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크리스 해드필드(Chris Austin Hadfield)는 캐나다의 우주비행사 출신의 작가로 캐나다인 최초로 우주유영(EVA)을 수행한 인물이면서 국제우주정거장(ISS) 35차 장기 임무의 사령관을 역임한 인물이다.우주 비행사로 활동할 당시 대중들과 활발한 소통과 교육 활동을 펼쳐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다.2. 생애
크리스 해드필드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사니아(Sarnia)에서 태어나 밀든(Milton)에서 성장했다. 어린 시절 1969년 닐 암스트롱(Neil Armstrong)의 달 착륙을 보고 우주비행사의 꿈을 품게 되었다.이후 캐나다 왕립군사대학(Royal Military College of Canada)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며 공군 장교 후보생으로 훈련을 받았다. 1982년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캐나다 공군에 입대하여 CF-18 전투기 조종사로 복무했다.
1988년에는 미국 공군 시험비행학교(United States Air Force Test Pilot School)를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며 시험비행 조종사가 되었다. 1991년에는 미 해군 올해의 시험비행 조종사로 선정되었으며, 이후 NASA 및 캐나다우주국(CSA)의 협력 프로그램에서 활동하며 우주비행사 선발을 준비했다.
1992년, 캐나다우주국(CSA)에 의해 우주비행사로 공식 선발되었으며, NASA에서 훈련을 받기 시작했다.
3. 우주비행사 활동
3.1. STS-74 (1995년)
1995년 11월 12일, 우주왕복선 애틀랜티스(Atlantis, STS-74) 임무에 참가하여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Mir)와 도킹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 임무에서 캐나다우주국의 우주비행사로서 두 번째로 우주를 다녀왔다.3.2. STS-100 (2001년)
2001년 4월 19일, 우주왕복선 엔데버(Endeavour, STS-100) 임무를 통해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했다. 이 임무에서 캐나다암2(Canadarm2) 로봇팔을 ISS에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했으며, 캐나다인 최초로 우주유영(EVA)을 진행했다. 총 14시간 50분 동안 우주유영을 수행하며 ISS 건설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3. TMA-07M (2012~2013년)
2012년 12월 19일, 소유스 TMA-07M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으로 향했다. 34차 장기 임무의 일원으로 ISS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2013년 3월부터 ISS 35차 임무의 사령관을 맡았다.이로써 그는 ISS 사령관직을 수행한 최초의 캐나다인이 되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과학 실험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대중과 적극적으로 소통했다. 특히, 지구에서 본 우주의 모습과 ISS 내부 생활을 담은 사진과 영상을 트위터에 올리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다.
2013년 5월 13일, 소유스 TMA-07M을 타고 지구로 귀환하며 166일간의 임무를 마쳤다.
3.3.1. Space Oddity 커버곡 공개
ISS 35차 임무의 사령관을 맡고 있던 당시, 데이비드 보위의 2집 David Bowie (aka Space Oddity)의 오프닝 타이틀 트랙인 "Space Oddity"를 국제우주정거장 내부에서 직접 녹음 및 촬영한 커버 곡을 공개하기도 했다.[1] 국제우주정거장 내에서 직접 노래를 부른 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2]
본인이 전문음악인이 아닌 우주비행사이자, 커버 시점에서 ISS에 있음을 감안하여 가사를 현실고증에 초점을 두고 수정했으며, 우주 미아가 되며 아내에게 사랑한다는 내용의 유언을 남기는 가사를 지구로 돌아가며 장엄함과 아쉬움을 느끼는 가사로 변경했다.
보위가 생전에 이를 상당히 극찬했으며 소속사 차원에서의 사용 허가를 요청하자 오프라인으로는 발매가 불가능한 제한적 이용을 허가받았다.
Space Oddity Ground Control to Major Tom 지상관제소에서 톰 소령에게 Ground Control to Major Tom 지상관제소에서 톰 소령에게 Lock your Soyuz hatch, And put your helmet on 소유즈 해치를 잠그고, 헬멧을 착용하십시오. (10)[3] Ground Control (9) to Major Tom (8) 지상관제소에서 톰 소령에게 (7, 6) Commencing (5) countdown, engines on (4, 3, 2) 카운트 다운 시작, 엔진 점화 Detach from station (1), And may God's love (Liftoff) be with you 스테이션을 분리합니다, 신의 가호가 함께하기를 This is Ground Control to Major Tom 관제소에서 톰 소령에게 전합니다, You've really made the grade 정말 대단한 일을 해내셨습니다 And the papers want to know whose shirt you wear 신문사들은 당신이 어떤 팀을 응원하는지 궁금해하는군요 [4] But it's time to guide the capsule if you dare 만약 괜찮다면 이제 캡슐을 조종할 시간입니다 This is Major Tom to Ground Control 여긴 톰 소령, 관제소에게 전한다.[5] I've left forevermore 그건 조금 뒤에 하도록 하지. And I'm floating in a most peculiar way 난 지금 가장 독특한 자세로 날고 있어서 말이지.[6] And the stars look very different today 그리고 오늘따라 별이 정말 다르게 보이는군. For here am I sitting in a tin can 이 깡통같은 우주선에 앉아있으니 Far above the world 지구에서 저 멀리[7] Planet Earth is blue, And there's nothing left to do 지구는 푸르고 이젠 더 이상 할 일이 없구먼 (어쿠스틱 기타 리프)[8] Though I've flown one hundred thousand miles, I'm feeling very still 10만 마일이나 날아왔지만, 아주 평온하네 And before too long, I know it's time to go 그리고 더 늦기 전에 가봐야겠구먼 Our commander comes down back to Earth and rolls 우리 사령관이 지구로 돌아갈 때가 됐어 Ground Control to Major Tom 지상 관제소에서 톰 소령에게, The time is near, there's not too long 돌아갈 시간이 다 됐습니다, 얼마 안남았습니다 Can you hear me, Major Tom? 들립니까, 톰 소령? Can you hear me, Major Tom? 들립니까, 톰 소령? Can you hear me, Major Tom? 들립니까, 톰 소령? Can you― 들리― Here am I floating in my tin can 이 깡통에서 떠다니면서 Last glimpse of the world 마지막으로 세상을 내려다 보고있네[9] Planet Earth is blue, And there's nothing left to do 지구는 푸르고, 이제 해야 할 일이 없구먼 (어쿠스틱 기타 리프 + 아웃트로)[10] |
4. 은퇴 후
2013년 7월, 해드필드는 공식적으로 우주비행사에서 은퇴했다. 이후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우주 탐사와 관련된 강연 및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같은 해 10월, 그는 자서전 우주비행사의 지구생활 안내서를 출간했다. 이 책은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큰 인기를 끌었다.또한 2014년 BBC 다큐멘터리 Astronauts: Do You Have What It Takes?에서 심사위원으로 출연했고, 다양한 방송 및 인터뷰에서 과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2021년에는 SF 소설 The Apollo Murders를 집필하며 소설 작가로도 활동했다.
5. 여담
- 2013년 캐나다의 5달러 지폐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뒷면에 그가 설치에 참여한 캐나다암2(Canadarm2) 로봇팔이 그려졌다.
- ISS에서 수행한 다양한 실험과 일상 생활을 기록한 유튜브 콘텐츠가 대중적인 인기를 끌었다.
6. 외부 링크
[1] 댓글의 드립들이 압권이다. "가장 제작비가 많이 든 뮤직비디오", "전 인류가 출연한 뮤직비디오", "해드필드가 지구에서 가장 멋진 사나이가 아닌 유일한 이유는 지구에 없기 때문" 등등.[2] 2015년, 이 곡 외에도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생활하면서 녹음했던 12곡을 담은 Space sessions : Songs from a Tin can이라는 이름의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 본 곡 Space Oddity는 이 앨범의 커버곡을 장식했다.[3] 카운트다운이다.[4] 위 내용은 유튜브 자막 기준이며, 의역이다. 직역은 위 원 가사와 같이 '그리고 기자들은 당신이 어떤 셔츠를 입었는지 알고 싶어합니다.'[5] 실제 크리스 해드필드가 은퇴를 앞둔 우주비행사였음을 감안, 반말로 적는다.[6] 뮤직비디오 참고. 우주선 안에서 난다는 이야기다.[7] 서술 순서가 달라 내용 이해가 애매할 수 있는데, '지구에서 저 멀리, 이 깡통에 앉아서 별을 보니 별이 정말 다르게 보이네' 라는 얘기다.[8] 실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친 기타 리프를 녹음한 것.[9] 뮤비는 차창 옆으로 지구가 비치는 장면이다.[10] 이후 지구로 귀환하는 영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