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14 04:26:18

켐켐층군

켐켐층에서 넘어옴
파일:KemKem_map.jpg
켐켐층군의 위치. 모로코의 동부 지역에 있으며 일부는 알제리에 있다.

1. 개요2. 발견된 고생물

1. 개요

Kem Kem Group/Kem Kem beds

켐켐층군은 아프리카 모로코의 동부 지역에 있는 지층군으로 백악기 후기의 세노마눔절에 서식했던 고생물들의 화석이 발견되었다.[1] 바하리야층과 니제르의 엑카르층(Echkar Formation)에서도 비슷한 고생물들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아마 해당 지층의 고생물과 함께 공존 했을 수도 있다. 켐켐층군은 캄브리아기, 실루리아기, 데본기의 고생대 해양 단위 위에 있으며, 주로 퇴적물과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때때로 얇은 석고 모양의 알갱이 모양의 사암으로도 구성되어 있다.

상당히 많은 화석들이 이 지층군에서 발견되었으며 아벨리사우루스과, 스피노사우루스과 공룡들 외에도 다양한 익룡어류 등도 발견되었다. 현재 학명이 명명되지 않은 고생물도 다수 존재한다. 발견된 대형 아벨리사우루스과 공룡 화석의 형태는 아프리카의 다른 비슷한 시기의 지층에서 발견되는 공룡의 특징인데, 이는 군이 변화하는 지질층 때문에 별개의 지층과 함께 혼합되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 지층군에 서식했던 공룡들은 서로 분리된 서식지를 선호했다는 추측도 있다.[2]

2. 발견된 고생물

2.1. 공룡

2.1.1. 용반목

2.1.1.1. 수각류
2.1.1.2. 용각류

2.2. 익룡

2.3. 어류

2.4. 악어류

2.5. 거북류

2.6. 장경룡



[1] 과거에는 하나의 지층으로 여겨졌기에 켐켐층(Kem Kem Formation)으로 불렸지만, 현재 고생물학계에서는 이곳을 하나의 지층군으로 본다.[2] Smith, Collin (2016-02-29). "Fossil find reveals just how big carnivorous dinosaur may have grown"[3] 모식종인 사하리쿠스(C. saharicus). 바하리야층에도 서식했다고 알려졌지만, 해당 표본은 2025년에 타메리랍토르라는 별개의 속으로 분류되었다.[4] 스피노사우루스와 동일종으로 판정되었다.[5] 한때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와 같은 종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다시 별개의 속이 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2025년 논문에서는 화석이 너무 단편적이라는 이유로 모호명(nomen dubium)으로 분류되었다. #[6] 의문명 공룡.[7] 과거 마우소니아의 종으로 여겨졌다. #[8] 한때 수각류로 잘못 알려졌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