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2:54:32

톰슨 미적분학

1. 개요2. 톰슨 미분
2.1. 미분 계산2.2. 상수
3. 톰슨 적분
3.1. 적분 기호3.2. 톰슨 적분 아이디어3.3. 톰슨 적분 계산3.4. 예3.5. 상수
4. 읽기5. 체인룰6. 루트 미분7. 편미분
7.1. 예7.2. 2차 미분
8. 이중적분
8.1. 예
9. 삼각함수의 곱미분10. 관련 문서

1. 개요

영국의 수학자 실바누스 톰슨(Silvanus Thompson:FRS)이 1910년 그의 저서 <CALCULUS MADE EASY>(직역:알기 쉬운 미적분)에서 다음과 같이 쉽게 정리된 미분적분 그리고 편미분등 미적분학(Calculus)을 제안한바 있다.[1]
이러한 톰슨 미적분학(Thompson Calculus)으로 일컬어지는 이 책은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세계 여러 출판사에서 인쇄되어 미적분학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내용이 대수적이고 기하학적인 개념을 이해와 접근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하고 있으므로 엡실론-델타 논법같은 엄밀함을 보장하지는 않아서, 그냥 미적분에 대한 기본 개념 정도로 적절히 받아들이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개념을 제공할뿐 학부 과정 혹은 그 이후에도 수학을 계속할 생각이 있는 수학도라면 다른 해석학 책을 통해 개념을 잡아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2. 톰슨 미분

2.1. 미분 계산

[math( d )]를 소수점이하의 값들처럼 아주 미소한 값(smallness 또는 a little bit of)을 나타내는 기호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정의로 부터 [math( y = x^n )]에서 [math( y = (x)^2 )]일때 [math(d)]를 곱한값을 양변에 각각 더해 줌으로써
[math( y + {\color{red}{dy}} = (x+{\color{red}{dx}})^2 )]를 계산(Calculus)하여
[math(( x+dx)^2 )]가 [math( y +dy )]에 무한하게 수렴하게 할수있다면
[math( y +dy = (x+dx)^2 )]는
[math( y +dy = x^2 +2xdx+(dx)^2 )]이고
[math( y = x^2 )]이므로
[math( \cancel{y} +dy = \cancel{x^2} +2xdx+(dx)^2 )]
[math( dy = 2xdx+(dx)^2 )] 이고
[math((dx)^2 )] 는 아주 더 작아진 값이되므로 [math((dx)^2 = 0 )] 으로 보면(Calculus)
[math( dy = 2xdx )]
[math( \dfrac{dy}{dx} = 2x^1 )]
[math( \dfrac{dy}{dx} = nx^{n-1} )]을 조사할수있다.
이렇게 미분공식
[math(d \left( x^n \right) = n x^{n-1 } )]을 쉽게 얻을수있다.
실바누스 톰슨은 이것을 제1원칙(first principles)으로 부르고 있다.[2]

2.2. 상수

상수(constant)를 포함한 미분계산 [3]
[math( y = x^3 +5 )]
[math( y +dy = (x+dx)^3 +5 )]
[math( { } = x^3 +3x^2 dx + 3x(dx)^2 + (dx)^3+5 )]
[math((dx)^2 )] 는 아주 더 작아진 값이되므로 [math((dx)^2 = 0 )] 으로 정리하면
[math( {y +dy } = x^3 +3x^2 dx +5 )]
[math( y = x^3 +5 )]로 정리하면
[math( dy = 3x^2 dx )]
[math( \dfrac{dy}{dx} = 3x^2 )]
따라서
[math( y = x^3 +5 )]에서 상수를 [math( C )]로 정리하면
[math( y=x^n + C )]는
[math( \dfrac{dy}{dx} = nx^{n-1} )]임을 조사할수있다.

3. 톰슨 적분

위의 톰슨 미분은 [math( y = x^3 + C )]의 미분(differentiation)이 [math( \dfrac{dy}{dx} = 3x^2 )] 이라는 결과로 부터 [math( \dfrac{dy}{dx} = nx^{n-1} )] 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요하지만 실바누스 톰슨(Silvanus Thompson)은 이러한 과정이 적분(Integration)이라는 역순 계산으로 재사용될때 또 다시 그 중요성을 알수있음을 강조한다.

3.1. 적분 기호

우선 톰슨(Thompson)은 적분 기호 [math( \displaystyle \int)](integral,인테그랄)을 톰슨 미분에서 다루었던 미분기호 [math( d )]가 무한정 미세한 크기로 작아지는 값의 기호(sign 또는 symbol)일때 이것의 무한정 방대한 양의 크기로 증가하는 총계 값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기호로 정의했다.
따라서 적분기호에는 항상 미분기호가 따라다닌다.
이러한 미분(differentiation)과 적분(Integration)이 그 역방향에서 동등하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math( \displaystyle \int dy = y )]이고
[math( \displaystyle \cancel{\int} \; \cancel{d} \; y = y )]
[math( y = y )]임을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math( \displaystyle \int dx = x )]가 된다.
이것은 한편
[math( y = x^n )] 에서
[math( \displaystyle \int dy = \int x^n dx )]일때
[math( \displaystyle y = \int x^n dx )]에서
[math( \displaystyle y = \int \left( x^n \right) dx )]의 [math( \displaystyle \int (\square)\; dx )] 와는 다르다.

3.2. 톰슨 적분 아이디어

이제 [math( y = x^n + C)]의 미분이 [math( \dfrac{dy}{dx} = nx^{n-1} )]일때 [math( \dfrac{dy}{dx} = nx^{n-1})]의 적분은 거꾸로 역방향에서 [math( y = x^n + C)]를 다시 보여줄수있어야 한다.
[math( y = x^3 +5 )]에서
[math( \dfrac{dy}{dx} = 3x^2 )]
[math( dy = 3x^2 dx )]
[math( {y +dy } = y +3x^2 dx )]
[math( {y +dy } = (x^3+5) +3x^2 dx )]
[math( {y +dy } = x^3 +3x^2 dx +5 )]
한편 미분에서 사라진 값을 적분에서 다시 나타내보면
[math( (x+dx)^3 = x^3 +3x^2 dx {\color{red}{ + 3x(dx)^2 + (dx)^3 }} )]에서
[math( {y +dy } = x^3 +3x^2 dx + 3x(dx)^2 + (dx)^3+5 )]
[math( y +dy = (x+dx)^3 +5 )]
[math( y = x^3 +5 )]
적분기호(Integration symbol)인 [math( \displaystyle \int)](integral,인테그랄)을 사용해서 일반화하면
[math( \displaystyle \int dy = \int a x^n dx )]
[math( \displaystyle y = \int a x^n dx )]
[math( \displaystyle y = \int \left( a x^n \right) dx )]
[math( \displaystyle y = \left( \dfrac{a}{n+1} x^{(n+1)} + C \right) )]
따라서
[math( \displaystyle \int a x^n dx = \dfrac{a}{n+1} x^{(n+1)} + C )] 임을 조사할수있다.

3.3. 톰슨 적분 계산

[math( \dfrac{dy}{dx} = 2x )]를 적분해보면
[math( \displaystyle dy = 2x \;dx )]
적분기호(Integration symbol)인 [math( \displaystyle \int)](integral,인테그랄)을 사용해서
양변에 [math( \displaystyle \int)]을 동등하게 해주면
[math( \displaystyle \int dy = \int 2x \;dx )]
[math( \displaystyle y = \int 2x^1 \;dx )]
[math( \displaystyle \int x^n \;dx = \dfrac{1}{n+1} x^{n+1} + C )]로 정리하면
[math( \displaystyle y = \dfrac{2}{1+1} x^{1+1} + C )]
[math( \displaystyle y = x^2 + C )]를 계산(Calculus)할수있다.

3.4.

[math( x^2 )]을 적분하면
[math( \displaystyle \int x^2 \;dx )]
[math( = \dfrac{1}{2+1}x^{2+1} +C )]
[math( = \dfrac{1}{3}x^{3} +C)]

3.5. 상수

또한 이것은 상수a인 상수항(constant term)만이 있는 적분계산에서도 같다.
[math( a )]를 적분하면
[math( a = a \cdot 1 = a \cdot x^0 )]
따라서
[math( \displaystyle \int ax^0\; dx \\
= a \dfrac{1}{0+1}x^{0+1}+C \\
= ax +C )]

4. 읽기

톰슨 미적분학책에는미적분식을 쉽게 읽는 방법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미분 읽기 [4]
[math( \dfrac{dy}{dx} )]
[dee-wy by dee-eks] 또는 [dee-wy over dee-eks]
[디엑스 분에 디와이 또는 디와이 디엑스]
적분 읽기[5]
[math( \displaystyle \int dy = \int x^2 \;dx )]
[Integral dee-wy equals integral eks-squared dee-eks]
[인테그럴 디와이 이퀄 인테그럴 엑스제곱 디엑스]

5. 체인룰

체인 룰(chain rule)
[math( \dfrac{dy}{dx} )]는 [math( \dfrac{dy}{{\color{red}d\square}} \cdot \dfrac{{\color{red}d\square}}{dx} )]와 같다.[6]
[math( y= (x^2 + a^2)^{\frac{3}{2} } )]를 체인룰를 사용해 미분해보면
우선 [math( u= x^2 + a^2 )]로 놓고 - (1)
[math( x )]에 대해 미분해보면 [math( a )]는 상수이므로 [math( \dfrac{du}{dx}= 2x )]이다. - (2)
이제 [math( y= (x^2 + a^2)^{\frac{3}{2} } )]에 위식 (1)을 대입해보면
[math( y= u^{\frac{3}{2} } )]이고
[math( \dfrac{dy}{du}= \frac{3}{2} u^{(\frac{3}{2}-\frac{1}{1} ) } )]
[math( \dfrac{dy}{du}= \frac{3}{2} u^{\frac{1}{2}} )]이다. - (3)
이제 체인룰을 사용하여 위식 (2),(3)을 대입하여 정리해보면
[math( \dfrac{dy}{dx}= \dfrac{dy}{{\color{red}du}} \times \dfrac{{\color{red}du}}{dx} )]
[math( \dfrac{dy}{dx}= \frac{3}{2} u^{\frac{1}{2}} \times 2x )]
[math( {}= \dfrac{3}{2} \left(x^2 + a^2 \right)^{\frac{1}{2}} \times 2x )]
[math( {}= \left(\dfrac{3}{2}\times 2x \right) \left(x^2 + a^2 \right)^{\frac{1}{2}} )]
[math( {}= 3x \left(x^2 + a^2 \right)^{\frac{1}{2}} )]

6. 루트 미분

루트 미분 예
[math( \sqrt{x} = x^{\frac{1}{2} } )]이고
[math(d \left( x^n \right) = n x^{n-1 } )]이므로
[math(d \left( \sqrt{x} \right) = d \left( x^{\frac{1}{2} } \right) )]
[math( = \dfrac{1}{2} x^{\frac{1}{2} -1 } )]
[math( = \frac{1}{2} x^{- \frac{1}{2} } )]
[math( = \frac{1}{2} \dfrac{1}{x^{\frac{1}{2}} } )]
[math( = \frac{1}{2} { \frac{1}{\sqrt{x}} } )]
[math( = { \frac{1}{2\sqrt{x}} } )]

7. 편미분

편미분(Partial Dfferentiation)[7]
[math( y = u \cdot v )] 를 편미분한다면
[math( u )]쪽 미분에서 [math( v )] 는 상수(constant)로 취급하고
[math( dy = v \; du )]
[math( u )]쪽 미분했음을 표시해두면
[math( dy_v = v \; du )] - (1)
[math( \dfrac{dy_v}{du} = v )]
이것을 편미분 기호[math( \partial )](라운드 델타 또는 줄여서 라운드 라고 읽음) 를 사용해보면
[math( \dfrac{\partial y}{ \partial u} = v )]이다.
한편 같은 방식으로
[math( v )]쪽 미분에서는 [math( u )] 를 상수(constant)로 취급하고
[math( dy = v \; du )]
[math( v )]쪽 미분했음을 표시해두면
[math( dy_u = u \; dv )] - (2)
[math( \dfrac{dy_u}{dv} = u )]
이것을 편미분 기호[math( \partial )]를 사용해보면
[math( \dfrac{\partial y}{ \partial v} = u )]이다.
따라서
(1)은 [math( dy_v = v \; du )]
[math( = \dfrac{\partial y}{ \partial u} \; du )]
(2)은 [math( dy_u = u \; dv )]
[math( = \dfrac{\partial y}{\partial v} \; dv )]
따라서 정리하면
[math( dy = \dfrac{\partial y}{ \partial u} \; du + \dfrac{\partial y}{\partial v} \; dv )]이다.

7.1.

[math( w = 2ax^2 + 3bxy + 4cy^3 )]을 편미분하면
[math( \dfrac{\partial w}{\partial x} = (2a) 2x^1 + (3b)1x^0(y) + 4c0^3
\\= 4ax + 3by )]
[math( \dfrac{\partial w}{\partial y} = 2a0^2 + (3b)x1y^0 + (4c)2y^2
\\= 3bx + 12cy^2 )]이다.

7.2. 2차 미분

[math( w = 2ax^2 + 3bxy + 4cy^3 )]을 편미분하면
[math( \dfrac{\partial w}{\partial x} = (2a) 2x^1 + (3b)1x^0(y) + 4c0^3
\\= 4ax + 3by = w_x)]
[math( \dfrac{\partial w}{\partial y} = 2a0^2 + (3b)x1y^0 + (4c)2y^2
\\= 3bx + 12cy^2 = w_y)]에서
[math( w_x = 4ax + 3by )]
[math( w_{xx} = 4a )]이고
[math( w_y =3bx + 12cy^2 )]
[math( w_{yy} = 24cy )]이다.

8. 이중적분

[math( \displaystyle \iint f(x,y) dxdy )]
[math( f(x,y) = (x^2 + y^2) )]를 예로 들면
안쪽(inner) [math( dx )] 부터 적분해보면
[math( \displaystyle \int (x^2 + y^2) dx = \dfrac{1}{3}x^3 + xy^2 )]
이어서 바같쪽(outer) [math( dy )]를 적분해보면
[math( \displaystyle \int \left( \dfrac{1}{3}x^3 + xy^2 \right) dy = \dfrac{1}{3}x^3 y + x\dfrac{1}{3}y^3 )]
정리하면
[math( \displaystyle \int \left( \dfrac{1}{3}x^3 + xy^2 \right) dy = \dfrac{1}{3}x^3 y + \dfrac{1}{3}xy^3 )]

8.1.

[math( x^2 - y^2 + 1 )]을 구간 0과1에서 이중적분하면
1번째 적분은
[math( \displaystyle \int_0^1 \int_0^1 (x^2 - y^2 + 1 ) dxdy )]
[math( \displaystyle \int_0^1 (x^2 - y^2 + 1 ) dx )]
[math( = \left[ \dfrac{1}{3}x^3 - y^2x + x \right]_0^1 )]
[math( = \left( \dfrac{1}{3}1^3 - y^21 + 1 \right) - (0 - 0 +0) )]
[math( = \left( 1 + \dfrac{1}{3} \right) - y^2 )]
[math( = \dfrac{4}{3} - y^2 )]
2번째 적분은
[math( \displaystyle \int_0^1 \left( \dfrac{4}{3} - y^2 \right) dy )]
[math( = \left[ \dfrac{4}{3}y - \dfrac{1}{3}y^3 \right]_0^1 )]
[math( = \left( \dfrac{4}{3}1 - \dfrac{1}{3}1^3 \right) - (0-0) )]
[math( = \dfrac{4}{3} - \dfrac{1}{3} )]
[math( = \dfrac{4}{3} - \dfrac{1}{3} = 1 )]
따라서
[math( \displaystyle \int_0^1 \int_0^1 (x^2 - y^2 + 1 ) dxdy = 1 )]

9. 삼각함수의 곱미분

[math( y= sin \theta )]
[math( y'= \dfrac{d(sin\theta)}{d\theta} )]
[math( y+dy = sin(\theta + d\theta) )]
[math( dy = sin(\theta + d\theta) -y )]
[math( dy = sin(\theta + d\theta) -sin \theta )]
이제 서로 다른 각도들(angles) [math(M)]과 [math(N)]을 가정하면
[math( sin M -sin N = 2 cos \dfrac{M+N}{2} \cdot sin \dfrac{M-N}{2} )] 이므로
[math(M=\theta + d\theta)]과 [math(N=\theta)]을 얻을수있고
따라서
[math( dy = 2cos\dfrac{\theta + d\theta+\theta}{2} \cdot sin \dfrac{\theta + d\theta-\theta}{2} )]
[math( dy = 2cos\left(\theta + \dfrac{1}{2}d\theta \right) \cdot sin \dfrac{1}{2}d\theta )]
이어서 [math(cos\dfrac{1}{2}d\theta )]가 [math( cos \theta )]에 무한히 작은것으로 다룰수있으면 따라서 [math( sin \dfrac{1}{2}d\theta = \dfrac{1}{2}d\theta )]로 다루어 볼때
[math( dy = 2cos\theta \cdot \dfrac{1}{2}d\theta )]를 얻을수있다.
[math( dy = cos\theta d\theta )]
[math( \dfrac{dy}{d\theta} = cos\theta )]를 조사할수있다.
삼각함수곱미분 을 조사할수있다.

10. 관련 문서



[1]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 Calculus Made Easy , Silvanus P. Thompson 1914 2nd edition ,THE MACMILLAN CO. P17 CHAPTER IV. SIMPLEST CASES https://www.gutenberg.org/files/33283/33283-pdf.pdf [2] CHAPTER IV. SIMPLEST CASES. P17 ,CHAPTER VI. SUMS, DIFFERENCES, PRODUCTS AND QUOTIENTS. P36 , CHAPTER XVI. PARTIAL DIFFERENTIATION. P172[3] CHAPTER V. NEXT STAGE. WHAT TO DO WITH CONSTANTS P25[4] CALCULUS MADE EASY P16 NOTE TO CHAPTER III. How to read Differentials.[5] CHAPTER XVIII. Integrating as the Reverse of Differentiating ,HOW TO INTEGRATE P191[6] NTRODUCING A USEFUL DODGE 67[7] CHAPTER XVI. PARTIAL DIFFERENTIATION. P172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