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0:19:38

크로스아이 베타(나이트런: 레콘키스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작의 크로스아이 베타}}}에 대한 내용은 [[크로스아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크로스아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크로스아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작의 크로스아이 베타: }}}[[크로스아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크로스아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크로스아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나이트런 레콘키스타 로고.png
<colbgcolor=#010101> 유닛 A-10 · 프레이 마이어 · 앤 마이어
크로스아이 알파 · 크로스아이 베타 · 레오
질 맥켈런 · 메이 자일 · 다니엘 레온하르트
드라이 레온하르트 · 피어 · 블루비틀 · 레니
컨텐츠 AB소드 · 스퀘어 오브젝트
기타 테스트 · 발매 전 정보 · A-N

크로스아이 베타
Cross Eye Beta
파일:나레콘 베타.jpg

1. 개요2. 성능
2.1. 능력치2.2. 스킬
2.2.1. 패시브: 복수2.2.2. 궁극기: 바리사다 사출B2.2.3. 궁극기: 이단 심문2.2.4. 사상력 극대화2.2.5. 자밀기관 전개2.2.6. 끊임없는 추격2.2.7. 경질화
2.3. 역할과 조합

1. 개요

나이트런: 레콘키스타의 유닛. 네이버 웹툰 나이트런의 SS급 영식 크로스아이 베타다. 쌍둥이 영식 알파와 함께 출전하였다.

2. 성능

2.1. 능력치

능력치(LV20)
체력 107,170 종족 괴수
공격력 6000 공격속도 18
치명율 10% 치명피해 150%

게임 내 가장 높은 공격력을 지닌 유닛. 질주가 걸렸을 때 높은 dps를 보여주있었지만 질주의 개편으로 공속 4초 고정이 아닌 공속이 2배 빨라지는 효과로 바뀌면서 예전의 위용은 사라졌다.[1] 감전이나 반격에 의해 일찍 다운되는 경우도 잦다.
기본 공격속도는 최하위권이다.

2.2. 스킬

2.2.1. 패시브: 복수

복수
스킬을 3회 사용할 때마다 무작위 아군 대상의 기본 공격력을 15% 상승시킨다.

개편 이후 베타의 저코스트 스킬들의 채용률 자체가 워낙 낮은 편이라 크게 체감하기는 어렵다.

개편 이전에는 알파와 동일하게 인간에게 추가 데미지를 주는 패시브를 가지고 있었다.

2.2.2. 궁극기: 바리사다 사출B

바리사다 사출B(LV10)
<nopad> 파일:BETA_바리사다-사출B.png 분류 궁극기
비용 1
아군 전체에게 보호막 3000030초간 부여하고 적군 전체에게 [취약]을 60초간 부여한다.
*[취약]: 받는 모든 피해가 30% 증가합니다.

보호막이 매우 튼튼하고, 개편 이후 유일한 광역 취약 부여 기술이 되었다.

2.2.3. 궁극기: 이단 심문

이단 심문(LV10)
<nopad> 파일:BETA_이단-심문.png 분류 궁극기
비용 1
적군 전체에게 크로스아이 베타의 잃은 체력 45%의 고정 피해를 주고 [누적:스킬]3를 60초간 부여한다.
*[누적:스킬]: 스택 수에 따라 받는 스킬 피해가 5% 증가합니다. (최대 중첩 10개)

최초로 추가된 2차 궁극기. 먼저 눕는 일이 잦던 베타에게 주어진 강력한 발악기이다. 죽기 직전에 사용하면 피해량 자체도 매우 높고, 스킬 위주의 덱이라면 이후 연계로 광역 극딜도 가능하다. 이 스킬의 존재만으로 상대는 베타를 먼저 노려도 될지 심리적 부담을 느끼게 된다.
당연히 너무 욕심부리다 궁극기를 쓰지도 못하고 베타가 죽으면 게임을 그르치게 된다. 태양검은 대표적인 카운터. 적과 아군의 딜량을 잘 계산할 수 있을 정도의 게임이해도가 뒷받침되어야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2.2.4. 사상력 극대화

사상력 극대화(LV10)
<nopad> 파일:BETA_사상력-극대화.png 분류 특수스킬
비용 3
대상에게 [분산]을 40초간 부여한다.
*[분산]: 어그로 수치가 500 감소합니다.

유일한 분산 부여 기술. 대상의 어그로를 0으로 만들거나, 상대가 건 주목을 상쇄할 수 있다.
개편 직후 평타 관련 조합 전반이 암흑기에 빠진 상태라 채용률은 낮다.

개편 이전에는 치명피해를 영구적으로 강화하는 스킬이었다.

2.2.5. 자밀기관 전개

자밀기관 전개(LV10)
<nopad> 파일:BETA_자밀기관-전개.png 분류 특수스킬
비용 4
적군 대상에게 [누적:스킬]3를 60초간 부여한다.
*[누적:스킬]: 스택 수에 따라 받는 스킬 피해가 5% 증가합니다. (최대 중첩 10개)

단일대상 스킬딜 증폭 기술. 레오의 파동제어와 효과가 동일하다.
개편 이후 디버프의 효율이 급감하여 차라리 스킬 한 번 더 쓰는 게 낫다는 인식이 굳어져 스킬덱에서도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2.2.6. 끊임없는 추격

끊임없는 추격(LV10)
<nopad> 파일:BETA_끊임없는-추격.png 분류 일반스킬
비용 7
크로스아이 베타의 다음 일반 공격이 400%의 추가 피해를 준다.

계수는 낮지만 베타의 기본 공격력이 워낙 높아 데미지는 강력하다.
평타위주 덱에서 반격 유닛을 한 방에 제거하는 용도로 자주 사용한다.

2.2.7. 경질화

경질화(LV10)
<nopad> 파일:CB2.png 분류 일반스킬
비용 2
아군 대상에게 [방어:일반]을 20초간 부여한다.
*[방어:일반]: 받는 다음 일반 피해의 80%를 감소합니다.

본래 다음 평타를 완전히 막는 기술이었으나, 피해경감으로 너프되었다. 전과 달리 경우에 따라 방어에도 불구하고 유의미한 피해를 입게 되었지만, 80%라는 비율이 그리 적은 것도 아니고 이걸 씌워도 어쨌든 데미지가 들어오기 때문에 반격기를 세팅한 블루비틀이나 프레이에게도 별 망설임 없이 씌울 수 있게 되었으므로 마냥 하향이라고 보긴 애매하다.

2.3. 역할과 조합

실제 조합은 보통 아래의 역할들을 적절히 혼합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가장 대표적인 역할은 평타 딜러. 게임 내 가장 강력한 공격력을 활용하여 알파의 다중침식으로 높은 dps를 끌어낸다. 게임 초기부터 존재한 가장 대표적인 시너지조합 중 하나.


최근 추가된 이단심문을 주축으로 하는 조합도 주류가 되었다. 주로 알파, 에텐과 함께 광역딜 위주의 조합을 구성한다.



[1] 동일하게 질주 많이 쓰는 피어는 아이러니하게도 별 문제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