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8:11:41

투아레그 연맹

말리의 역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고대 중세 중근세 근대 근현대 현대
만데 유목민 <colbgcolor=#ffcc33> 베르베르 무라비트 베르베르 투아레그 베르베르 송가이 제국 사드 왕조

베르베르
알라위 왕조

베르베르
알라위 프랑스 식민제국 말리 공화국 말리 공화국

말리 - 세네갈 연방
말리 공화국 아자와드 공화국 말리 공화국
가오 왕국
(송가이 왕국)
말리 제국 투아레그 투아레그
<colbgcolor=#d2691e> 가나 송가이 덴디 왕국 바마나 제국 마시나 제국 투쿨로르 제국 말리 공화국
만데 가나 제국 메마 소꼬 메마
젠네 젠네 마시나 왕국
가나
왕국
칸가베 사마 말리 제국
디아피누 말리 제국 바마나 제국
타크룰 기르유 풀로 제국 카르타나 케네두구 사모리
}}} ||
영어 Tuareg confederations
프랑스어 Confédération touarègue
아랍어 سلطنات الطوارق
1. 개요2. 정치 체제3. 부족 목록
3.1. 이웰렘메단족(켈 아타람 + 켈 딘니크)3.2. 켈 아다그3.3. 켈 아하가르3.4. 켈 아제르3.5. 켈 아이르3.6. 켈 그레스3.7. 켈 오웨이
4. 관련 문서

1. 개요

과거 투아레그족유목 연맹체. 일부는 20세기까지 유지되기도 했었으며 지금도 나라가 아닐 뿐 종속 지역으로써 존재한다.

2. 정치 체제

여러 부족들로 이뤄진 부족 연맹체제이자 각 부족마다 술탄(또는 암노칼Amnokal)이 있었다. 술탄 아래로는 부족 셰이크인 암가르(Amghar), 이슬람 지도자인 이맘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3. 부족 목록

7개의 투아레그 씨족 및 부족으로 나뉘어져 있다.[1]

3.1. 이웰렘메단족(켈 아타람 + 켈 딘니크)

타마지트어: ⴰⵡⵍⵉⵎⴻⴷⴷⵏ
Iwellemmedan

말리 동북부의 아자와그 계곡에서부터 니제르 서북부, 나이지리아 북부, 그 외 부르키나파소 일부에도 걸쳐서 사는 부족이다. 엄격한 신분제도를 통해 여러 씨족들의 충성심을 이루었다.

18세기 이후 서쪽의 켈 아타람(Kel Ataram)과 동쪽의 켈 딘니크(Kel Dinnik)로 나뉘어졌다.

3.2. 켈 아다그

Kel Adagh, Kel Adrar, Kel Adghagh

말리 동북부 이포가스 산맥의 고원에 거주하는 투아레그 연맹체.[2] " 출신"이라는 뜻으로 주로 산지 일대에 거주한다. 일부는 니제르 북부, 알제리 남부에도 거주한다. 약 40여개 이상의 부족들로 이뤄져 있다.

2012년 투아레그 반란이 일어나기 전, 이곳 출신인 이야드 아그 갈리라는 이슬람 근본주의자가 이 부족장의 지도자가 되려고 했으나 부족들의 거절로 이뤄지지 못하자 다른 조직을 구성해서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3.3. 켈 아하가르

티피나그 문자: ⴾⵍ ⵂⴴⵔ
Kel Ahaggar

알제리 남부 호가르 산맥의 아하가르 고원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투아레그 연맹체 및 지역. 중세시대부터 존재했던 부족연맹체였으나 국가적으로써의 본격적 설립은 1750년에 이뤄졌다. 이후 1977년 알제리에 흡수되었다.

3.4. 켈 아제르

Kel Ajjer, Kel Azjar, Kel Azjer

알제리 동부와 리비아 서부 사이에 분포된 민족. 주로 가트페잔 또는 리비아 서남부에 거주한다.

3.5. 켈 아이르

Kel Ayr(Kel Aïr)

니제르 중북부 아이르 산맥을 중심으로 통치한 투아레그 부족. 11세기 이후 처음으로 아이르 산맥에 도착한 민족 중 하나였으며, 하우사족들과의 분쟁에서 이겨 하우사족들을 남쪽으로 몰아냈다. 켈 그레스 부족과 더불어 아가데즈를 비롯한 인근의 정주농경도시 및 무역 도시들의 인구를 통제했다. 아가데즈 술탄국이 세워지는데 도움을 주었다.

3.6. 켈 그레스

Kel Gres

17세기 이전에는 아이르 산맥에 거주했으나 현대에는 주로 니제르 중남부에 거주한다. 계절이 변하면 방목지를 바꾸면서 가축들을 모는 이목(移牧)이 발달했다.

3.7. 켈 오웨이

Kel Owey, Kel Awey

1740년 알제리에서 남쪽으로 이동해 아소데(Assode)[3]아가데즈를 침략했으며, 아가데즈를 지배했던 켈 아이르 부족을 서쪽과 남쪽으로 쫓아내기도 했었다. 아가데즈 술탄국은 그들의 지배를 받기도 했었다. 19세기 사하라 종단 무역에서 3개의 주요 교역로를 차지했으며, 20세기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통치를 받았을 때에도 강력한 패권을 유지했다. 지금도 아이르 산맥과 바그자네 고원에 남아있다.

4. 관련 문서



[1] 이들의 이름들을 자세히 보면 앞에 '켈(Kel)'이 붙어있는데, 투아레그어 타마셰크 방언으로 "(저곳) 출신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2] 그래서 "켈 이포가스(Kel Ifoghas)"라고도 불린다.[3] 니제르 북부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