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6:28:50

스킨

캐릭터 스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화장수(스킨 로션)에 대한 내용은 화장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사용자 인터페이스
2.1. 위키에서
3. 비디오 게임
3.1. 장점3.2. 단점
4. 일본의 만화5. 마블 코믹스 등장인물6. LifeStyle사의 콘돔 브렌드 SKYN

1. 개요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의 UI나 게임 및 웹사이트 등의 매체에서 등장하는 가상 캐릭터의 외형을 변화시키는 것을 뜻한다.

이때 외형 변화 행위를 가리켜 리스킨(Reskin)이라 표현할 수 있다. 특히 리스킨이라는 표현은 해당 외형 변화 콘텐츠가 게임 상의 캐릭터나 장비의 능력치 및 성능에 영향를 주지 않는 점을 강조하는 의도로써 주로 활용된다.

2.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UI를 변형하는 사례로는 운영체제인 윈도우[1]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가 유명하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외형적인 면 뿐만 아니라 아예 비행기 계기판 수준으로 바꿀 수 있다. 애드온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툴팁, 아이템 사전, 피해량 밎 치유량 측정기처럼 외형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도 개선 시킬 수 있다. 일부 게임들에서는 언팩으로 통용된다.

2.1. 위키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위키/스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비디오 게임

크게 유저 커스텀 스킨과 인게임 내 정식 스킨으로 구분된다. 인게임 정식 스킨은 BM을 통해서 게임에서 판매가 되고, 커스텀 스킨은 개발사가 공식적으로 사용을 하면 제재를 먹을 수도, 있는 스킨의 경우를 제외하면 자유롭게 만들 수 있게 해준다.

유저 커스텀 스킨의 경우, 게임이 설치된 플레이어의 컴퓨터 속 게임 데이터 파일들을 수정해서 적용하는 것으로, 해당 컴퓨터에서만 그 스킨이 적용된 것으로 보이게 된다.

유저 커스텀 스킨은 해당 게임 개발사 측에서 허용하는 경우도 있고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물론 개발사 측에서 허용하지 않는다고 한들 이를 무시하고 우회하여 커스텀 스킨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보통 싱글플레이어 모드 게임에서는 유저 커스텀 스킨을 허용하고 반대로 멀티플레이어 모드 게임에서는 허용하지 않는 경향이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정식 스킨의 경우 리그 오브 레전드,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처럼 정액제가 아닌 부분 유료화 시스템에서 수익 구조로 활용되는 개념이다. 대체로 게임상에 성능이나 능력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종류에 따라서 게임상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블리츠크랭크의 스킨 중 하나인 i블리츠크랭크는 '로켓 손' 스킬을 쓸 때, 스킨 특성상 와이어가 표현되지 않고 손만 날아가서 피하기 어려웠다는 항의를 받아 더 잘 보이게 수정되었다.

의도치 않게 스킨이 게임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존재한다. 밤을 무대로 한 전장에서 검은색, 파란색 스킨은 현실처럼 해당 게임 내 전장을 위시한 세계에서도 !하며 위장 효과를 주기도 하며 이펙트의 추가가 반대로 은폐에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배틀그라운드가 있다(초록색, 갈색 등의 스킨은 위장에 도움이 되지만 흰색 등의 밝은 옷은 금방 눈에 띈다). 캐릭터 애니메이션도 변경되는 스킨의 경우 동작이 눈에 덜 띄게 되거나 반대로 너무 화려하여 요란한 경우도 있는데, 이런 스킨들은 보통 대회 경기에서는 깔끔하게 사용 금지 조치를 받게 된다.

일부 게임의 스킨은 게임플레이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말스대로 장식일 뿐인 캐릭터 능력을 추가해주기도 하는데 이것이 심리전에 응용되는 경우가 있어 금지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제5인격이 있다.
후술할 스킨 시스템의 장단점은 주로 인게임 내 정식 스킨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일부 내용은 유저 커스텀 스킨 시스템에도 어느 정도 맞아떨어진다.

3.1. 장점

3.2. 단점

4. 일본의 만화

2006년작. 성형수술에 관한 만화. 전3권

5. 마블 코믹스 등장인물

본명은 안젤로 에스피노사.

6피트 이상인 자기 피부를 자유자재로 늘릴 수 있는 뮤턴트. 주빌리 등과 더불어 제너레이션 X 멤버였다.

1996년 TV 영화 제너레이션 X에도 등장한다.

6. LifeStyle사의 콘돔 브렌드 SKYN



[1] 윈도우에서는 테마라고 부른다. Windows 10에 들어서는 대부분 기본 테마를 사용하며 커스텀 테마를 사용하는 경우가 XP나 7에 비해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