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b240b> | 동키콩 시리즈 등장인물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61380b><colcolor=#fff> 콩 패밀리 | <colbgcolor=#61380b><colcolor=#fff> 주연 | DK 동키콩 · DD 디디콩 · DX 딕시콩 · CK 크랭키콩 · FK 펑키콩 | |||
기타 | 캔디콩 · 링클리콩 · 랭키콩 · 타이니콩 · 딩키콩 · 스웽키콩 · 청키콩 | |||||
조연 | 동물 친구 | |||||
악역 | 킹크루루 · 티키통 · 더 스노매즈 · 로드 프레드릭 | |||||
클래식 | 마리오 · 폴린 · 동키콩주니어 · 스탠리 | |||||
동키콩 시리즈 · 마리오 시리즈 등장인물 |
프로필 | |
| |
한국어 | 캔디콩 |
일본어 | キャンディーコング |
영어 | Candy Kong |
눈 색깔 | 파랑 |
성별 | 여성 |
출신지 | 동키콩 아일랜드 |
거주지 | 동키콩 아일랜드 |
데뷔 | 동키콩 컨트리(1994) |
성우 | 에블린 노바코비치(1999~2007) 츠즈미 사츠키(2007~) |
1. 개요
동키콩 시리즈의 등장 캐릭터. 동키콩의 여자친구이자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첫 여성 캐릭터.2. 행적
첫 등장은 동키콩 컨트리의 세이브 지점에서 등장하는 역할이었으나 이식작들에선 언제든지 저장할 수 있어서 미니게임 진행자로 등장했다.[1]동키콩 64에선 최종보스전에서 승리한 이후 스테이지에 등장해 킹크루루를 홀딱반하게 만들고 펑키콩이 공격할 시간을 벌여준다.
이후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이식된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중 2, 3편에서 카메오로 등장했다. 2편은 스웽키의 퀴즈 쇼, 3편은 펑키의 렌탈의 미니게임에서 64 출신의 콩 패밀리와 더불어 출연했다.
동키콩의 여자친구라는 설정이 있어 약간의 비중은 있었고, 2차 창작도 적지 않았다. 디디콩 파일럿에서 딕시콩과 함께 플레이어블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닌텐도가 레어를 마이크로소프트에 팔아버린 이후로 발매 중지되었다. 그 후로도 파온과 제휴 시절에 NPC로만 등장했다보니, 여지껏 동키콩 캐릭터 중 플레이어블로 등장한 적이 단 한번도 없다. 이 탓에 안타깝게도 콩 패밀리 중에서는 스웽키콩과 더불어 플레이어블화되지 못한 비운의 캐릭터로 남았다. 참고로 스웽키는 딩키콩 및 청키콩과 더불어 닌텐도가 전혀 손대지 않은 캐릭터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사실상 출연이 중단됨에 따라 영원한 NPC로 남게 되었다.[2]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제작사였던 레어가 닌텐도를 떠나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된 뒤로는 얼굴을 보기가 어려워졌다. 인수 시점에서 신작의 발매가 모두 취소된 전적도 있는데다가, 플레이어블화되지 못한 탓에 레귤러화되지 못했으므로, 레트로 스튜디오가 개발한 동키콩 리턴즈 및 동키콩 컨트리 트로피컬 프리즈에서도 등장하지 않았다.
3. 기타
- 여담으로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캐릭터들을 디자인한 스티브 메일즈(Steve Mayles)는 캔디콩에 대해 자신이 만든 캐릭터임에도 썩 마음에 들지 않아했다고 한다.
- 초창기에는 원피스 차림이였으나 중반기부터 비키니로 바꼈다. 동키콩 64의 아트웍도 주연 5명만 있어서 그렇지, 얼굴 디자인은 따지고 보면 초창기와 같지만 의상만 바뀐 것이다. 이는 의상이 같은 디디콩 파일럿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캔디콩이 주연으로 등장한 작품은 단 하나도 없다. 레어 시절에 나온 컨트리 및 64에는 다른 조연과 비중이 동등했지만, 레어 매각 이후로는 공기로 전락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비중있게 활약했었다.
- 디자인 교체에 대한 요청도 충분히 찾아볼 수 있는 캐릭터다. 지금 당장 사진도 동키콩 정글 클라이머의 모델링인데다가, 이 디자인도 나온지 20년된 흔들흔들 동키에서 사용되었으며 작중 비중은 제로였다.[3] 팬들은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의 킹크쿠루처럼 레어 시절과 파온 시절의 모습을 절충한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을 바라고 있다.
[1] 여담으로 초기 디자인은 바비 인형 비슷한 모습에 머리에 리본이 달렸다.[2] 만약 딩키콩처럼 전혀 손대지 않았다면 스왕키콩처럼 완전히 버려졌겠지만, 그렇다고 플레이어블로 출연한 적조차 단 한번도 없었기에 스왕키콩과 하나도 다를바 없게 되었다. 링클리콩도 적어도 한번 이상 플레이어블로 출연한 적이 있다.[3] 무슨 시기인가 감이 안잡힌다면 포켓몬스터 AG,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가 현역으로 방영중이었다. 같은 시기에 의상이 바뀐 펑키콩은 레귤러화되었고 레트로 스튜디오가 개발한 트로피컬 프리즈에서 파온 시절에 나온 디자인을 약간 다듬었기에 디자인이 완전히 정립되었지만, 캔디콩을 비롯한 다른 캐릭터들은 전혀 출연이 없으므로 디자인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