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4 23:01:53

타보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주(kraj) 헌장 도시(Statutární město)
파일:프라하.png
프라하
파일:중앙보헤미아주.png
중앙보헤미아주
파일:프라하.png프라하* · 파일:클라드노.jpg클라드노 · 파일:믈라다볼레슬라프.jpg믈라다 볼레슬라프
파일:남보헤미아주.png
남보헤미아주
파일:체스케부데요비체.png체스케부데요비체*
파일:플젠주.png
플젠주
파일:플젠.png플젠*
파일:카를로비바리주.png
카를로비 바리주
파일:카를로비바리.png카를로비 바리* · 파일:체코 헤프.png헤프
파일:우스티주.png
우스티주
파일:우스티나트라벰.png우스티 나트 라벰* · 파일:호무토프.png호무토프 · 파일:데친.jpg데친 · 파일:모스트.gif모스트 · 파일:테플리체.png테플리체
파일:리베레츠주.png
리베레츠주
파일:리베레츠.png리베레츠* · 파일:야블로네츠나트니소우.png야블로네츠 나트 니소우
파일:흐라데츠크랄로베주.png
흐라데츠 크랄로베주
파일:흐라데츠크랄로베.png흐라데츠크랄로베*
파일:파르두비체주.png
파르두비체주
파일:파르두비체.png파르두비체*
파일:비소치나주.png
비소치나주
파일:이흘라바.png이흘라바*
파일:남모라바주.png
남모라바주
파일:브르노.png브르노*
파일:올로모우츠주.png
올로모우츠주
파일:올로모우츠.png올로모우츠* · 파일:프로스테요프.png프로스테요프 · 파일:프르제로프.png프르제로프
파일:즐린주.png
즐린주
파일:즐린.png즐린*
파일:모라바슬레스코주.png
모라바슬레스코주
파일:오스트라바.png오스트라바* · 파일:프리데크미스테크.png프리데크 미스테크 · 파일:하비르조프.png하비르조프 · 파일:카르비나.png카르비나 · 파일:오파바.png오파바
* 주도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03a85><tablealign=center><tablebgcolor=#203a85>
파일:남보헤미아주.png
}}}
{{{#!wiki style="margin: 0 -10px;"
{{{#F7F7F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체스케부데요비체구
(체스케부데요비체)
체스키크룸로프구
(체스키 크룸로프)
인드르지후프흐라데츠구
(인드르지후프흐라데츠)
피세크구
(피세크)
프라하티체구
(프라하티체)
스트라코니체구
(스트라코니체)
타보르구
(타보르)
밑줄 : 주도 }}}}}}}}}}}}

파일:체코 국기.svg 남보헤미아주의 도시
타보르
Tábor
파일:Vlajka_města_Tábor.gif 파일:Tabor_CoA_CZ.png
<rowcolor=#ffffff> 주기 문장
<colbgcolor=#DC143C> 국가 <colbgcolor=#fff,#1919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행정 구역 남보헤미아주 타보르구
시장 스테판 파블릭
(Štěpán Pavlík)
면적 62.22㎢
인구 34,370명[A]
인구 밀도 550명/㎢[A]
시간대 UTC+1

1. 개요2. 역사3. 관광4. 여담

1. 개요

체코 남보헤미아주에 위치한 도시로 보헤미아의 종교 개혁가 얀 후스를 추종하는 후스파의 중심지로 오늘 날에도 그 흔적이 도시 곳곳에 남아있다.

2. 역사

1420년 보헤미아의 종교 개혁가 얀 후스를 추종하는 급잔파 후스파인 페트르 흐로마드카와 얀 비들린스키가 세운 요새에서 시작한 도시로 이스라엘 갈릴리 저지에 위치한 산인 타보르산에서 이름을 따왔다. 타보르파는 성경에서 제시한 이상대로 평등과 무소유를 강조하는 농민 공동체를 만들었다. 타보르에서 처음 시작해서 후스파를 처음에는 타보르파라 부르기도 했다. 얀 지슈카가 이끄는 후스파는 계속 승리하였으며, 특히 타보르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타보르는 후스파의 군기지 겸 요새가 되었다. 하지만 불패의 명장인 얀 지슈카가 사망하고, 후스파도 강경파인 타보르파와 온건파인 양형파 사이 내전이 일어나면서, 결국 후스 전쟁은 후스파의 패배로 끝이나고 타보르는 신성로마제국의 차지가 되었다.

1437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지기스문트에 의해 자유 도시가 된 타보르였지만 그 이후에 역사에서 서서히 사라졌다. 30년 전쟁 당시 가톨릭을 지지하는 페르디난트 1세의 군사 지원을 거부하자, 황제는 타보르 시민들의 땅을 몰수하였고, 1620년 백산 전투에서 신교도군이 패배하자 도시는 가톨릭 세력에 의해 반년 간 포위되었다. 타보르 시민들은 용감히 저항했지만 식량 부족으로 항복하였다.

3. 관광

4. 여담



[A] 2024년 1월 1일 기준[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