기시간보다 시전시간이 더 긴 흑마도사의 반대로 글로벌 쿨타임 밀림 없이 능력을 사용하기 위해 머리를 굴려야 하는 흑마도사와 달리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양. 하지만 1회만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기 때문에 2회 사용이 필요할 경우 결국 머리를 굴려야 한다. 즉발기-능력 2회 사용에 익숙한 유저라면 다소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캐스터의 영원한 적 무빙의 방식은 직관적인 편이다. 미리 그린 무기 그림을 구현해 공격하며 이동하거나 기본 콤보나 강화 콤보 사용 시 얻는 즉발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최후의 수단으로 신속한 마법으로 그림을 그려 긴 시간을 무빙에만 집중할 수도 있다. 다만, 무기 그림은 버스트에도 사용되는 만큼 스택을 안배해야 하고 쿨타임이 1분인데 비해 지속시간은 30초기 때문에 비는 시간이 생길 수밖에 없다. 결국 이 시간동안 발생하는 무빙 수요는 다른 방식으로 해결을 봐야한다. 신속한 마법, 이동기, 빠른 캐스팅이 가능한 기본 콤보를 쓰며 슬라이드 캐스팅을 최대한 하거나 이마저도 안되면 손해를 감수하고 약한 위력의 즉발기를 써야하는데 고점 플레이를 위해선 이 약한 위력 즉발기의 사용을 최대한 제한해야하므로 꽤나 빡빡하게 굴러가는 편. 설계를 잘만 하면 최상의 플랜을 수행하면서도 움직일 수 있는 흑마도사와 달리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의 사용방식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옵션을 소모하고 나면 결국 딜로스가 나는 방식이 강제될 수밖에 없다는게 유일한 흠.

2.1. 장단점

장점
단점

3. 잡 전용 HUD

4. 기술

4.1. 특성

4.2. 역할 기술

4.3. 기타


[1] クロマチックファンタジー/Chromatic Fantasy[2] 레드 파이어 - 그린 에어로 - 블루 워터 순으로 RGB이다.[3] 하지만 팔레트 게이지는 반드시 3번째 기술인 블루를 시전해야 얻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4] 시안 블리자드 - 옐로 스톤 - 마젠타 선더 순으로 CYM이다.[5] 비전투시 즉시, 전투시 4초[6] 강화 콤보를 취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지속시간이 무한이다.[7] 템페라 밑칠의 연계기인 템페라 덧칠이라는 파티 공생기가 있고, 2분 시너지와 함께 사용하는 스타 프리즘에도 소소하게 힐이 붙어있다.[8] 다른 게임사들 같았으면 픽토맨서를 너프하고 나머지 직업들을 소폭 상향 조정하는 식으로 밸런싱이 되었을 것이나, 파판14 개발진은 캐스터가 보유한 각종 유틸기, 특히 부활의 유무-일명 레이즈 택스(Raise Tax)라고 불린다-가 중점이 되는지라 소환사만큼 너프 당할 일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9] 그림을 그려야 할 시간에 무려 기본 콤보를 쓸 수 있고 이로 인해 게이지 수급량이 늘면 색빼기 콤보 횟수가 늘어난다! 그림을 그리는데 총 소요되는 최대 시간은 무려 12초이므로 다운타임에 그림 3개를 다 그린다면 남들보다 4글쿨 이상을 더 쓸 수 있는 셈[10] 특히 해당 특징이 크게 두드러지는 경우가 인던과 절과 같은 컨텐츠. 비전투와 전투 구간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인던에서는 몰이마다 사실상 풀컨디션으로 무지막지한 계수의 스킬들을 때려박으니 그 어떤 직업도 비빌 수 없는 파괴적인 몰이 딜을 자랑하며 절과 같은 긴 전투시간과 다운타임이 주기적으로 생기는 컨텐츠에서 역시 직업으로서 완성되지 않은 70절을 제외하면 모두 압도적 1등으로 픽황의 위엄을 과시하는 중이다.[11] 제약 없이 전방 15m로 이동하는 최상급 이동기로 심지어 이동 후 5초 전력질주까지 달려있는데 쿨타임도 고작 20초 밖에 안 된다. 캐스터는 물론이고 다른 직업들과 비교해도 닌자의 축지법을 제외하면 그 누구도 비비지 못하는 개사기 이동기이다.[12] 효월 마지막 절이었던 절 오메가 검증전을 예로 들면 패턴 처리 중에 사망 시 부활로 커버가 되는 경우는 패턴 전체를 통틀어서 2페의 리미트 브레이크에 누군가 스쳤을때, 그리고 3페와 델타에서 모니터 각도 미스로 한 두명이 죽었을 경우를 제외하면 누군가 죽는 순간 기믹 처리가 불가능해져 전멸로 리트라이다. 델타도 근거리나 원거리 헬월이 사망하면 바로 리트라이. 어찌어찌 칼같은 타이밍에 살려낸다 해도 십중팔구 딜컷에 걸린다. 심지어 마지막 페이즈에서는 버프가 없으면 기믹을 맞을때마다 즉사인데 사망 시 버프가 사라져 부활 시켜봐야 매 기믹마다 다시 죽을 뿐이다.[13] 그러나 개발진은 부활에 대해 엄청나게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고, 이 부분의 인식 차이에 의해 가장 큰 피해를 본 직업이 바로 소환사. 기동력과 유틸기와 부활을 모두 가졌기 때문에 선행으로 밝혀진 미디어 투어때 보다도 계수가 깎여서 출시 되었고, 솔 바하무트 소환을 손에 넣었음에도 현재 모든 딜러 통틀어서 무도가와 기공사 말고는 rDPS를 이길수가 없는 수준으로 약하다고 밝혀졌다. 개발진 본인들이 부활 메타를 엎어놓고는 부활 보유에 가중치를 너무 둔 상황이라 효월때보다도 소환사 유저들의 여론이 좋지 못한 편이다.[14] 정작 미디어 투어때도 강한 직업으로 예상되던 픽토맨서는 미디어 투어 기준 1200이라는 계수를 지닌 고위력기들을 오히려 1400으로 상향하는 정신나간 조정을 받은채 출시되어 근딜이고 흑마도사고 다 찢어발기는 정신나간 직업이 되었다.[15] 실컷 설명했듯 '익숙해지면 아무도 안 죽고 부활 없이 깨요!' 같은 당연한 말이 아니라 현역 고난도 컨텐츠는 몇몇 쉬어가는 페이즈 외에 누가 죽어서 부활을 돌려야 하는 상황이 오면 아예 클리어가 불가능해진다. 예시로 든 효월의 종언 컨텐츠들은 극만신이나 영식 정도만 가도 아예 8인을 전제한 극악한 파티 줄넘기 패턴으로 무장해서 누구 하나 죽음 = 전멸같은 상황이 아주 당연하고 자주 일어난다.[16] 플레이 경험 발언은 도저히 이해할수가 없는 것이, 확팩마다 자꾸 갈아엎다가 결국 퓨딜로 조정해서 나락 간 기공사와, 6.1때 딜 평준화 한답시고 극대 확정 기술로 고점을 저격맞아 절 컨텐츠에서 최악이 된 사무라이가 이미 플레이 경험이 최악이 된 케이스다. 글로벌서버 7.11 최상위 컨텐츠인 절 또 하나의 미래 기준으로 퓨딜(사무라이, 흑마도사, 기공사, 바이퍼) 및 준 퓨딜인 리퍼가 약세인 시점에서 이들의 플레이 경험은 중요치 않냐는 반발이 상당히 많다.[17] 더구나 요시다 PD와 개발진들은 절 바하무트때 흑마가 채용가치가 없다시피 할때도 흑마 센데 왜 그러냐는 식의 반응을 보인 적도 있고, 앞서 언급된 사무라이 극대 확정 및 고점 저격 패치 등에 대해 미온적인 후속 픽스만 한 것을 봐서는 적어도 일반적인 유저들의 시점과 기준과는 많이 다른 기준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18] 애초에 픽토맨서는 미디어 투어 당시도 딜이 높게 나올 것으로 예측되던 직업이었는데, 그걸로도 모자랐는지 가장 강력한 딜링기의 계수가 확 뛰어오른 채로 7.0에 출시되었고, 덕분에 근딜이고 흑마고 모조리 찢어발기는 정신나간 포텐셜의 직업으로 군림하고 있는 중이다.[19] 순수 체급만으로도 어지간한 딜러들은 다 이기는 압도적인 딜 고점에 시너지까지 있으면서 각종 보호막과 힐 같은 파티 지원기에 이동기에 달려있는 5초 전질, 개인 보호막 등 자가 유틸도 좋은데 캐스터임에도 무빙 난이도도 쉬워 개초딩 직업(...)이라고 불려도 과하지 않을 정도다.[20] 이에 대해 개발진측이 추가로 내놓은 답변은, 픽토맨서로 플레이 유저 유입이 굉장히 늘었으나, 이 상태로 하향을 진행하면 플레이 경험을 해치기 때문에 픽토맨서의 하향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덕분에 다른직업이 줄줄이 상향되는게 아닌 이상 픽토맨서가 적정수준 하향 당하는 건 꽤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따지자면 똑같이 신직업인데도 별다른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바이퍼나 부활이랑 힐 달렸다는 이유만으로 딜량을 나락으로 설정한 소환사와 적마도사, 개발진 본인들의 잘못된 방향성 설정으로 망가진 사무라이, 기공사 같은 직업도 있지만 이런 직업들의 플레이 경험은 딱히 알바 아닌가 보다.[21] 이게 심각한 이유가, 유격대와 근딜이 빠지면서 파티 능력치 보너스 감소 + 데미지 피격 및 회복에 따른 리미트 게이지 습득 말고 자동으로 리미트 게이지가 차오르는 시스템이 직업 중복으로 인해 무효화되는 페널티가 있어도 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기 때문. 리미트 게이지는 둘째쳐도 애초에 게임사 본인이 파티에서 버려지는 포지션이 없도록 의도적으로 설계한 시스템이 바로 파티 보너스인데, 픽토맨서는 그걸 그냥 깡딜로, 심지어 현역 절 컨텐츠에서 씹어먹고 딜컷을 뚫었다는 소리가 된다. 그 개사기라고 불리던 4.1&5.1버전 소환사도 저정도로 개사기적인 모습은 보여준적이 없다.[22] 참고로 픽토맨서와 같이 절 에덴에서 거진 필수요소로 꼽히는 직업은 다름 아닌 점성술사.[23] 강제 스왑 패턴 직후 그 자리 가면 되는거 아니냐고 물어 볼 수 있는데, 멸 어둠의 구름의 해당 강제 스왑 패턴이 나오는 페이즈는 재생 1층에서 본 그 암흑천공 페이즈라 3개 파티 중 B파티는 건너가기는 커녕 함부로 이동하면 남하고 같이 떨어져 죽기 십상이며, A/C의 경우 아예 자기들의 반대편 파티 자리로 떨어져서 본래 자리로 가는게 트롤링이다.[24] 다만 24인 레이드 특성상, 보스에게 디버프 형식으로 시너지를 입히는 닌자나 학자의 기여도가 마구 올라간다던지, 부활이나 능동적인 공생기 및 자생기의 사용이 중요하기 때문에 픽토맨서는 이런 부분이 8인에 비해서는 단점으로 크게 와닿기 때문이지 성능이 나쁜건 아니다. 기존의 8인 상위 컨텐츠에서 너무 개사기로 나왔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