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8:06:12

판비량론

파일:판비량론1.jpg

파일:판비량론2.jpg
파일:판비량론3.jpg
파일:판비량론4.jpg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

1. 개요


判比量論. 신라 문무왕 11년(671)에 신라의 고승 원효대사가 저술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한국의 불경. 현재 일본의 오타니대학(大谷大学)과 도쿄 긴자의 고미술상에 소장 중이고, 오타니대학본이 일본의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내용

671년(문무왕 11)에 신라의 고승 원효가 행명사(行名寺)에서 중국 당나라 삼장법사 현장(玄奘)의 논증 방식인 유식(唯識) 비량(比量)을 비판적으로 판론한 불서이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현장은 대승 불교 유식학파의 사상을 인명학[1]을 이용해서 논증했는데, 원효가 이를 비판적으로 읽고 논한 것이다. 전체 25장이었으나 상당 부분이 유실되어 후반부 19장 105행 가량만 남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내용은 불교 수행의 중심이 되는 마음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 4분설과 3분설, 8식설과 6식설, 불성론 등 대승 불교 유식학의 교학에서 핵심적인 부분에 해당한다.

현재는 일본판만 남아 있는데 일본판에는 '내가사인'(內家私印)이라는 도장이 찍혀 최초 소장한 사람이 나라 시대 쇼무천황(聖武天皇)의 부인 고묘 황후(光明皇后, 701~760)임을 알 수 있다. 고묘 황후는 고대 일본을 대표하는 보물창고인 쇼소인(正倉院, 정창원)을 처음 만든 사람이다.

원효가 저술한 이 불경은 8세기 이전에 일본으로 유입되었다고 추정되는데, 1967년 일본의 서예 학자 간다 기이치로(神田喜一郎)가 개인적으로 소장한 것을 출판하여 일반에 알려진 후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후 2002년 각필 연구의 권위자인 고바야시 요시노리 교수가 이 필사본에서 신라 구결의 각필[2] 흔적을 발견해 과거 신라에서 필사한 것임이 밝혀졌다.

이후 2016년에 오치아이 히로시(落合博志) 일본 국문학연구자료관 교수가 교토 긴자의 고미술상에서 원효의 판비량론 1부를 더 발견하였다. 교토에서 발견된 이 책은 오타니대학본과 구분하여 바이케이본(梅溪本)이라 부르는데, 2018년 12월 연구 결과 기존 오타니대학본보다 17~18곳에 새로운 각필(角筆)을 더 기입했고, 양적으로도 8점을 더 추가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원효 '판비량론' 조각에서… 신라의 글자 또 찾았다

판비량론이 연구되면서 NHK 등 일본의 주요 언론들과 한일 양국의 학자들이 발칵 뒤집혔는데, 각필(角筆) 연구의 권위자인 고바야시 요시노리(小林芳規) 히로시마대 교수가 "'판비량론'에 나오는 신라 각필이, 일본 가타카나 문자의 기원으로 보인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고바야시 교수는 현행 가타카나의 'マ(마)'나 'リ(리)'와 비슷한 글자가 '판비량론'의 각필자에서 보인다고 했고, 한국의 학자들이 1500년 전 한국어 조사인 '以(이)'의 옛 글자 '㠯'('~로'란 뜻)와 '白'(사뢰다) 등 새로운 각필자를 추가로 찾아냈다.

600년대 한국의 불교 문화와 언어학, 그리고 신라 대방광불화엄경과 함께 신라시대 각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3. 외부 링크



[1] 인도에서 발달한 인식논리학에 해당한다.[2] 상아, 대나무 등을 이용해 만든 필기구로 한자의 발음법 등을 표기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