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16:18:32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풍선

풍타디 풍선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블룬스 TD 6의 풍선 문서}}}에 대한 내용은 [[블룬스 TD 6/풍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룬스 TD 6/풍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룬스 TD 6/풍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블룬스 TD 6의 풍선 문서: }}}[[블룬스 TD 6/풍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룬스 TD 6/풍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룬스 TD 6/풍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

블룬스 TD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메인 시리즈
파일:BTDLogo.png 파일:BTD2Logo.png 파일:블룬스 TD 3 로고.svg
파일:BTD4Logo.png 파일:BTD5Logo.png 파일:BTD6Logo.png
블룬스 TD 배틀 시리즈
파일:BTDBLogo.png 파일:BTDB2 Logo.webp
기타
파일:BMCLogo.png 파일:BATTDLogo.png 파일:BCSLogo.webp
하위 문서
풍선 목록
5편 (트랙 · 타워 · 랭크와 경험치 · 관통력)
}}}}}}}}}

1. 개요2. RBE3. 풍선 일람
3.1. 1~3편3.2. 4편3.3. 5편
3.3.1. 일반 풍선3.3.2. MOAB급 풍선3.3.3. 이벤트 풍선3.3.4. 풍선 속성
3.4. 6편

1. 개요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에서 주된 적으로 나오는 풍선들에 관한 문서다. 대부분의 풍선은 공격 한 번에 한 겹이 터지며, 러시아 인형처럼 풍선 속에 풍선을 집어넣는 방식으로 내구도를 증강시킨다. 일정 이상의 풍선들은 터지면서 두 개 이상의 내부 풍선을 생성하기 때문에 무장이 어설프면 상대하기가 힘들어질 수 있다. 보스급 풍선으로 내부에 풍선들을 꽉꽉 채운 비행선이 있다. 기본적으로 한 겹 벗겨낼 때마다 1$[1][2]의 돈을 지급하고, 재생성으로 인해 재생성 된 껍질은 다시 돈을 주지 않으며, 비행선의 경우 파괴되어 내부 풍선이 튀어나오는 순간에만 돈을 1$만(...) 준다.[3]

정식 번역 명칭이 '풍선'이라서 본 문서를 포함해서 관련 문서에서는 '풍선'으로 서술하긴 하지만, 블로그 글에서 밝혀진 설정 상으로 블룬은 풍선과는 다른 존재다. 풍선은 그냥 무해한 장난감이고, 블룬은 원숭이들을 절멸시키려는 죽음의 생명체라고 한다. # 이러다 보니 원숭이들뿐만 아니라[4] 세계관 내 모든 동물에게 미움을 받고 있다.[5] 또 블룬은 정해진 길로만 다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게임 내에서 보는 것처럼 이동한다.

일반적인 풍선 외에도 3편부터 MOAB급 풍선이라고 하여 비행선 형태로 된 풍선도 등장한다. 도자기 풍선을 압도하는 내구도를 자랑하며, 결빙과 접착제, 스턴 등 일반 풍선을 상대로 한 모든 상태이상 계열 공격에 면역이다.[6] 그래서 상태이상이나 연쇄공격 계열을 주 화력으로 사용해 왔다면 효과가 없으며 연사력, 공격력, 투사체 수가 높은 업그레이드를 사용해야 터뜨리기 쉽다. 또한 비행선 상대로 발동 가능한 메즈기나 공격기 등 비행선 특화 업그레이드를 찍는다면 더 좋다. 이들은 RBE가 상당하기 때문에 비행선이 그냥 맵을 지나쳐 버리는 순간 바로 게임 오버[7]가 되어버리므로 화력을 총동원하여 막아야 한다. 물론 비행선을 처리했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 이들이 쏟아내는 새끼 비행선들 또는 도자기들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 역시 생각해 둬야 한다.[8] 다만 BTD6에서는 특정 업그레이드를 하면 비행선에도 상태이상을 걸 수 있는 타워가 있다.[9]

2. RBE

\'Red Bloon Equivalent'의 약자로 특정 풍선을 최대 몇 대 때려야 완전히 사라지는가에 대한 단위이다. 풍선의 맷집을 가장 기본적인 붉은 풍선의 개수로 환산한 것. 물론 풍선의 처리 속도는 몇 개를 터뜨리는지 계산하는 관통력이나 몇 겹을 터뜨리는지 계산하는 피해량 그리고 풍선의 속성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관통력은 거의 모든 타워가 갖추고 있으므로 꼭 RBE만큼의 공격을 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공격받지 않은 특정 풍선을 놓치면 해당 풍선의 RBE만큼 라이프가 감소한다.

라운드별 RBE란 한 라운드에서 놓치는 풍선 없이 클리어하는데 요구되는 공격력을 붉은색 풍선의 개수로 환산해서 나타낸 단위이다. 즉, 어떤 라운드 동안 붉은색 풍선 50개와 푸른색 풍선 50개가 등장한다면 그 라운드의 RBE는 150이 된다. 라운드에서 어떤 공격도 하지 않고 모든 풍선과 비행선을 출구로 보내면 해당 라운드 RBE와 동일한 수의 라이프가 감소한다.

각 시리즈의 라운드별 RBE는 블룬스 위키 Red Bloon Equivalent 항목 참고.

3. 풍선 일람

3.1. 1~3편

명칭 RBE 남기는 풍선
빨강 풍선 1 없음
파랑 풍선 2 빨강 풍선×1
초록 풍선 3 파랑 풍선×1
노랑 풍선 4 초록 풍선×1
검은색 풍선 9 노랑 풍선×2
흰색 풍선 9 노랑 풍선×2
이상 1편에서 첫 등장하는 풍선
납 풍선 19 검은색 풍선×2
무지개 풍선 37 검은색 풍선×2, 흰색 풍선×2
이상 2편에서 첫 등장하는 풍선
세라믹 풍선 83[10] 무지개 풍선×2
MOAB 532[11] 세라믹 풍선×4
이상 3편에서 첫 등장하는 풍선

3.2. 4편

명칭 RBE 속도 남기는 풍선
빨강 풍선 1 1 없음
파랑 풍선 2 1.4 빨강 풍선×1
초록 풍선 3 1.8 파랑 풍선×1
노랑 풍선 4 3.2 초록 풍선×1
분홍 풍선 5 3.5 노랑 풍선×1
검은색 풍선 11 1.8 분홍 풍선×2
흰색 풍선 11 2 분홍 풍선×2
캐모 풍선 11 1.4 분홍 풍선×2
납 풍선 23 1 검은색 풍선×2
줄무늬 풍선 23 1.8 검은색 풍선×1, 흰색 풍선×1
무지개 풍선 47 2.2 줄무늬 풍선×2
세라믹 풍선 103[12] 2 무지개 풍선×2
MOAB 612[13] 1 세라믹 풍선×4
파일:BTD4 BFB.png BFB 2,868[14] 0.25 MOAB×4

3.3. 5편

3.3.1. 일반 풍선

속도는 초록색과 노란색 중간이고 터지면 얼룩말 풍선 2개를 남긴다.

3.3.2. MOAB급 풍선

3.3.3. 이벤트 풍선

파일:GoldenBloon.png

3.3.4. 풍선 속성

파일:attachment/Camo_Bloon.png
은신 풍선이라고도 불린다. 공통적으로 이름대로 은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캐모 풍선 감지 능력이 없다면 공격을 할 수 없다. 그러나 바닥에 가시 등을 깔아서 터뜨리거나 하는 방식으로 터뜨릴 수 있다. 전작의 캐모 풍선과 특징이 다른데, 4편에서는 군복과 비슷한 색을 한 풍선이며, 터질 경우 2개의 분홍색 풍선을 남긴다. 5편 이후에는 4편의 캐모 풍선 자체는 없어진 대신 모든 풍선들에 추가로 붙을 수 있는 특수 상태가 되었다. 즉 납 풍선이나 도자기 풍선도 은신해서 덤비는 게 가능하다는 말. 비행선은 은신이 불가하나 D.D.T가 캐모를 기본으로 달고 나온다.
4편에서는 캐모 풍선과 일반 풍선이 섞여 있을 때 일반 풍선에게 향한 발사체가 우연히 캐모 풍선에게 맞을 경우 캐모 풍선이 터지게 된다. 당연한 거 아니냐 싶겠지만, 30원짜리 스파이크 하나만 깔면 은신 속 분홍색 풍선이 드러나는 탓에 캐모 풍선이 몇백 개씩 몰려와도 싸그리 전멸하는 사태가 일어나게 된다. 한마디로 30원만 있으면 이 속성에 대한 대비를 아예 안 해도 된다.
그러나 5편의 경우 은신 감지 기능이 없는 타워의 발사체는 은신 풍선을 절대로 인식하지 못하며 대미지도 줄 수 없다. 그나마 발동형 공격 일부가 먹히긴 하지만 그마저도 광역 스킬뿐이라서[46] 캐모 풍선을 전부 처리하긴 어렵다. 그래서 캐모 풍선이 공략에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늘었다. 5편에서 기본적으로 캐모 풍선을 감지하는 타워는 닌자, 다틀링, 가시 제조기, 그리고 도로 아이템 뿐이며 접착제 사수, 얼음 타워는 자체적으로 캐모 감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변에 레이더 스캐너 업그레이드를 한 원숭이 마을을 건설해야 한다.
또한 블룬스 TD 배틀에서는 이것을 이용한 CLRoD(Camo Lead Rush of Doom)가 있다. 캐모 납 풍선은 캐모와 납속성 즉 2가지 속성 모두를 갖고 있어 공략할 수 있는 타워가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이용해서 상대가 캐모 또는 납 둘 다 공략할 수 있는 타워들이 그때까지 적거나 없으면 꽤 효율이 좋은데다 여기다가 재생성 능력까지 붙여주면 장땡이다. RRRoD보다 성공확률이 더 높다. 하나 빼고. 2/2~4 가시 생성기가 있으면 무용지물이다.
타워의 자체 성능이 얼마나 강력하던 간에 캐모 감지가 없으면 그 빨간 풍선조차 못 잡는다는 점이 팬들 사이에서는 유머거리로 돌아다니고 있다. 강력하지만 캐모 감지 능력이 없는 타워(예: 태양의 신전)를 하찮아 보이지만 캐모 감지를 붙여주는 타워(예: 0/0/2 다트 원숭이)랑 대비하는 게 포인트. 또 서양 팬덤에서 캐모 재생 빨간색이 최강의 풍선이라는 드립도 나오고 있다.

파일:attachment/Regrowth_Bloon.gif
본작에서 첫 등장. 하트 모양을 하고 있다. 풍선들의 특수 상태 중 하나로 캐모 특성하고 겹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풍선들은 말 그대로 시간에 따라서 슬슬 자신의 껍질을 복원한다.[47] 단, 원래 등급보다 높은 등급으로 향상되지는 않는다.
한 번 껍질이 터지면 수가 증가하는 풍선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수가 증가한 채로 원래 풍선으로 돌아올 수 있다. 가령 검은 재생 풍선 한 개를 터뜨려 두 개의 분홍 재생 풍선을 만들었을 때 다시 공격하지 않으면 두 개가 각각 검은 재생성 풍선이 되어 검은 재생 풍선이 2개가 된다. 어중간한 광역공격[48]은 재생 풍선의 수를 미칠 듯이 불릴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배합이 중요하다.
블룬스 TD 배틀에서는 이 점을 이용해서 죽음의 재생 무지개 풍선 러시(RRRoD, Regen Rainbow Rush of Doom)라는 기술이 존재한다. 어느 정도 돈이 모였을 때 상대방에게 재생 무지개 풍선을 계속 보내 주면, 어지간히 공격이 세지 않은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방이 해치워야 할 재생 무지개 풍선의 수가 계속 늘어나 게임 오버가 되는 것. 화력이 집중되어 있지 않다면 무지개가 늘어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RRRoD를 막아내는 데 성공한다면 상대방은 졸지에 엄청난 양의 돈이 날아간 셈이므로 이쪽이 유리해진다.
한 번 터지고 재생성된 껍질은 터뜨려도 돈을 받지 못한다. 예전에는 이 껍질도 추가 돈을 줬었는데, 이걸 이용해서 3/2 마법사를 깔아 재생성 풍선을 밀쳐내서 터뜨리고, 다시 밀쳐내서 재생성시킨 다음 터뜨리고를 반복하는 이른바 재생 풍선 노가다(Regen Farming)가 가능했으며 아예 이걸 이용하라고 주어진 일일 미션도 있었다.
현재 플래시는 패치되었지만 풍선 자체에서 돈을 받지 못한다 뿐이지 풍선이 재생성하느라 라운드가 끝나지 않는 동안 저격수 2/4로 돈을 무한정 받아내는 방법은 여전히 남아 있다. 모바일에선 지금도 재생성된 풍선에서 돈을 받을 수 있다.

3.4. 6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룬스 TD 6/풍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룬스 TD 6/풍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룬스 TD 6/풍선#|]][[블룬스 TD 6/풍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보스 풍선}}}에 대한 내용은 [[블룬스 TD 6/보스 이벤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룬스 TD 6/보스 이벤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룬스 TD 6/보스 이벤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보스 풍선: }}}[[블룬스 TD 6/보스 이벤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룬스 TD 6/보스 이벤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룬스 TD 6/보스 이벤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다만 비행선이 나오기 시작할 때부터 풍선을 통한 수입이 줄어든다.[2] 6편 연금술사 C4의 3배 효과로 3$를 받는다.[3] 다만 최하위 비행선은 무조건 일반 풍선을 대량으로 남기기에 가장 강한 일반 풍선보다 많은 돈을 준다.[4] 특히 블룬스 팝의 원숭이들이 풍선을 제일 싫어한다고 한다.[5] BTD5에는 특수 요원으로 원숭이가 아닌 다른 동물 타워들을 멍키 머니로 구매할 수 있으며, BTD6에는 각종 맹수를 부려서 풍선을 터뜨리는 맹수 조련사라는 타워가 있다.[6] 5편까지 유일한 예외라면 4/2 저격수. 블룬치퍼 대미지가 프리플레이로 갈 수록 의미가 없어져서 저격수는 프리플레이의 필수요소로 꼽혔다.[7] 단, 비행선 또한 놓쳤을 때 잃는 생명수가 정해져 있고 그 이상의 생명수를 지닌 상태에선 한 대 놓친다고 바로 게임 오버가 되지는 않는다.[8] 물론 고라운드로 가면 일반 풍선들은 장식이고 비행선들이 떼거지로 나오며, 매 라운드마다 비행선의 체력이 증가한다. 노빵꾸 모드에서는 정식 플레이에서도 등장한다.[9] 대부분의 MOAB 대항 상태이상 능력은 BAD에게 먹히지 않는다. 하지만 극히 일부, BAD에게 능력을 적용할 수 있는 타워가 있다.[10] 세라믹 풍선의 체력 9 + 무지개 풍선의 RBE×2[11] MOAB의 체력 200 + 세라믹 풍선의 RBE×4[12] 세라믹 풍선의 체력 9 + 무지개 풍선의 RBE×2[13] MOAB의 체력 200 + 세라믹 풍선의 RBE×4[14] BFB의 체력 420 + MOAB의 RBE×4[15] =1+(5*2).[16] =1+(5*2)[17] 1+(11*2)[18] 폭발의 경우 통하기는 하지만 대미지가 1일 경우 하위 풍선인 검은색 풍선 때문에 혼자선 못잡는다.[19] =1+(11*2)[20] =1+(23*2)[21] =10+(47*2)[22] 이걸 이용해서 발동형 능력이 있는 경우 도자기 풍선을 오래 묶어둬서 다음 라운드에 쓸 발동기의 쿨을 돌게 하는 전략이 먹힌다.[23] =30+8[24] 성질 더러운 거대 비행선. 어원은 당연히 폭탄의 어머니. 유저들 사이에선 Mother Of All Bloons이라고도 불린다. 어탐 TD에서는 진짜로 저렇게 부른다[25] =200+(104*4)[일반] 85라운드 이전에 적용되는 수치. 남은 체력에 상관없이 고정이다.[27] 블룬스 몽키 시티의 풍선 연구 항목에서의 BFBs에서 Brutal Flying Behemoth로 나온다.[28] 날아다니는 흉악한 괴물(베헤모스). 어원은 둠 시리즈의 무기 BFG9000에서 따온 Big F***ing Bloon일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4편에서 처음 소개될 때의 게임 내 설명을 보면, 아마 플레이어더러 가장 크고 무서운 풍선(Biggest and most Feared Bloon)의 약자라는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심어 주기 위한 것도 있는 듯 하다.[29] =700+(616*4)[30] 강력한 거인 비행선. Gargantuaness는 거대하다는 뜻으로 쓰였는데 이는 가르강튀아(Gargantua)에 접미사 ~ness를 붙인 것으로 가르강튀아는 소설 Gargantua and Pantagruel에 나오는 거인 왕의 이름이다. 설명이 복잡했지만 어원은 leet에서 OMG 대신 쓰이는 'zomg'이고, 그래서인지 유튜브 동영상을 보면 많은 유튜버들이 '조 마이 갓'으로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다.[31] =4000+(3164*4)[32] 숙달 모드(Mastery Mode)를 켜고 플레이하면 BFB가 나올 자리에 대신 등장하기 때문에, 라운드 60부터 얘를 볼 수 있다.[33] 검은 거인 비행선. 어원은 당연하지만 다이클로로다이페닐트라이클로로에테인.[34] =350+(104*6)[35] 분홍색 풍선 수준의 속도다.[36] 신호탄(박격포 x/3)으로 캐모 속성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나 모바일에선 신호탄과 클렌징 폼(기술자 3/x), 잠수함 지원(잠수함 3/x)과 함께 캐모 속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다만 차이는 없어보이니 참고.[37] 반경 내 타워의 은신 감지 및 풍선의 모든 속성 내성 무시[38] 스킬로 DDT의 이동속도를 낮춘다.[39] 2/3. 즉 납속성 공격 가능+비행선에 추가 대미지. 특히 화산지형에서는 MIB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필수다.[40] 플래시에는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접착제로 느려지지 않는 세라믹 속성은 무시해도 되나 4/x 다트 원숭이나 3/x 가시 제조기는 세라믹 속성에 추가 대미지를 준다.[41] 역방향 트랙인 경우 정방향으로 움직인다.[42] 종전까진 MOAB이거나 도자기 그대로였다.[43] 몽키 시티 기준 납 풍선부터 시작하고 레벨이 높아질 수록 풍선 등급이 높아지며 레벨 5의 체력 50%대부터는 비행선을 소환한다.[44] 보스 풍선중 유일하게 ZOMG보다 빠른 풍선이다.[45] 체력이 75, 50, 25%가 될 때마다 주기가 짧아지고, 무력화는 가장 비싼 가격 상태(업그레이드 상태를 포함한 가격)의 타워를 우선순위로 두며, 몽키 시티에서 레벨이 높아질 수록 무력화시키는 타워 수가 증가한다.[46] 얼음, 접착제, 박격포의 발동형. 그리고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대포의 발동형(MOAB 암살자)도 화면에 비행선이 없을 때는 캐모 풍선으로 날아가기도 한다. 골 때리는 것은 압정, 풍선 파쇄기, 슈퍼 원숭이 등은 타워 자체가 레이더 스캐너 등을 통해 캐모 풍선을 공격할 수 있더라도 발동형은 캐모 풍선을 공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47] 2/x 접착제가 풍선을 슬슬 녹이는 것보다 빠르게 재생성하기 때문에, 접착제로 이 풍선을 해치우려면 최소 3/x는 되어야 한다.[48] 특히 마법사 원숭이나, 접착제 2/2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