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01:39:08

크리스의 타임 트래블 논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wiki style="margin:-5px -1px -10px;word-break: keep-all"
<colcolor=white> 오리지널
[[Steins;Gate|
파일:Steins;Gate 로고(틀).jpg
]]Steins;Gate
(2009년)
[[Steins;Gate 0|
파일:Steins;Gate 0 로고 (틀).jpg
]]Steins;Gate 0
(2015년)
파일:Steins;███(틀).jpg
Steins;███
(미정)
외전
파일:비익연리의 달링 로고 (틀).jpg

Steins;Gate
비익연리의 달링

(2011년)
파일:변이공간의 옥텟 로고 (틀).jpg

Steins;Gate
변이공간의 옥텟

(2011년)
파일:선형구속의 페노그램 (틀 ).jpg

Steins;Gate
선형구속의 페노그램

(2013년)
파일:패미코레 ADV Steins;Gate 로고.png

패미코레 ADV Steins;Gate
(2018년)
리메이크
[[Steins;Gate ELITE|
파일:Steins;Gate ELITE 로고 (틀).jpg
]]
Steins;Gate ELITE
(2018년)
[[Steins;Gate 0 ELITE|
파일:Steins;Gate 0 ELITE 로고(틀).jpg
]]
Steins;Gate 0 ELITE
(미정)
리부트
[[Steins;Gate RE:BOOT|
파일:Steins;Gate RE:BOOT 로고 (틀).jpg
]]
Steins;Gate RE:BOOT
(2025년)
등장인물 · 설정 · 용어 · 무대탐방
세계선 · 연표 (본편 | 애니메이션) · 공략 (본편 | 제로)
미디어 믹스 · 애니메이션 · 음반 목록 · 커뮤니티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 파일:마키세 크리스(비주얼 노벨).png마키세 크리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행적 <colbgcolor=#fff,#1f2023>작중 행적
관련 문서 타임 트래블 논문 · 전화렌지(가칭) · 타임 리프 · 타임 리프 머신 · SERN · 아마데우스 · 미래 가젯 연구소
}}}}}}}}} ||
크리스의 타임 트래블 논문
"Time Machine"
A Study of Creation
파일:크리스의 타임 트래블 논문(애니메이션).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등장[1] • 비주얼 노벨: 챕터 11
• 애니메이션: 23화

1. 개요2. 소유권3. 여파4. 작중 중요 요소5.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오카베와 마주하며 논문을 들고 있는 크리스.png
오카베와 마주하며 논문을 들고 있는 크리스
β 어트랙터 필드마키세 크리스는 타임 트래블 논문을 집필할 영감을 받았다.

크리스는 그 논문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했으며, 이 아이디어들은 훗날 핵전쟁 이전 러시아 정부가 사용한 반쯤 완성된 타임머신의 기초가 되었다.

2. 소유권

아버지와 2000년의 존 타이타의 게시글로부터 영감을 받은 크리스는 자신이 쓴 논문을 일본으로 가져가, 아키하바라의 라디오 회관 건물에서의 학회 이후 아버지와 마주했다.

크리스는 그 논문을 두 사람의 이름, 즉 공동성명으로 제출하자고 제안했지만, 크리스의 아버지는 공로를 나누는 것에 불쾌감을 느끼고 논문을 훔치려 한다. 이어지는 몸싸움에서 크리스는 제3자의 엉성한 구출 시도 중 사망한다.

그렇게 닥터 나카바치는 논문을 챙겨 현장에서 도주했고, 나카바치 논문이라는 이름으로 그것을 러시아로 망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했다.

3. 여파

β 어트랙터 필드에서는 이 논문으로 인하여 본의 아니게 자신이 제3차 세계 대전을 야기하게 되었다. 닥터 나카바치의 망명으로 러시아 정부 관리들이 논문을 소유하게 됨으로써 미국과 러시아 간의 짧은 냉전 유사 상태가 벌어졌고, 결국 핵전쟁이 발발했다. 본의 아니게 인류의 만악의 근원이 되어버린 셈. 이로 인하여 미래에서 온 아마네 스즈하크리스를 증오하고 있는데, 고작 논문 하나로 수십억명이 죽고, 자신의 어머니까지 사망하게 된 것을 보면 스즈하의 반응이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다.

이 냉전 기간 동안, 많은 단체들이 크리스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려 했으며, SERN은 한때 타임머신 경쟁에서 승리할 만큼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α 어트랙터 필드로의 짧은 복귀를 유도했다. 그녀의 기억을 담고 있는 아마데우스 프로그램은 논문을 재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이 시기 매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슈타인즈 게이트 세계선에서는, 논문이 러시아로 가는 도중 기묘한 화재로 소실되었다. 쇼이치는 그것을 재현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곧 그가 망명하려 했던 러시아 정부에 의해 배신당했다.

4. 작중 중요 요소[출처]

슈타인즈 게이트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7월 28일에 죽을 예정이었던 마키세 크리스를 구하는 것과 나카바치 논문이 이 세상에서 소멸하는 것이 조건이 된다.

나카바치 논문은 봉투에 들어 있던 메탈 우파를 평범한 우파로 바꿈으로써 소실(燒失)된다.

논문은 오카베가 타임머신으로 돌아오기 직전에 소실되었으며, 옥상 도달과 동시에 슈타인즈 게이트로 이동했다.
파일:나카바치 논문을 살린 메탈 우파.png
↑ 세계의 운명은 나카바치 논문에, 난폭하게 말하자면 겨우 하나의 캡슐토이의 존재에 걸려있다.

5. 관련 문서


[1] 비주얼 노벨과 애니메이션 둘 다 등장 자체는 닥터 나카바치의 회견에서 소란을 피운 오카베 린타로와 마주하는 마키세 크리스가 들고 있지만, 완전히 존재가 드러난 것은 β 세계선에서 아마네 스즈하와 타임 트래블을 할 때 등장한다.[출처] Steins;Gate 공식 자료집 9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