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찬차차라어 Pitjantjatjara | ||
<colcolor=#fff><colbgcolor=#012169> 유형 | 교착어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문자 | 라틴 문자 | |
주요 사용 지역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호주| ]][[틀:국기| ]][[틀:국기| ]] 노던 준주 | |
원어민 | 3458명 (2021년) | |
계통 | 파마늉아어족 와티어파 서사막어 피찬차차라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colbgcolor=#012169> ISO 639-3 | PJT |
글로톨로그 | pitj1243 |
[clearfix]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지역의 애버리진들이 사용하며 파마늉아어족에 속하는 언어. 로마자로는 Pitjantjatjara라고 쓰며 줄여서 Pitjantjara라고도 한다. 사용자 수는 2,500여 명이며 파마늉아어족 남서부어파(South-West) 서부 사막 제어(Western Desert languages, 혹은 Wati)에 속한다. 피찬차차라어 화자 중 상당수가 영어를 모르기 때문에 애버리진 언어 중에서 가장 잘 보존된 언어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는 이 언어로 된 마뭉쿠쿰푸랑쿤추냐(Mamungkukumpurangkuntjunya)라는 곳이 있는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지명이다.2. 음운론
피찬차차라어는 17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이 있는데 대부분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치음이 없고 권설음을 표기할 때 밑줄 그어진 문자를 쓴다.양순 | 치경 | 권설 | 경구개 | 연구개 | |
비 | <colbgcolor=white> m | <colbgcolor=white> n | <colbgcolor=white> ɳ ⟨ṉ⟩ | <colbgcolor=white> ɲ ⟨ny⟩ | <colbgcolor=white> ŋ ⟨ng⟩ |
파열 | p~b ⟨p⟩ | t~d ⟨t⟩ | ʈ~ɖ ⟨ṯ⟩ | c~ɟ ⟨tj⟩ | k~ɡ ⟨k⟩ |
전동~탄 | r~ɾ ⟨r⟩ | ||||
접근 | ɻ ⟨ṟ⟩ | j ⟨y⟩ | w | ||
[ruby(접근, ruby=설측)] | l | ɭ ⟨ḻ⟩ | ʎ ⟨ly⟩ |
근전설 | 중설 | 근후설 | |
근고 | <colbgcolor=white> ɪ, ɪː ⟨i⟩, ⟨ii⟩ | <colbgcolor=white> | <colbgcolor=white> ʊ, ʊː ⟨u⟩, ⟨uu⟩ |
근저 | ɐ, ɐː ⟨a⟩, ⟨a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