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우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555><colcolor=#fff> 구동방식 | 광(레이저) 마우스 | 볼 마우스 |
유무선 | 유선 마우스 | 무선 마우스 | |
기타 | 버티컬 마우스 | 펜마우스 | 휠 마우스 | 원 버튼 마우스 | |
용도별 | 사무용 마우스 | 게이밍 마우스 | |
비슷한 장치 | 트랙볼 | 포인팅스틱 | 터치패드 | 매직 트랙패드 그래픽 태블릿 | 터치 스크린 | 스타일러스 | |
주변기기 | 마우스 번지 | 마우스패드 | |
관련 문서 | DPI | 마우스 커서 | 스크롤 휠 | 마우스키 | 스위치 | }}}}}}}}} |
Pen Mouse
1. 개요
펜 모양의 외형을 가진 마우스이다. 글씨를 쓰듯이 편안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2. 사용방법
여러 종류의 버튼이 있으며 엄지 손가락을 대주는 곳이 있다.[1] 펜 촉을 눌러주면 클릭이 된다.3. 그 외에
펜마우스는 일반적인 마우스와는 사용하는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초기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게임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일반 마우스에 비해 세밀한 컨트롤이 가능하긴 하지만, 좀 더 섬세한 그래픽 작업을 원할 때에는 그래픽 태블릿/태블릿 컴퓨터[2]로 구매하는 것이 좋다.키보드와 마우스를 번갈아 사용할 때 불편하다. 따라서 코딩, 문서작업용으로는 부적합하다. 굳이 사용하자면 펜을 든 채로 키보드를 치면 되지만 불편하다. 필압을 지원하지 않아 그래픽 용으로도 사용할 수 없으며 일반 웹서핑 으로 사용할 때에는 손목이 돌아가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팔 전체를 움직여야 하는데 생각보다 거슬리는 단점이다.
펜의 특성상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펜마우스는 일반 마우스보다 센서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인식률도 떨어지고 사람이 펜을 잡는 각도가 제각각이다보니 평상시 펜쓰는 것 처럼 사용하면 마우스 각도가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요즘 게이밍 마우스 등으로 수많은 발전을 이룬 마우스와 비교되게 경쟁이 없고 발전도 없는 마우스다. 가격도 웬만한 저가형 게이밍 마우스, 조금 더 주면 저가형 타블렛을 살수 있는 가격대에 있다. 사실 2000년대 이전에는 PC용 태블릿, 디지타이저 등이 입이 떡 벌어지게 비쌌던 반면에 펜마우스는 구조상 일반 마우스와 거의 동일한 기술로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3] 가격 차이가 크지는 않아서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다. 이런 원리에 기반해 광마우스를 뜯어서 자작을 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후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의 발달과 맞물려 입력장치가 눈부시게 발전하는 바람에 된서리를 맞은 것. 다만 제작에 특수한 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보니 여전히 몇몇 업체가 생산하고 있기도 하다.
굳이 이 기기의 장점을 찾아보자면, 기존 태블릿 대비 휴대가 쉽고 마우스패드가 없어도 쓸 수 있으며[4], 기존 마우스 대비 좀 더 좁은 공간에서도 쓸 수 있고, 드로잉이나 텍스트 하일라이팅 동작 등이 더 편하다는 점, 그리고 본체가 펜 형태이므로 비슷한 형태를 가진 다른 기기(레이저 포인터, 보이스 레코더, 진짜 볼펜 등등)를 합치는 잔재주를 부릴 수 있다는 것 정도. 종합해보면, 그래픽 태블릿(입력장치)은 쓸 수 없는 상황인데, 태블릿이 필요한 동작은 해야 하면서도, 태블릿 컴퓨터를 살 돈이 없거나 태블릿 컴퓨터로는 돌리기 어려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써야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런 상황이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결국 마이너할 수밖에 없는 용도. 이동이 잦은 샐러리맨의 프리젠테이션 정도가 가장 근접한 용도겠지만, 이쪽도 3차원 마우스나 블루투스 리모콘 등등 경쟁자가 많다.
사실 첫 선을 보인 뒤에 크게 발전한 부분이 없지는 않은데, 그것은 바로 가격. 제품의 질이 문제겠지만 어쨌든 2017년 기준 한화로 만원 이하의 가격으로도 구입할 수 있으므로 비록 다른 용도로는 특별할 게 없다 할지라도 판촉용으로는 살아남을 수 있을지 모른다.#
[1] 엄지손가락을 왜 대주냐면 연필, 볼펜과 달리 방향을 잡아줘야되기 때문이다.[2] 필압 지원 스타일러스 펜 지원 기기 한정.[3] 심지어 볼마우스 버전의 펜마우스도 있었다.[4] 볼 형태의 펜 마우스 한정이다.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펜 마우스의 경우 일반 적외선 마우스와 같이 지면이 울퉁불퉁 하거나 떼는경우 정확한 인식을 보장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