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22:56:32

파스

습포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파스(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클래시 로얄의 파이어 스피릿에 대한 내용은 파이어 스피릿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컴퓨터 벤치마크 프로그램 파이어 스트라이크에 대한 내용은 3DMark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아동용 게임에 대한 내용은 두파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레스터 시티 FC의 수비수에 대한 내용은 바우트 파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파스(약).jpg
1. 개요2. 상세3. 종류4. 원료 및 성분5. 제조사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직포에 약물을 붙여 만든 외용 첩부제로, 진통・국소마취 성분이 있는 약을 피부를 통해 흡수케 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영어로는 플라스터(plaster) [1], 경피 패치(transdermal patch)라고도 하지만 한국에서는 대개 '파스' 라고 부른다. 영어권에서는 심지어 Salonpas 라는 물건도 팔리기 시작했기에 세월이 더 흐른 후에는 파스라는 단어 자체가 영어권에서도 일반명사로서 자리잡을 수 있다. 파스'의 어원은 독일어로 연고를 뜻하는 'Pasta'가 유래이다. 영어의 Paste와 어원이 같다. 원래는 반죽이라는 의미로, 여기에서 '붙이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다. (Ctrl+V로 통용되는 '붙여넣기' 또한 영어로 paste라는 단어를 쓴다.) 이탈리아의 파스타도 같은 어원을 지닌다. 일본에서는 湿布(しっぷ:shippu)라고 부르고 이걸 그대로 한국어식으로 읽은 '습포(제)'라는 표현도 간간이 볼 수 있다.

2. 상세

삼투압을 이용해서 체내에 약물을 스며들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며, 보통 시원한 느낌을 주기 위해 멘톨을 첨가한다. 특성상 외상(긁힘, 베임, 물집 등)에 사용되는 반창고와는 달리 내상(, , 근육통 등)치료용으로 널리 쓰인다. 멘톨 등 자극이 강한 약품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처난 곳에 파스를 붙이면 매우 아프다.

파스를 아픈 데 붙이면 낫는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 특히 중장년층에게서 이런 속설이 두드러지는데, 파스가 삼투압을 통해 치료한다고는 하지만, 얼굴에 아무 식품이나 다 얹어놓으면 팩 효과가 생기는게 아니듯 인체의 피부는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파스의 효과는 굉장히 미미한 수준이며, 사실상 파스의 진짜 효과는 진통 효과, 즉 고통만 안 느끼게 만들어 주는 게 거의 전부다. 의학적 효능 없이 기분만 전환시켜주는 멘톨이 들어가는 것도 진통 효과를 돕기 위해서다.

그래서 파스가 질환을 치료하지는 않는다. 이런 성질이기 때문에 일단 붙이고 있으면 통증이 가라앉아서 이상이 없어 보이지만 떼어내면 통증이 다시 몰려오니 한 번 붙이면 필요 없어질 때까지 붙이고 있는 게 좋다. 그래서인지 근육통 때문에 잠 못드는 사람이 파스를 붙이고 자는 경우가 종종 있다.

즉 파스의 치료 원리는 이렇다. 국소마취 성분이 있는 파스가 부착된 부분의 근육에서 느껴지는 고통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근육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유도한다. 이러한 효과를 응용하여 운동을 할 때 자주 쓰이는 근육에 파스를 붙이고 할 시 더 좋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다. 파스를 붙여 근육을 계속 사용함으로써 해당 근육을 이완시켜 회복을 더 빠르게 도와주는 정도이다. 보통 근육통이 느껴지면 사람들은 그 근육을 안 쓰려고 하는데, 그러면 근육의 혈류량이 적어져서 오히려 회복이 더 오래 걸린다. 근육의 부상을 치유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혈류량이다. 피가 많이 돌아야 상처 입은 근육도 빨리 회복된다. 따라서 근육을 자꾸 움직여주어야 하는데 그냥 움직이기에는 아프므로 파스를 동원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는 신경이 눌렸다거나, 근육이 경직되어 스트레칭이 필요한 극히 일부의 경우에만 통용된다. 가장 쉬운 예로, 앉았다 일어서기로 벌을 받은 후 생긴 근육통이라든가. 이 경우의 근육통은 안 쓰던 근육을 사용해 근육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하여 혈류량이 증가한 것으로써, 아프더라도 천천히 움직이거나 마사지하며 자연 치유가 되도록 기다리는 것 밖에 답이 없다. 근육의 크기를 키우는 보디빌딩의 원리가 바로 이것이다. 근육을 한계치까지 사용하여 미세하게 근파열을 발생시키면, 그 파열된 틈새로 새로운 근육이 자라나며 근육이 커지고 밀도가 높아진다.

이 외에는 정밀 검사를 통해서 알아봐야 하는 부분이고, 그렇기에 법 체계의 압박으로 한국보다 모든 면에서 철저한 미국의 경우는 정밀검사가 없는 상황이면 무조건적으로 움직임을 삼가라고 처방한다. 파스를 붙여도 되는 경우에는 움직이되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해야 한다.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얻은 부상의 경우에는 평소 사용하는 무게나 훈련 강도로 복귀하는 건 위험하기 때문에 우선은 맨몸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였다가 점차 늘려나가는 식으로 적응하는 것이 좋다.

파스류 중에도 진짜 치료 효과를 내는 게 있다. 관절염에 쓰는 케토톱 등이 대표적인데 굉장히 비싸다. 파스가 아무리 비싸도 천원대를 오가는 건 이런 사정도 있다. 금연 보조제인 니코틴 패치도 이쪽 계열이다.

삼투압을 이용하기 때문인지 보통 하루 정도면 효과가 사라져 버리는 소모품이니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파스 붙일 때 제품에 따라서 특유의 시원함과 따뜻한 느낌이 나는데, 이게 더 이상 나지 않으면 약효가 다 된 거다. 참고로 파스에 따라 어떤 건 차갑고 어떤 건 뜨거운 이유는 진통제인지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그런 것이다. 즉 차가운 건 냉찜질, 뜨거운 건 온찜질용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냉찜질이나 온찜질이 필요할 때 이런 파스를 구분해서 쓰는 게 좋다. 물론, 두 가지를 모두 지원하는 '신신파스 아렉스' 같은 파스도 있다.

진통 효과가 있는 온갖 것들을 첨가하다보니 냄새가 나는 것도 특징이다. 코를 톡 쏘는 냄새가 난다. 나쁜 냄새는 아니지만 딱히 향수처럼 유쾌한 냄새도 아니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주변에 민폐끼칠 수도 있다. 특히나 한방 약품을 넣었다느니 하는 건 냄새가 더 심하고 파스를 떼고 그 자리를 씻어도 오래오래 남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약물의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12세 이하 어린아이에게 붙이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일례로 크레용 신짱에서 신짱구가 자기 멋대로 파스를 온 몸에 붙이고 다니다가 곤욕을 치른 에피소드가 있다.[2] 특히 케토프로펜 등의 약물 성분은 12~15세 이하의 어린이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사람에 따라 알러지 반응을 보일 수도 있다. 또 너무 오랜 시간 붙이고 있을 경우 피부염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파스에 적힌 사용 시간만큼 쓴 다음엔 제거해야 한다. 연속해서 붙여야만 할 경우 1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피부를 잘 씻어낸 뒤 사용하면 된다.

파스도 접착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절대로 갑자기 떼어내선 안 된다.

특정 파스는 정말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 힘들 수 있기 때문에 본인에게 잘 맞는 파스를 써야 한다. 뜨거운 건 너무 뜨거울 수 있고 차가운 파스 중에서도 엄청 차가워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잘 찾아보고 쓰길 바란다.

2010년 이후부터 일본에서 해외 직구를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사롱파스나 로이히 츠보코 등의 동전파스/미니파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의료인이 아닌 무자격자가 파스를 타인에게 붙여주는 것을 일본에서는 불법 의료행위로 보아 처벌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3. 종류

다음은 엄밀히 말하면 '파스'는 아니나, 소염제 또는 진통제로서 일반적으로 파스라고 통칭되는 것이다.

4. 원료 및 성분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등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살리실산 계열에는 주로 살리실산메틸/글리콜+멘톨+장뇌이나 한방파스의 경우, 국산 한방파스는 황백+치자(+산초), 대만/중국산 한방파스는 유향+목별자+피마자+위령선+몰약+송지/수지+참기름, 아르니카틴크 등의 구성을 추가하고 핫파스의 경우 노닐산바닐릴아미드 혹은 고추추출물+고추틴크(닿기만 해도 무지 뜨거울 것 같은 고추파스[3])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코페롤(비타민E), 산화아연 등을 추가하기도 하는 가 하면 저 기본 구성에서 일부 성분을 빼기도 한다.

5. 제조사

6. 관련 문서


[1] 외상용 반창고도 싸잡아서 플라스터라고 하는 수도 있으니 주의.[2] 정확히는 독성 때문에 곤욕을 치른 게 아니고, 파스를 붙였는데 하필이면 붙인 곳이 영 좋지 못한 곳이었고, 심지어 그 상황에서 오줌까지 마려운데 접착력이 너무 강해 안 떨어져서다.[3] 대표적으로 대일화학의 대일파스가 있었다.[4] 당시는 일제 의약품이 유행해서 특정외래품판매금지법에 당대 쇼와시대 약품들이 많이 거론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