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19:27:29

쿠키런: 오븐브레이크/공략

파일:CookieRun_OvenBreak Logo 2019 Korean.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 calc(4em / 3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222><colbgcolor=#ed9,#540><colcolor=#000000,#fff> 게임 요소 보너스타임 · 쿠키(목록 · 미출시 쿠키 전망) · 마법사탕 · 호감도
스킨 · · 보물 · 퀘스트 · 마법공방
젤리 스킨 · 길드 · 칭호 · 배틀 패스 · 태그 · 수호카드
콘텐츠 스토리모드 · 쿠키의 도전(도전 목록) · 트로피 경기(마스터랜드 역대 맵)
챔피언스 리그(그랜드 챔피언스 리그 · 그랑프리 파이널)
떼탈출(랜덤 챌린지 · 기본모드) · 길드전 · 레이드런 · 기억의 섬 · 테크닉 라이센스
종료 / 한정 쿠키 퀘스트 · 1:1 대전 · 쿠키응원단 · 보물의 도전 · 기간한정 콘텐츠마스터 랜드
사건사고 버그 및 오류 · 무한런 · 논란 · 커뮤니티 관련
시즌6 업데이트 논란(전개 · 라일락맛 쿠키 디자인 변경 논란) · UI 개편의 불편성 · 6주년 업데이트 논란 · 시즌9 업데이트 논란 · 마법사탕 축복 개편 논란
트로피 경기 조합추천 콤비펫이 아닌 쿠키의 조합방법, 이달 조건
떼탈출 조합추천 떼탈출 무뇌런 조합방법 · 떼탈출 랭커런 조합방법 · 떼탈출 막변 조건
기타 평가 · 공략 · 역사 · 기록
단편 애니메이션 · 공식 카페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올해의 쿠키 (2019년 · 2020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도서
오프라인 대회 쿠림픽(쿠림픽 2024) ·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 ||


1. 개요2. 초반 (레벨 1~70)3. 초중반 (레벨 71~145)4. 중반 (레벨 146~230)5. 중후반(레벨 231~300)6. 손크로7. 과금을 할 때8. 젬 교환소 효율

1. 개요

이 문서는 여러 쿠키런 공략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으며, 일부는 주관적일 수 있다.
최신화된 통합 공략은 여기를 참고하자.

2. 초반 (레벨 1~70)

쿠키런을 막 시작했을땐 재화가 부족한만큼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

3. 초중반 (레벨 71~145)

4. 중반 (레벨 146~230)

쿠키의 도전
여유가 있다면 출시컵 5% 보상을 받는 것이 좋다.

보물
빌드에 관련이 없는 점수보물들을 3~4각인 정도 해두면 좋으며 가끔 보물 각인 확률업 이벤트를 할때는 보물 6각인을 많이 찍는 것이 좋다.

멘토멘티 이벤트
가능한 많은 멘티를 구해서 보상을 받자.

5. 중후반(레벨 231~300)

중후반 역시 큰 틀은 초중반, 중반과 비슷하다.

쿠키의 도전
가능한 출시컵에서 좋은 보상을 받자.

6. 손크로

카카오 쿠키런 시절부터 이어져 온 전통있는 비기(?)이자 육성 방법. 주로 코인 벌이 및 마법 주머니 노가다에 사용되며, 버닝 중 쿠키 달리기 횟수 무한 시기에 많이 사용된다. 물론 제작진들 측에선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고, 트로피 경기에서 패작 문제 등으로 인해 편법이라는 인식도 있지만, 이미 공식 카페에서도 대놓고 손크로 언급이 많고, 그 만큼 효과도 좋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저들이 손크로를 많이 하고 있다. 물론 손크로 역시 어느 정도 재력이 있어야만 효과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거의 중상위층 유저들을 위한 빌드로 자리잡고 있다.

손크로에 주로 사용되는 쿠키로는 슈퍼 자력을 가졌거나 자력이 강한 쿠키, 능력 발동 시 판정 박스가 넓어지는 쿠키, 그리고 능력 발동 주기가 짧은 쿠키들이 주로 사용되는데, 쿠오븐으로 넘어오면서 체력이 적어졌기 때문에 능력 발동 주기가 짧은 쿠키들이 많이 각광 받고 있다. 현재 손크로용으로 가장 추천되고있는 쿠키는 시간지기 쿠키[1] 로, 짧은 능력 발동 주기와 슈퍼자력, 그리고 아이템 지속 시간 50% 증가라는 손크로에 매우 유리한 특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보물의 경우 쿠오븐으로 넘어오면서 많은 제약을 가지게 되었지만, 그래도 없으면 안되기 때문에 최대한 쿠키들의 생존성을 높이는 보물들을 장착한다. 주로 충돌을 막아주는 엔진과 방패를 사용하며, 구멍 구출을 위해 트램펄린을 사용한다. 코인 벌이의 경우 산호초, 코인 폭죽이나 저금통을 사용하는데, 방패와의 시너지가 좋기 때문에 같이 사용된다. 그 외에도 장애물을 파괴하고 주머니 같은 재화를 끌어오게 도와주는 소라나 아이템을 주는 지도나 보물상자도 사용된다.

7. 과금을 할 때

여기서 소개하지 않은 패키지 효율을 알고싶다면 쿠키런 현질 효율 계산기를 적극 이용하자.

해당 사이트에서 재화의 평가 방식은 다음과 같다.
크리스탈1.1원
무지개큐브2.2원
코인(백만)400원[2]
골드젬1.2원[3]
구매를 추천하는 패키지들은 다음과 같다.

8. 젬 교환소 효율

상품들의 대략적인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아래에 없는 상품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면 안 좋은 것들이다.

* 필수 구매 품목
* 크리스탈: 계정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재화이다.
* 최고급 쿠키 상자와 펫 알: 단, 미보유 쿠키가 등장할 확률은 낮으므로 원하는 쿠키를 얻고 싶다면 잠금 해제하고 사는 게 좋다.
* 쿠키 물약 / 펫 물약: 쿠키와 펫을 업그레이드 하는 데 필수적이다.
* 설탕 결정: 레전더리 마법사탕을 제작하고 있거나 마법공방을 자주 이용한다면 다이아몬드, 금빛 설탕 결정은 사면 좋다.
* 레전더리 쿠키 / 펫 / 보물 / 마법사탕 재료: 현재 쓸만한 레전더리들은 사야 한다.
* 무지개큐브 / 스킨 묶음 뽑기 티켓 / 젤리스킨 묶음 뽑기 티켓 / 빈티지 스킨 항아리: 스킨을 모으고 있다면 사야 하지만 스킨을 가지고 있다고 점수가 눈에 띄게 오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크리스탈 같은 재화에 비해서 우선순위는 낮다.
* 코인: 코인이 급하다면 사는 게 좋다.
* 마법가루: 마법공방을 자주 이용하거나 마법사탕을 많이 제작하는 중이라면 마법가루가 부족하므로 사는 게 좋다.
* 보물보증서: 보물이 만렙이 아니라면 사는 게 좋다. 1개짜리 보물보증서가 보상이 그렇게 좋지는 않지만 가격이 비싸지도 않으므로 웬만하면 구매하는 게 더 낫다.
* 스페셜 10+1 보물보증서: 초기화될 때마다 무조건 사야 한다. 일반 보물보증서는 구매하지 않아도 이것만큼은 구매해야 한다.
* 랜덤 챌린지 티켓: 2,000젬밖에 안 하므로 크리스탈로 입장하는 것보다 훨씬 이득이기 때문에 랜덤챌린지를 하려면 티켓을 구매하고 입장하는 게 좋다.
* 각종 설계도: 재화 수급에 조금 기여를 해주므로 다른 재화와 같이 사는 게 좋다.
* S급 스킬젬: 사는 게 좋다. 레이드런에 관심이 있다면 무조건 사야 하고, 관심이 없더라도 갈아서 마법가루라도 얻을 수 있다.


[1] 였으나 2022/01/14 패치로 쿨타임 너프, 능력 발동중 체력 감소 증가 너프를 먹어서 힘들어졌다.[2] 코인벌이가 넉넉한 후반에는 0원으로 계산해도 됨.[3] 크리스탈, 무지개 큐브, 쿠키/펫 물약 등 가장 교환이 자주되는 재화를 기준으로 먼저 평균가를 구하고, 주간 구매 횟수 제한 및 최대 소지가 5만 골드젬, 일부 상품 구매시에는 레전더리 젬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여 1.2원으로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