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04 15:07:12

코즈믹 브레이크 소라의 전단



사이버스텝사의 코즈믹 시리즈
서비스 중
<colbgcolor=white,#383b40> 온라인 <colbgcolor=#f1f0f0>강철전기 C212006 · 코즈믹 브레이크 유니버설2021
싱글·기타 코즈믹 브레이크 건&슬래시2021 · 코즈믹 카드 게임2022
<nopad> {{{#!folding 서비스 및 판매 종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em"
코즈믹 브레이크2007 · 코즈믹 커맨더2011 · Combat Bots Cosmic Commander2012
코즈믹 아레나2015 · 코즈믹 브레이크 소라의 전단2016
}}}}}}
시리즈 등장인물 및 설정


コズミックブレイクソラの戦団/Cosmic Break Adventure

파일:external/pds25.egloos.com/f0009417_564c628776321.png

공식 PV
http://cbss.cyberstep.jp/
1. 개요2. 주요 등장인물3. 등장 로이드
3.1. 1성 로이드3.2. 흄, 지아스 기체
3.2.1. 소형3.2.2. 대형
3.3. 로봇 기체
3.3.1. 소형3.3.2. 대형3.3.3. 어둠의 로이드
4. 시스템5. 스테이지
5.1. 이벤트 스테이지5.2. 일반 스테이지
6. 문제점7. 여담

1. 개요

사이버스텝사의 코즈믹 시리즈의 최신작으로 안드로이드/IOS용의 모바일 게임이다. 2016년 3월 1일부터 배포 개시했다. 아이폰은 해당사항이 없지만 안드로이드의 구글 앱스토어의 경우 일본 IP외 다운로드를 막고 있다. 게임 자체는 플레이 가능. 따라서 Qooapp 등의 다른 안드로이드 마켓을 이용하거나, APK를 직접 구하거나, 일본 구글스토어 아이디를 만들어 일본 IP로 접속해서 받으면 된다.

평화로운 숲의 별 포인에 살고있던 크림로제제로 파이터가 갑자기 흉폭화한 주민들과 그런 폭주화에 관련된 물건[1]을 쫓아 여러 별들을 돌아다니며 사건을 해결한다는 내용의 작품이다.

장르상으로는 별들을 여행하는 풀보이스[2] RPG라 표명하나 코즈믹 커맨더의 외전작인 캠뱃보츠 코즈믹 커맨더의 시스템을 대폭 차용한 전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코즈믹 브레이크 2의 일부 OST를 재활용했다.

국내에는 모비릭스에서 코즈믹브레이크 어드벤처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운영했었다.[3] 하면 할수록 머리가 좋아진다고 한다. 2016년 11월달 부터 예약을 받기 시작한것이 계속 미뤄지다가 2017년 4월 4일로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한국어판의 경우 일부분 굴림체를 사용해서 싸구려 게임 느낌이 나는데다 가독성이 떨어지는 게 좀 문제.

2017년 11월 17일 부로 1년조차도 버티지 못하고 한국 서비스를 종료했다. ##

또한 2017년 11월 이후 일본 서버마저도 아무런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있다가 2018년 11월 30일에 완전히 서비스 종료를 하고 말았다. 서비스 기간은 약 2년 8개월 정도이며, 서비스 종료한 다른 사이버스텝 모바일 게임들과 비교했을때 서비스 기간이 가장 긴 편이다.

2. 주요 등장인물

파일:external/cbss.cyberstep.jp/img_cast01.png
마지막 등급인 5성으로 진화할시 기존 격투 공격 스킬이 끝난 후 자신과 자신 앞의 아군에게 방어력 증가를 건다. 크림로제가 중위 기체라 내구형이나 전위 기체 바로 뒤에 있다는 걸 생각하면 좋은 장점.

파일:external/cbss.cyberstep.jp/img_cast03.png
마지막 등급인 4성으로 진화할 시 기존 격투 공격 스킬이 끝난 후 자신과 자신 뒤에 있는 아군에게 공격력 증가를 건다. 크림로제와 비슷하게 제로파이터는 전위 기체라서 보통 아군 맨 앞에 있는 걸 생각하면 좋은 장점.

3. 등장 로이드

코즈믹 브레이크 1의 지아스 기체와 코즈믹 브레이크 2(코즈믹 아레나)의 흄이 모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인간형의 로봇 = 지아스, 인간 = 흄으로 완전히 설정의 가닥이 잡힌 듯 하다.

3.1. 1성 로이드

이 단계 로이드들은 사용 가치가 전혀 없는 똥통 유닛들이다. 쓸 일은 없는 유닛이지만 로스트 빅토리의 총알받이로는 딱일까 싶다....
3행성 EX에서 등장하는 빨간 마니모는 체력이 1인 대신에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는데, 이 새빨간 마니모의 공격에 맞으면 약 10만의 데미지를 입는다. 당연히 버틸수 있을리가 없다.[4] 그래서 이런 경우는 낮은 에너지 로이드에 드로우 숫자가 많은 로이드를 데려가는 게 오히려 효율이다. 어차피 공정하게 한대각이면 드로우수가 많으면 아무리 한대라 하여도 그 많은 로이드들을 치는 거는 빨간 마니모들도 힘들다.

3.2. 흄, 지아스 기체

원래는 싼 가격에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유리몸컨셉인 기체였지만, 지금은 고코스트에 좋은 좋은 스펙을 지니고 있는 유닛들이 대부분이다.

3.2.1. 소형

파일:external/appdata.hungryapp.co.kr/W149130209796957254.jpg
HP 1420 / ATK 183 / E 315 / 후위 공격헝
5성 가라폰 입수기체. 목소리는 곶아믹꺼 우려먹기1 흉악한 공격력이 특징이다.
블래스트레일건은 자신과 같은 횡라인에 있는 적을 모두 공격해 적의 공격력을 일정시간 낮추고 비행+20%의 보정을 갖는다. 코스트 대비 공격력이 높은 편이나 그만큼 내구력이 심각하게 낮다.
파일:external/appdata.hungryapp.co.kr/W149130204683052254.jpg
HP 2680 / ATK 141 / E 395 / 전위 공격헝
5성 가라폰 입수기체. 원작에서도 언급된 지쿤론의 남동생이다. 인남캐 버프인지 동생이 누나보다 쎄다
콩주가 방어형이면, 후군은 공격형이다. 타이거클로는 전방의 적 하나에게 격투공격을 하고 가로열 아군전부에게 공격력 증가 버프를 가한다.
원거리 공격시 1정의 드럼건으로 공격한다.
파일:external/appdata.hungryapp.co.kr/W149130209920007254.jpg
5성 가라폰 입수기체. 특수기는 자기 한칸 앞 아군에게 배리어를 걸어준다. 정식 서비스 초반에는 그런데로 유용한 스킬이었으나 스킬 공격은 막질 못하기 때문에 2017년 기준으로 좋다고 하기는 어렵다. 탱커로서의 내구력도 좋다고 하긴 어려우나 코스트가 싼편이라 어느 정도 한돌이 되고 육성이 되었다면 써먹을만 하다. 물론 한돌레빗을 일부러 투자할 정도는 아니라는 거에 유의.
파일:external/a05ec529841478bdb3536f98549a92a4c99626b5c9c3043b885375a62e99d620.jpg
HP 3720 / ATK 83 / E 410 / 전역 보조형
펌프킨리커 : 임의의 횡라인에 있는 가장 앞의 적 1기와 뒤에 있는 적 최대 2기에게 특성에 따른 대미지보정과 거리에 의한 대미지감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랜덤상태이상(독,마비,봉인,공격다운,방어다운,스피드다운) 중 하나를 부여 한다.
특성 : 비행
내구가 높으면서 유틸성이 좋은 스킬이 장점.

3.2.2. 대형

3.3. 로봇 기체

에너지 대비 좋은 성능을 가진 기체들이 많다. 5성 L 사이즈 로봇 기체들은 거의 다 좋은 편이다.

3.3.1. 소형

3.3.2. 대형

3.3.3. 어둠의 로이드

코즈믹 커맨더에서 등장했던 기존 기체의 몬스터 버전. 여기서는 설정상 어둠의 로이드들은 닥터 사타니스가 만든 로이드들이며 얼굴하고 그 이빨 모양이 특징이다. 생산은 갓웨이에서 만들어졌으며 어둠의 로이드들은 빙하의 행성 데고에서부터 등장한다. 이들의 목적은 행성계를 어둠으로 물들이는 것이다.[스포일러]

4. 시스템


기체의 속성외에도 공중이나 지상, 대형 판정을 받게 되는데 통상공격에는 차이가 없지만 스킬에 따라 추가 데미지를 받게 된다.

5. 스테이지

현재는 10 스테이지+2 이벤트 스테이지가 나와 있으며, 모든 스테이지는 10개의 에이리어를 제공하며, 1 스테이지를 제외하면 1레벨당 노멀, 하드챌린지, 타임어택의 3개의 바리에이션을 지니고 있다. 즉 월드 하나당 30레벨이 있는 셈.
지금 한국서비스는 9-10까지 밖에 안나온 상황 일본서비스는 10-10이라는 스테이지가 존재한다.

5.1. 이벤트 스테이지

이벤트 스테이지는 어둠의 로이드들도 나온다.
이벤트스테이지는 일반 스테이지랑 다르므로 드로이들을 배치하는 유닛 패턴이 할 때마다 바뀌며 후반으로 가면 갓웨이처럼 어려워진다.
A와 B를 보고 따지면 똑같을꺼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상 A가 더 쉽다 A-10은 로스트빅토리가 얼마 안나올뿐더러 3명이 최대며
B-10은 처음부터 로스트빅토리가 나올뿐더러 최대 5이상이 잇다라 나온다.

일본서버에서는 요일 스테이지로 변경되어서 월, 화, 수, 목, 금요 스테이지와 토일의 코인스테이지의 6가지가 존재한다. 기존 이벤트스테이지 갱신으로 얻을 수 없게 되었던 루치아나 포아나등이 개편으로 다시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제로세이버나 가나하운드등 5성기체도 나오게 되었다.

5.2. 일반 스테이지

스테이지의 명칭은 일부를 제외하고 강철전기 C21의 행성 이름과 컨셉을 비슷하게 가져왔다.
한산한 숲이 배경인 행성. 크림로제와 제로파이터가 살던 행성이기도 하다. 참고로 1-1과 1-2는 레벨이 1개밖에 없다.

입수 가능한 기체 : 크림로제, 제로파이터, 프로그랜더, 마니모, 고블, 비졸A, 캐논볼, 우트리(랜덤), 릴리레인.[20]
등장 적 기체 : 프로그랜더, 비졸A, 캐논볼, 모그니드, 마니모, 고블, 우트리.

첫 스테이지 답게 매우 쉽다. 웬만한 기체를 써도 클리어가 가능. 다만 타임 어택은 조금 조합을 신경쓰도록 하자. 고레벨 저에너지 기체를 도배하는 전략이 잘 먹히는편.


황야의 행성. 황량한 사막이라기보단 서부 스테이지. 오히려 사막은 갈드다. 오래되고 우락부락한 성격들의 로봇이 많이 등장한다.

입수 가능한 기체 : 재규어 암, 메가톤 킹, 빅토리1, 크림로제, 제로파이터(랜덤), 프로그랜더(랜덤), 비졸A(랜덤), 캐논볼(랜덤).
등장 적 기체 : 재규어 암, 소드 윙, 빅토리1, 메가톤 킹, 스콜탄, 비틀랜더, 프로그랜더, 비졸A, 캐논볼, 모그니드, 데카무카.

배치와 기체만 잘 신경써준다면 쉽다. 보스인 릴리레인도 신경만 잘 써주면 전멸당하는 일은 드문 편.


밤의 행성. 네온사인이 밝혀진 밝은 야간 도시 배경의 스테이지.

입수 가능한 기체 : 프리스톨 Q, 다루마스터, 샤인 버스터, 릴리레인, 재규어 암(랜덤), 메가톤 킹(랜덤), 빅토리1(랜덤).
등장 적 기체 : 프리스톨 Q, 섀도우 헌터, 샤인 버스터, 샤인 배틀러, 빅토리1, 소드 윙, 비틀랜더.

여기서부터 물량 전략이 잘 안먹히기 시작한다. 샤인 배틀러의 존재 때문에 근접 딜러들이 잘 녹아내리니 Hp위주로 선별하고, 마침 여기서부터 힐러 기체가 나오니 행운을 빈다. 보스 스테이지는 약간 어려운 편인데 악의 코스모피스에 처음부터 공격을 집중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EX 스테이지도 존재한다.


사막 행성. 유적 컨셉의 스테이지. 그에 맞춰 연식이 좀 되는 조금 오래된 로봇들도 많이 출연해 준다.

입수 가능한 기체 : 카멘티스, 마하 나이트, 크림로제, 프리스톨 Q(랜덤), 다루마스터(랜덤), 샤인 버스터(랜덤).
등장 적 기체 : 섀도우 헌터, 카멘티스, 디스트럭트, 마하 나이트, 피자리번, 크로스랩터, 호네본.

슬슬 난이도가 올라가는 게 느껴지지만 몇몇 스테이지를 제외하면 무난하다. 4~5성 기체가 한두개 정도 있으면 더욱 수월한 편. 유닛들이 생존에 최적화되어 있으니 딜을 위주로 챙겨가는 것이 좋다. 피자리번은 전선에 나오면 잉여지만 탱커 뒤에 쌓이면 답이 없으니 주의.
보스는 체력만 많고 쉬운 편이므로 긴장 풀자.


눈과 시럽으로 뒤덮여 있는 빙하 행성. 슬슬 제대로 된 유닛들이 적으로 나오기 시작하고 막히는 일이 늘어난다.

입수 가능한 기체 : 샤인 메이지, 메카제터, 렙셉터, 카멘티스(랜덤), 마하 나이트(랜덤).
등장 적 기체 : 피자리번, 크로스랩터, 샤인 메이지, 렙셉터, 폰자, 알바트레오스, 메카제터, 호버리온, 야도크랜더(어둠의 로이드 버전 프로그랜더), 킬러비졸(어둠의 로이드 버전 비졸 A)

보스는 어둠의 로이드 버전 메가톤 킹. 무기가 발칸으로 변경되었고 HP가 무지막하게 상향을 먹었다. 다만 피만 많은 놈들이니 적절하게 힐러랑 딜러를 배치하면 된다. 메카제터와 폰자가 위협적이며, 샤인 메이지는 배치가 참으로 개판이다.(샤인 메이지는 스펙이 조금 낮은 대신 세로 라인을 회 복하는 힐러인데, 이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닛들과 같이 세로 라인에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


기계의 도시. 메인보드와 비슷한 도시이며, 크림에 의하면 메카메카한 도시라고. 가운데에 시험관 속에 뇌가 있는 것이 특징.

입수 가능한 기체 : 메컬드, 고스레이더, 미카도맥스, 샤인 메이지(랜덤), 메카제터(랜덤).
등장 적 기체 : 폰자, 호버리온, 메컬드, 고스레이더, 헬링걸, 가시마 갑식, 미카도맥스, 가나하운드, 어둠의 로이드.
이제부터 상당히 어려워지기 시작한다. 막힌다면 다른 곳에서 천천히 랭크를 올리자. 상당한 딜링을 가진 호버리온을 주의하자. 미카도맥스는 탱커 없이 너무 앞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고, 헬링걸은 영 좋지 않은 스테이터스로 등장한다. 보스는 닥터 사타니스이며 공격력은 강하지않지만 무식하게 많은 체력이 특징. 소환하는 어둠의 로이드도 위협적이다. 특히 로스트 빅토리(어둠의 로이드 버전 빅토리1)를 가장 주의할 것.


심해 행성. 용궁 비슷하게 꾸며져 있다. 어째서인지 로봇이건 지아스건 잘만 작동하는듯.(...)

입수 가능한 기체 : 하이 프리스톨, 새저틀 맥시스, 메카제터(랜덤), 메컬드(랜덤), 미카도맥스(랜덤).
등장 적 기체 : 하이 프리스톨, 블리츠폰자, 새저틀 맥시스, 에스카고트, 카멘티스 H-ARMS, 네거파이터(어둠의 로이드 버전 제로파이터), 야도크랜더, 킬러비졸, 로스트 빅토리, 일리걸폰(어둠의 로이드 버전 폰자), 데빌제터(어둠의 로이드 버전 메카제터)

이제부터 등장하는 어둠의 로이드들은 현재까지는 CPU 전용 유닛이며, 이 후에도 플레이어의 혈압을 거꾸로 솟게 만드는데에 80%정도 한 몫한다.

킬러비졸은 비졸A보다 훨씬 더 강력한 공격력으로 등장한다. 독 스킬은 변함없는 것이 위안거리.
네거파이터는 주인공 제로파이터보다 훨씬 더 강력한 능력치로 등장한다.
야도크랜더는 체력이 높아서 골때린다. 광역 도발 스킬은 변함없다.
로스트 빅토리은 요주의 유닛이다. 딜러 주제에 체력이 튼튼하며, 평타를 한 대 맞으면 데미지가 1200~ 2000까지 뜬다. 스킬 공격은 그 2배로, 약 2400~4000까지 뽑힌다. 탱커도 허덕이며, 딜러는 비명횡사하기 일보 직전이거나, 아예 찍소리 못하고 죽는다. 때문에 빨리빨리 처리하는 게 좋다. ...지만 문제는 혼자 덜렁 나오는 게 아니라 네거파이터같은 탱커들과 같이 나오니 더 죽이기 힘들어진다.
살아남을려면 당시의 로이드들의 배치를 신경쓰자.하면 할수록 머리가 좋아진다고 하는말은 그냥하는 말이 아니다.

데빌제터도 무시할 수 없는 딜러형 유닛으로,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딜링과 매우 강한 한 라인 전체 공격 스킬의 위력은 뛰어나다.


용암의 행성. 그리고 어트랙션이 넘쳐나는 도시다. 이 스테이지부터 타임 어택 난이도가 사라지고, 하드 챌린지 난이도만 존재. 때문에 타임 어택 올클리어로 젬을 받을 수 없다. 여기는 적군 로이드들은 답이 없어지기 시작한다. 이쯤이면 공격력은 2000은 물론이요, 딜러랍시고 체력이 내구형급으로 많아진다.

입수 가능한 기체 : 코스모 카이저, 제로세이버
등장 적 기체 : 코스모 카이저, 제로세이버, 지오그라시스, X 크로스랩터, 야도크랜더, 킬러비졸, 로스트 빅토리, 크루얼 나이트, 일리걸폰, 데빌제터, 매드하운드.

그래도 5성으로 제때 나오고 에너지도 많이 모아주면 문제해결이지만 배치를 이상하게 하면 5성도 잘 나오지도 않는다. 최종 보스까지 왔다해도 델곤의 체력은 40000을 조금 넘으며 댐지도 2000에 필살기는 세로 진열 거의 말살당한다. 하지만 전방에다가 쏘기 때문에 거기에 없으면 맞는 일은 없다. 하지만 두번째 충격파를 일으키면 다 죽으니 이 점을 익혀두자

공략을 세우자면 일단 필수요건은 지원이 빨리 가능한 내구형 2명 그리고 5성 60은 필수 후방형 공격형 1기 전방강한 공격형은 있어야한다.
여기서 주의할 꺼는 풀아머 델곤의 댐지는 2000나온다 체력도 40000이라는 무지막지한 체력을 가졋고 지원군도 빨리 등장한다 거기에 요주의 로이드들은 크루얼 나이트 매드하운드가 있는데 여기서 제일 최악은 역시 매드하운드이며 풀아머 델곤보다 뒤에 가있어서 댐지도 높고 채력도 많아 잡기도 힘들다.여기는 나와있는 5성이 죽으면 바로 GG처야하며 내구형으로 어떻게든 살려보자.


마의 구역. 여기서 진도 못 나갈 확률이 매우 크다. 그 악명답게 행성의 별명도 신들의 행성이다. 어둠의 로이드들이 또 다시 한번 강화되었으며 공격형들의 한대당 기본 대미지가 1000을 넘기고 로스트빅토리는 기본댐이 3500을 넘긴다.[21] 여기는 오히려 일반 적으로 뜨는 5성[22]이 더 쉽다는 말이 나올정도로 적 어둠의 로이드들이 말도 안되게 강하다. 한가지 더 암울한 점은 갓웨이 스토리 진행 중에 얻을 수 있는 로이드가 없다.

요주의 적 : 로스트 빅토리, 매드하운드, 크루얼 나이트[23]
특히 9-7~ 9-10 까지가 저렙, 고렙 유저들 사이에서도 상당히 악명이 높아서 까이고 있다. 나오는 어둠 유닛들의 스펙도 악몽인데, 전들 스테이지들과 다르게 쉴틈을 주지않고 빨리 빨리 등장하고 배치도 매우 효율적이며, 한 번에 2~4마리씩 튀어나온다. 특히 9-8, 9-9. 직접 해보면 알 수 있다. 때문에 여기서 텐트치는 사람들이 다분하다.
9-10은 보스한테 한방에 갈 확률이 크고 잡기도 힘들다. 우선 기본적으로 4웨이브이며, 당연히 가운데에는 카오스 델곤이 등장한다. 잠시 후 2웨이브는 맨 앞쪽에 어둠의 제로파이터 2마리, 조금 뒤 3웨이브는 뒤쪽 맨위에서 로스트 빅토리와 맨 밑에 어둠의 프로그랜더가 등장하며, 마지막 웨이브에는 로스트 나이트와 로스트 빅토리가 카오스 델곤의 위와 밑쪽 칸에서 등장한다. 이렇게 몹들은 많지가 않고 쉽기는 하지만 카오스 델곤 체력이 장난아니게 많다.[24] 게다가 카오스 델곤을 우선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기껏해야 프로그랜더나 어둠의 제로파이터만 처리가 가능하며, 카오스 델곤마저도 보스는 한대당 2300이 나와 골때린다.[25] 블리츠폰쟈나 그외 집중공격 스킬이 있다면 로스트 빅토리와 로스트 나이트를 집중 공격하게끔 해주자. 그러나 이런것도 없으면 역시 로스트 빅토리를 처리할 수 없다.



해변의 행성으로 오직 메인 스테이지 밖에 없으며 맵이 해변가이며 적들도 4~5성은 기본으로 튀어나오는 곳으로 4성라지사이즈도 존재하고 또 어둠의 로이드가 등장을 안한다. 이제 그 악마같은 로스트 빅토리를 만날 일이 없다.

여기에는 그냥 심심한 드로이만 잡는 게 아니다. 흄 지아스도 튀어 나오기도 한다.[26] 일단 흄의 체력이 카오스델곤의 반급이라 의심된다. 적 유닛은 그리 많이 나오지는 않지만 그만큼 체력과 방어력이 높은 애들이다. 한마디로 공격력은 갓웨이보다 꽝이다. 9-10깬 사람들은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다. 여기는 갓웨이보다는 쉬울꺼로 예상한다.[27]

10스테이지는 아마 저 위에 있는 말에있는 새로운 드로이 흄하고 크림로제 수영복이 나올쯤에 같이 스테이지 10이 나올것이다.

다만, 일반 행성은 기한이 없으니, 조급해하지말고 클리어할 날까지 느긋하게 다른 스테이지를 돌면서 랭크를 매우 높게 키워주자. 랭크가 매우 높으면 충분히 클리어 가능하다.

6. 문제점

2017년 6월의 볼케닉스 레이드 이후로 기존의 레이드 이벤트를 재탕하면서 이렇다 할만한 새로운 업데이트가 없다. 이는 2017년 12월까지도 진행중인 문제. 비슷한 시기에 동사의 다른 모바일 게임이 런칭되었고 코즈믹 브레이크 2가 런칭될때 다른 PC 온라인 게임도 업데이트 주기가 느려진걸 생각하면...

7. 여담


[1] 일단 보라색의 코스모피스가 그 원인으로 보인다. 3-10에선 아예 무슨 바위같이 큰 코스모피스가 적 보스로 출현한다.[2] 일부 대사는 아예 생략되거나 일부만 나와서 풀 보이스라기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지만 성우 중복은 있어도 모든 캐릭터에게 보이스를 부여했다는 점에선 풀보이스라 봐줄 수도 있긴하다.[3] 앱내 8개국어 서비스 단 언어별로 서버는 별도인듯하다.[4] 체력, 공격력 창을 보면 공격력 숫자가 너무 많아서 짤려버린다. 타임스톱을 사용하거나, 나오는 족족 빠르게 처리해주는 게 좋다.[5] 크림로제, 릴리레인, 라즈플레임. 윈벨[6] 스킬 보이스 중 하나[7] 사실 이번작 힐러들은 죄다 핑크색 아니면 보라색으로 도장되어 있는 편이다.[8] 블리츠폰자가 죽어도 지정한 표적이 죽을 때까지 명령은 사라지지 않는다.[9] 동, 철, 은, 금색[스포일러] 제조 과정은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사타니스가 자기가 불리하다고 델곤을 말도 못하는 어둠의 로이드로 개조시켰다.[11] 편성시 첫번째칸에 배치한 유닛은 리더기체가 되어 배치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30% 감소한다.[12] 해당 업그레이드의 레벨에 따라 겹칠 수 있는 갯수가 늘어나며 최대 +3까지 가능[13] 따라서 최대 드로 횟수는 각 로봇들의 드로 횟수의 총합이 된다.[14] 거기다가 처음 부터 유닛을 총 128종을 가지고 있을 수 있게 해줘서 그야말로 작정하면 여러 캐릭터를 수집하는 맛으로 게임을 할 수도 있다.[15] 한마디로 도발이랑 똑같은 기능을 낸다고 보면 된다.[16] 다시 역으로 도발을 걸면 집중공격이 헤제된다.[17] 금은동의 마니모인데 실제 유닛으로의 마니모도 존재한다.(...)[18] 첫 유닛 배치용 초기 보유에너지[19] %가 높은 위치의 적을 우선적으로 공격하게된다. 위치에 따른 데미지 차이는 없음.[20] 원래는 없었는데 후원자 이벤트 이후 튜토리얼 완료시 획득 가능하다.[21] 필살기는 6800가까이 나오므로 이건 할말 다했다.[22] 아퀴아, 크레스트 세인트, 프리스톨 R-SQ, 마이티바인 등등[23] 얘는 체력이 10000을 넘긴다.[24] 체력은 20만이 넘어간다.[25] 심지어 스킬을 두번쓰게 놔두면 충격파 맞고 ALL전멸이다 살아남아도 맞으면 그냥 뻗는다.[26] 멜피 엘리자롯테 라즈플레임등 흄 지아스들이 나온다고한다.결장처럼 해볼까나?[27] 갓웨이의 로이드들은 공격으로 승부보지만 여기는 방어로 승부본다. 그리고 여기는 타임어택 하드모드가 없어 그냥 메인만 깨면 끝이다.[28] 5성 한계돌파는 미션에 없으므로 오직 매치배틀로 얻거나 레이드시즌때 얻는 것밖에 없다.[29] 레벨업시 업그레이드 해금및 동력 3 회복. 전체회복이 아니다! 개편후부터는 3젬과 동력4회복으로 바뀌었다.[30] 로그인보상은 5일단위로 갱신되며 1, 3, 5일째는 강화용 마니모나 코인이 2, 4일째는 6젬을 준다. 일일퀘스트는 랜덤한 3가지 퀘스트와 일일퀘스트 전부 달성시 2젬을 주는 퀘스트로 이루어져있다. 대충 일퀘 전부하는 걸 기준으로하면 5일동안 최소 22젬을 얻을 수 있다. 10연차에 9주는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