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338 True Velocity RM338 | |||
<nopad> | |||
LWMMG | |||
<nopad> | |||
RM338 초기형 | |||
<nopad> | |||
RM338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다목적 기관총 | ||
원산지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2010년~현재 | ||
개발년도 | 2010년 | ||
생산 | 제너럴 다이내믹스(구) 론스타 퓨처 웨폰즈(구) 트루 벨로시티 애뮤니션즈 | ||
생산년도 | 2010년~현재 | ||
세부사항 | |||
탄약 | .338 Norma Magnum[1] .338 Lapua Magnum[2] | ||
급탄 | 벨트급탄 | ||
작동방식 | 쇼트 리코일 충격 완화식[3]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4] 회전 노리쇠 방식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609.6mm (24인치) | ||
전장 | 1244.6mm (49인치) | ||
중량 | 10.88kg (24파운드)[5] | ||
발사속도 | 500RPM | ||
탄속 | 807.72m/s (2650피트) | ||
유효사거리 | 1700.784m (1860야드) | ||
최대사거리 | 5641.848m (6170야드) | }}}}}}}}} |
1. 개요
RM338 리뷰 영상 | LWMMG 홍보 영상 |
2. 역사
2009년 아프가니스탄 누리스탄 주의 키팅 전초기지가 탈레반 세력에게 유린당한 캄데시 전투를 통해 M240과 M2HB 사이를 메워줄 신형 다목적 기관총의 수요가 미국 특수작전사령부를 중심으로 생겨나게 되었다.
여기에는 12.7×99mm NATO에 버금가는 운동 에너지를 갖추면서도 7.62×51mm NATO에 비해 3배 가량의 탄도 성능까지 보유한 .338 Norma Magnum 탄약이 해결책으로 제시되었으며,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의 병기전술체계부문이 XM312 개발을 통해 축적한 SRIA(쇼트 리코일 충격 완화식, Short Recoil Impulse Averaging) 반동 제어 설계의 LWMMG 개발에 돌입하여 2012년 국방산업협회 주최의 컨퍼런스에 첫 선을 보였다.[6]
2017년 10월 미국 육군협회 주최의 방산전시회(AUSA)에 참가한 제네럴 다이내믹스 랜드 시스템즈(GDLS) 사에서 LWWMG를 전시하여 그 존재를 알리기도 하였으며, 이는 미국 해병대 또는 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의 노후화된 M240의 대체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역시 .338 Norma Magnum을 쓴다는 사실 자체가 최대의 단점으로도 지목되고 있어 앞길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육군 창고뿐 아니라 전 세계에 그득히 쌓여있는 7.62×51 NATO탄과 달리 .338 Norma Magnum은 상대적으로 희귀한 탄약이라 한동안은 LWMMG 전용탄이 될 수밖에 없고, 이는 군수 소요를 늘리게 된다. 요는 이런 전용탄 문제를 감수하고서라도 LWMMG를 대량생산해 사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받아들여져야 하는 것. 일단 온갖 종류의 탄약을 다 쓰는 특수부대용으로 소량 납품되는 용도라면 문제없을 것으로 보이나, 두 번째로 큰 단점인 적은 휴행 탄 수를 특수부대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 무게만 따져도 7.62mm의 절반밖에 휴대하지 못하고, 5.56mm와 비교하면 1/4 수준이다.
한편 2020년 1월 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는 LWMMG와 마찬가지로 .338 Norma Magnum을 사용하는 기관총인 SIG의 MG338을 도입해 테스트하기로 했다. LWMMG가 탈락한 건지는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3. 특징
|
M192 삼각대와 6배율 TA648 ACOG 조준경을 장착한 모습 |
.338 Norma Magnum 탄은 .338 Lapua Magnum 탄에서 탄피의 길이를 조금 줄이고, 전체 길이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더 길고 무거운 탄자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LWMMG에서 발사될 경우 19.44g의 탄약을 808m/s에 가까운 탄속으로 발사하며, 운동에너지는 약 6300J이다. LWMMG는 약간의 개조로 라푸아 매그넘탄 사용도 가능하다.
7.62×51mm NATO 탄을 사용하는 7.62mm 클래스의 다목적 기관총보다 상당히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는데, 일반 GPMG가 700~1000m의 유효사거리를 가질 때, LWMMG는 1700m의 상당히 긴 유효사거리를 가지고 있고, 살상력도 강하다. 1,000m 거리에서 LWMMG은 M240보다 4배 정도 강력하다고 한다. 그리고 LWMMG는 상당히 다양한 운용이 가능한데, 휴대하면서 일반 병사가 걸어 다니면서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가벼우며, 심지어 M240B보다 3파운드 정도 가볍다! 다만 탄약의 무게가 2배[7]이기 때문에, 휴대가능한 탄약의 수가 줄어든다.
개머리판은 기존 M249E3의 신축식 개머리판 부품을 호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4. 매체
일단 등장은 LSAT 경기관총에 밀려서 적다.- ARMA3에서 .338을 쓰는 같은 기관총이 등장.
- 오퍼레이션7에서 등장.
- 소녀전선에서 2성급 기관총 LWMMG(소녀전선)으로 등장. 2성임에도 좋은 성능을 지녔고 개조로 4성 승급이 가능한다.
- Door Kickers 2: Task Force North에 XM338 LMMG라는 이름으로 레인저 팩션의 최종티어 기관총으로 등장한다.
5. 링크
[1] .338 Lapua Magnum에서 파생된 탄약 탄약 정보[2] 해당 탄약에 맞는 부품 변경(Conversion) 이후에 사용 가능하다.[3] 핵심 개발진 중 하나인 데이비드 슈팀케(David Steimke)가 시그 사우어 사의 선임 엔지니어로 영입되면서 MG338에 유사한 기술이 쓰였다는 의혹을 받아 2024년부터의 소송이 진행 중에 있다.[4] 가스압 작동식을 가졌으면서도 격발할 때 총열이 후퇴하는 특징도 가졌다. 이 특징을 가진 또 다른 총기로는 AN-94가 있다.[5] M192 삼각대를 추가하면 5.2kg가 추가된다.[6] 해당 발표를 2025년 기준 시그 사우어 사의 선임 엔지니어로 자리를 옮긴 데이비드 슈팀케가 맡았다.[7] 7.62mm NATO탄의 전체 카트리지 중량은 24~26g 정도, .338 Norma Magnum은 45g 정도. 탄을 탄띠로 연결하기 위한 링크의 무게도 4g 대 8g으로 두 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