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 calc(4em / 3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222><colbgcolor=#ed9,#540><colcolor=#000000,#fff> 게임 요소 | 보너스타임 · 쿠키(목록 · 미출시 쿠키 전망) · 마법사탕 · 호감도 스킨 · 펫 · 보물 · 퀘스트 · 마법공방 젤리 스킨 · 길드 · 칭호 · 배틀 패스 · 태그 · 수호카드 |
콘텐츠 | 스토리모드 · 쿠키의 도전(도전 목록) · 트로피 경기(마스터랜드 역대 맵) 챔피언스 리그(그랜드 챔피언스 리그 · 그랑프리 파이널) 떼탈출(랜덤 챌린지 · 기본모드) · 길드전 · 레이드런 · 기억의 섬 · 테크닉 라이센스 | |
종료 / 한정 | 쿠키 퀘스트 · 1:1 대전 · 쿠키응원단 · 보물의 도전 · 기간한정 콘텐츠ㆍ마스터 랜드 | |
사건사고 | 버그 및 오류 · 무한런 · 논란 · 커뮤니티 관련 시즌6 업데이트 논란(전개 · 라일락맛 쿠키 디자인 변경 논란) · UI 개편의 불편성 · 6주년 업데이트 논란 · 시즌9 업데이트 논란 · 마법사탕 축복 개편 논란 | |
트로피 경기 조합추천 | 콤비펫이 아닌 쿠키의 조합방법, 이달 조건 | |
떼탈출 조합추천 | 떼탈출 무뇌런 조합방법 · 떼탈출 랭커런 조합방법 · 떼탈출 막변 조건 | |
기타 | 평가 · 공략 · 역사 · 기록 단편 애니메이션 · 공식 카페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올해의 쿠키 (2019년 · 2020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도서 | |
오프라인 대회 | 쿠림픽(쿠림픽 2024) ·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
1. 개요
이 문서는 여러 쿠키런 공략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으며, 일부는 주관적일 수 있다.최신화된 통합 공략은 여기를 참고하자.
2. 초반 (레벨 1~70)
쿠키런을 막 시작했을땐 재화가 부족한만큼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 메인 스토리(용감한 쿠키의 모험)
보상이 상당히 좋고 티켓을 퍼주니 무조건 끝까지 달려주자. "눈을 뜨는 용들의 섬"까지 달렸다면, 코인 수급을 위해 매일 스토리 5회 달리기는 필수. 여기서 용감한 쿠키, 캡틴 아이스 쿠키, 악마맛 쿠키, 비트맛 쿠키, 눈설탕맛 쿠키, 요거트크림맛 쿠키, 인삼맛 쿠키와 이들의 짝꿍 펫들을 전부 만렙을 달성할 수가 있다.
- 쿠키의 도전
용감한쿠키와 히어로맛 쿠키의 다이아몬드 및 보너스 미션을 모두 달성하자. 저 둘은 뉴비 지원용 도전이라 매우 쉬우며 보상도 쏠쏠하기 때문. 그리고 출시이벤트를 하는 에픽(레전더리X) 쿠키를 잠금해제한 후, 무지개까지 달성해서 출시 보상을 받아야한다. 여기에 투자하는 재화는 아까워하지 않아도 된다. 어차피 최신 쿠키라 당장 컨텐츠들에 투입시킬 수 있기도 하고, 뉴비가 귀한 레전드젬을 날먹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 쿠키와 펫
뉴비이기 때문에 좋은 쿠키와 나쁜 쿠키의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신규 쿠키라면 다 좋은 줄 알았을지도 모르지만 츄러스맛 쿠키처럼 나왔을 때 평이 별로거나 블루파이맛 쿠키, 체스초코 쿠키처럼 나오자 마자 이달의 선구자 또는 이달의 정석 등의 칭호가 붙게 된 쿠키도 있다. 그러니 커뮤니티 질문, 유튜브 등을 통해 평가가 좋은 신쿠키나 버프된 쿠키를 골라서 키우자. 이때는 키우고 있는 쿠키를 버리고 다른 쿠키를 키우려 하는 것은 금물.
- 골드상자
쿠오븐 성장의 핵심. 쿠키 해금에 필요한 별사탕과 중복 없이 쿠키/펫들을 무더기로 지급한다. 단순하게 모든 에픽쿠키가 만렙이 될때까지 까면된다. 하루에 9개는 필수로 까야하며, 후술할 로얄클럽으로 17개씩 까는것을 권장한다.
- 보물
초반에는 보물보다는 쿠키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 트로피 경기
매일 트로피 부스트까지 플레이하고 각 맵들의 미션을 최대한 많이 클리어하자.
- 떼탈출
뉴비는 랭킹권 조합을 맞추기 힘들 것이므로 아무 만렙 쿠키들만 기용해도 달성 가능한 등급인 다이아몬드까지만 주차하자.
- 기억의 섬
별 130개까지 받으면 많은 크리스탈과 쿠키물약을 주니 시간이 남아돈다면 하는것도 좋다.
- 멘토멘티 이벤트
멘토를 꼭 구하는 것이 좋다. 초반 경기에서는 멘토에게 빌린 쿠키, 펫, 보물의 사용 여부가 경기에서의 순위를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꼭 좋은 쿠키를 요청해서 받도록 하자.
- 기타
친구 목록에서 선물 요청을 해 선물을 받으면 탈출 레벨을 빠르게 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추천친구라도 추가하거나 쿠키런 커뮤니티에 친구요청글을 올리자.페이스북에 로그인을 하면 크리스탈 100개를 준다. 매달 쿠폰번호를 입력하면 각종 보상을 준다. 쿠키런을 한달동안 안 하다가 들어가면 복귀 출석체크로 일주일에 걸쳐 크리스탈 1만개를 주니 버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만 한정스킨을 얻지못하고 계정이 성장하게 되면 컨텐츠 플레이가 더 높은 재화를 얻게 되므로 중후반부에는 버티는 방법은 비추.
3. 초중반 (레벨 71~145)
- 보물
핫핫 스파이시 터보 엔진은 거의 모든 컨텐츠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므로 늦어도 55렙 정도가 되면 풀각을 할 수 있도록 보물을 선택해 놓고 뽑아야한다. 빌드 관련 보물은 롤리팝 스케이트, 완벽한 보물지도, 부활의 붉은 알, 부활의 날개 젤리가 있으나 이 보물들은 엔진보다는 사용률이 낮으므로 아직 쿠키를 안정적으로 성장시키거나 하지 못했다면 꼭 키우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꼭 보물지도 만큼은 꼭 1렙이라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은데 빌드로서는 1렙이여도 풀각과 동일한 효과를 내기 때문에'빌드는 똑같이 따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점수 보물은 웬만해선 최신 보물들이나 버프 먹은 보물이 점수가 가장 좋게 나오기 때문에 에픽 선택시 엔진 하나에 나머지 두개는 최근 버프받은 보물을 넣는 것이 좋다. 또한, 특수 조건 으로 점수를 얻는 보물들은 단순 점수 보물보다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키워두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황금치즈 곡괭이(장애물 파괴 조합에 사용) 불끈 파워 에너지드링크(광속질주 조합에 사용) 사과사탕 풍선(젤리생성이 많은 조합에 사용) 과 여러 곰젤리 관련 보물이 있다.
- 떼탈출
쿠키가 있다면 유튜브에 있는 랭킹권 빌드를 따라해 레전드젬을 얻으면 좋다.
- 길드
이때부턴 길드 가입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기 시작한다. 웬만하면 길드에 가입하며 길드빙고를 찍고 길드전도 꼬박꼬박 달려주는게 좋다.
- 기타
초반에는 성장이 목적이므로, 기본적으로 크리스탈 1만개 이상을 구비할 수 있도록 모아두어야 한다. 코인이 부족해졌다면 마법공방에서 만들어도 되지만 나중을 위해 코인작을 해놓는 것도 좋다.
4. 중반 (레벨 146~230)
쿠키의 도전여유가 있다면 출시컵 5% 보상을 받는 것이 좋다.
보물
빌드에 관련이 없는 점수보물들을 3~4각인 정도 해두면 좋으며 가끔 보물 각인 확률업 이벤트를 할때는 보물 6각인을 많이 찍는 것이 좋다.
멘토멘티 이벤트
가능한 많은 멘티를 구해서 보상을 받자.
5. 중후반(레벨 231~300)
중후반 역시 큰 틀은 초중반, 중반과 비슷하다.쿠키의 도전
가능한 출시컵에서 좋은 보상을 받자.
6. 손크로
카카오 쿠키런 시절부터 이어져 온 전통있는 비기(?)이자 육성 방법. 주로 코인 벌이 및 마법 주머니 노가다에 사용되며, 버닝 중 쿠키 달리기 횟수 무한 시기에 많이 사용된다. 물론 제작진들 측에선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고, 트로피 경기에서 패작 문제 등으로 인해 편법이라는 인식도 있지만, 이미 공식 카페에서도 대놓고 손크로 언급이 많고, 그 만큼 효과도 좋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저들이 손크로를 많이 하고 있다. 물론 손크로 역시 어느 정도 재력이 있어야만 효과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거의 중상위층 유저들을 위한 빌드로 자리잡고 있다.손크로에 주로 사용되는 쿠키로는 슈퍼 자력을 가졌거나 자력이 강한 쿠키, 능력 발동 시 판정 박스가 넓어지는 쿠키, 그리고 능력 발동 주기가 짧은 쿠키들이 주로 사용되는데, 쿠오븐으로 넘어오면서 체력이 적어졌기 때문에 능력 발동 주기가 짧은 쿠키들이 많이 각광 받고 있다. 현재 손크로용으로 가장 추천되고있는 쿠키는
보물의 경우 쿠오븐으로 넘어오면서 많은 제약을 가지게 되었지만, 그래도 없으면 안되기 때문에 최대한 쿠키들의 생존성을 높이는 보물들을 장착한다. 주로 충돌을 막아주는 엔진과 방패를 사용하며, 구멍 구출을 위해 트램펄린을 사용한다. 코인 벌이의 경우 산호초, 코인 폭죽이나 저금통을 사용하는데, 방패와의 시너지가 좋기 때문에 같이 사용된다. 그 외에도 장애물을 파괴하고 주머니 같은 재화를 끌어오게 도와주는 소라나 아이템을 주는 지도나 보물상자도 사용된다.
7. 과금을 할 때
여기서 소개하지 않은 패키지 효율을 알고싶다면 쿠키런 현질 효율 계산기를 적극 이용하자.해당 사이트에서 재화의 평가 방식은 다음과 같다.
크리스탈 | 1.1원 |
무지개큐브 | 2.2원 |
코인(백만) | 400원[2] |
골드젬 | 1.2원[3] |
- 로얄클럽(1순위): 타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권 패스. 자잘한 보상들이 많지만 주 보상은 골드티켓 2배로 17골상작을 원활하게 하는것이다. 하나 사는것만으로도 계정 육성 속도가 2배 빨라진다고 보면 되며, 무과금 지향 유저더라도 로얄클럽만큼은 구매를 적극 추천한다.
- 소과금
- 오븐패스 (7,900원, 14일마다 2회 제한)
- 쿠키 골라담기 패키지 / 레벨 점핑 패키지류 (5,500원, 5회 한정, 쿠키만 구매)
- 업데이트 대비 패키지 (3,300원)
- 신규 에픽 쿠키 패키지 (9,900원, 1회차만 구매)
타 게임과 달리 단순히 골상만 까면 충분히 모든 보상 쉽게 받을 수 있으므로, 2회 모두 구매를 추천한다. 과금효율은 210%.
그챔, 쿠짱매치, 바꿔런, 팀파이트 등 서브콘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이벤트 탭에 들어가면 판매하는 패키지. 굳이 쿠키를 잠금 해제할 수 있지 않아도 효율이 216%로 매우 좋은 편이니 만렙이 아닌 쿠키가 있다면 구매를 적극 권장한다.
업데이트 24시간 전부터 판매한다. 효율이 좋은 편이므로 구매 추천.
별사탕이 충분하지 않은 유저 한정으로, 신규 에픽 쿠키를 즉시 잠금해제하고 11레벨까지 올릴 수 있는 신규 에픽 쿠키 패키지의 가성비가 괜찮다.
8. 젬 교환소 효율
상품들의 대략적인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아래에 없는 상품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면 안 좋은 것들이다.* 필수 구매 품목
* 크리스탈: 계정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재화이다.
* 최고급 쿠키 상자와 펫 알: 단, 미보유 쿠키가 등장할 확률은 낮으므로 원하는 쿠키를 얻고 싶다면 잠금 해제하고 사는 게 좋다.
* 쿠키 물약 / 펫 물약: 쿠키와 펫을 업그레이드 하는 데 필수적이다.
* 설탕 결정: 레전더리 마법사탕을 제작하고 있거나 마법공방을 자주 이용한다면 다이아몬드, 금빛 설탕 결정은 사면 좋다.* 최고급 쿠키 상자와 펫 알: 단, 미보유 쿠키가 등장할 확률은 낮으므로 원하는 쿠키를 얻고 싶다면 잠금 해제하고 사는 게 좋다.
* 쿠키 물약 / 펫 물약: 쿠키와 펫을 업그레이드 하는 데 필수적이다.
* 레전더리 쿠키 / 펫 / 보물 / 마법사탕 재료: 현재 쓸만한 레전더리들은 사야 한다.
* 무지개큐브 / 스킨 묶음 뽑기 티켓 / 젤리스킨 묶음 뽑기 티켓 / 빈티지 스킨 항아리: 스킨을 모으고 있다면 사야 하지만 스킨을 가지고 있다고 점수가 눈에 띄게 오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크리스탈 같은 재화에 비해서 우선순위는 낮다.
* 코인: 코인이 급하다면 사는 게 좋다.
* 마법가루: 마법공방을 자주 이용하거나 마법사탕을 많이 제작하는 중이라면 마법가루가 부족하므로 사는 게 좋다.
* 보물보증서: 보물이 만렙이 아니라면 사는 게 좋다. 1개짜리 보물보증서가 보상이 그렇게 좋지는 않지만 가격이 비싸지도 않으므로 웬만하면 구매하는 게 더 낫다.
* 스페셜 10+1 보물보증서: 초기화될 때마다 무조건 사야 한다. 일반 보물보증서는 구매하지 않아도 이것만큼은 구매해야 한다.
* 랜덤 챌린지 티켓: 2,000젬밖에 안 하므로 크리스탈로 입장하는 것보다 훨씬 이득이기 때문에 랜덤챌린지를 하려면 티켓을 구매하고 입장하는 게 좋다.
* 각종 설계도: 재화 수급에 조금 기여를 해주므로 다른 재화와 같이 사는 게 좋다.
* S급 스킬젬: 사는 게 좋다. 레이드런에 관심이 있다면 무조건 사야 하고, 관심이 없더라도 갈아서 마법가루라도 얻을 수 있다.
[1] 였으나 2022/01/14 패치로 쿨타임 너프, 능력 발동중 체력 감소 증가 너프를 먹어서 힘들어졌다.[2] 코인벌이가 넉넉한 후반에는 0원으로 계산해도 됨.[3] 크리스탈, 무지개 큐브, 쿠키/펫 물약 등 가장 교환이 자주되는 재화를 기준으로 먼저 평균가를 구하고, 주간 구매 횟수 제한 및 최대 소지가 5만 골드젬, 일부 상품 구매시에는 레전더리 젬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여 1.2원으로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