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2 22:09:59

카자흐어/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카자흐어
1. 개요2. 모음조화 및 자음조화3. 명사
3.1. 복수형3.2. 격과 격조사3.3. 대명사
3.3.1. 인칭대명사3.3.2. 그 외의 대명사
3.4. 수사
4. 동사
4.1. 명령형4.2. 연결형4.3. 시제4.4. 부정형4.5. 태4.6. 보조동사4.7. 기타 활용

1. 개요

본 문서는 카자흐어 문법을 다루는 문서다.

카자흐어는 한국어와 비슷하게 문법적으로 교착어에 속하고, SOV 어순이 나타나며, 모음조화가 존재한다. 다만 한국어에 없는 인칭접사 등의 특징 또한 나타나고 있다.

2. 모음조화 및 자음조화

다른 튀르크어족의 언어들처럼 카자흐어에서도 모음조화가 나타난다.
후설모음 а /ɑ/ ы /ə/ о /u̯ʊ/ ұ /ʊ/
전설모음 е /i̯ɘ/, ә /æ/ і /ɘ/ ө /y̯ʉ/ ү /ʉ/

3. 명사

카자흐어 명사는 수, 격에 따라 변화한다.

3.1. 복수형

3.2. 격과 격조사

카자흐어에는 7개의 격이 있다. 격표지는 모음조화, 자음조화를 통해서 형태가 변화한다.
주어를 표시한다. 카자흐어에서는 주격조사는 영 형태(ø)이다. 예를 들어, "그는 학생이다." 라는 문장을 카자흐어로 번역하면 "Ол оқушы"가 된다. (Ол : 3인칭대명사, Оқушы : 학생) 이렇듯 주격조사가 영 형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두 개의 명사를 나열해도 문장이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쓸 경우 Ол을 관형어로 보아 "Ол оқушы"가 "그의 학생"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호 "—"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Ол — оқушы."
대강 한국어의 '~의'와 비슷하다. 형태는 -ның로, 앞에 (비음이 아닌) 유성 자음이 오면 -дың, 무성 자음이 오면 -тың을 쓰며,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ы 대신 і를 써서 -нің, -дің, -тің처럼 쓴다.
한국어의 '~에서' 정도에 해당한다. 형태는 -да로, 역시 앞에 오는 자음이 무성음이면 д 대신 т를 쓰고,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а 대신 е를 써서 -та, -де, -те처럼 쓰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의 '~로부터' 정도에 해당한다. 형태는 -дан으로, 여격과 비슷하게 -тан, -ден, -тен 등으로도 쓴다. 다만 탈격의 경우 비음 뒤에서는 비음의 영향을 받아 -нан, -нен으로 형태가 바뀐다.
한국어의 '~에게', '~에' 정도에 해당된다. 형태는 -ға로,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ге를 쓰고, 무성음 뒤에 오면 -қа, -ке로 무성음화된다. 1인칭 소유접미사 -ым이나 3인칭 소유접미사 -ы(н) 뒤에 오면 -ым-а, -ы(н)-а처럼 앞의 모음이 탈락된다.
한국어의 '~를' 정도에 해당된다. 형태는 -ны로, 앞에 반모음이나 유성 자음이 오면 -ды, 무성 자음이 오면 -ты를 쓰며,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ы 대신 і를 써서 -ні, -ді, -ті처럼 쓴다. 3인칭 소유접미사와 결합하면 -ын 형태가 된다.
한국어의 '~로', '~와', 혹은 영어의 'with'과 비슷한 의미이다. 형태는 -мен으로, 특이하게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신 앞에 무성자음이 오면 -пен으로 형태가 바뀌며, з 뒤에서는 -бен으로 형태가 바뀐다.

각 격변화를 간략하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адам 사람тіл 언어шелек 바구니ағаш 나무
주격- адамтілшелекағаш
속격-ның адамныңтілдіңшелектіңағаштың
처격-да адамдатілдешелектеағашта
탈격-дан адамнантілденшелектенағаштан
여격-ға адамғатілгешелеккеағашқа
대격-ны адамдытілдішелектіағашты
조격-мен адамментілменшелекпенағашпен

3.3. 대명사

3.3.1. 인칭대명사

카자흐어의 인칭대명사는 мен, сен, сіз, ол, біз, сендер, сіздер, олар의 8가지가 있다. 이들 인칭대명사는 아래 표와 같이 격변화한다.
인칭대명사 주격 속격 처격 탈격 여격 대격 조격
мен менің менде менен маған мені менімен
сен сенің сенде сенен саған сені сенімен
당신 сіз сіздің сізде сізден сізге сізді сізбен
ол оның онда онан(одан) оған оны онымен
우리 біз біздің бізде бізден бізге бізді бізбен
너희 сендер сендердің сендерде сендерден сендерге сендерді сендермен
당신들 сіздер сіздердің сіздерде сіздерден сіздерге сіздерді сіздермен
그들 олар олардың оларда олардан оларға оларды олармен
인칭대명사는 각각의 소유접미사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명사 뒤에 붙여서 ~의 것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 әнім 내 노래, қаламыз 우리의 도시) 소유접미사 역시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아서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ы 대신 і를 써서 나타낸다.
소유접미사 қала 도시 адам 사람 шелек 바구니
나의 мен -(ы)м қалам адамым шелегім
너의 сен -(ы)ң қалаң адамың шелегің
당신의 сіз -(ы)ңыз қалаңыз адамыңыз шелегіңіз
그의 ол -(с)ы қаласы адамы шелегі
우리의 біз -(ы)мыз қаламыз адамымыз шелегіміз
너희의 сендер -(ы)ңдар қалаңдар адамыңдар шелегіңдер
당신들의 сіздер -(ы)ңыздар қалаңыздар адамыңыздар шелегіңіздер
그들의 олар -(с)ылар қаласылар адамылар шелегілер

1인칭 소유접미사 -(ы)м 뒤에 여격 -ға가 오면 ғ 발음이 탈락한다. 예를 들어 '나의 아버지'에게는 әкемге가 아니라 әкеме로 쓴다. 3인칭 소유대명사 -(с)ы의 경우, 처격을 쓸 때 -да가 아니라 -нда처럼 쓴다. 가령 қазақ елі (카자흐의 나라)의 처격 형태는 қазақ еліде가 아닌 қазақ елінде가 된다. 여격의 경우에도 -ға 대신 -на를 써서 досына(그의 친구에게)와 같이 쓴다.

참고로 'A의 B'라는 말을 나타낼 때, 속격을 쓰는 대신 'A B+소유접미사'의 형태로 쓸 수도 있다. (예: көл суы 호수의 물, қазақ тілі 카자흐의 언어)
대명사에는 계사 형태 역시 존재하며, 명사 등의 뒤에 붙어서 '~는 ~이다'의 뜻을 나타낸다. 가령 жақсы бала(착한 아이)에 -мын를 붙여서 "жақсы баламын."이라고 쓰면 "나는 착한 아이다."라는 말이 되는 식이다. 여기서 -мын, -мыз는 앞의 단어가 무성자음으로 끝나면 -пын/-пыз, 그리고 з 같은 자음으로 끝나면 -бын/-быз의 형태로 바뀐다. (예: балықпын 나는 물고기다, қызбын 나는 소녀다.)
인칭어미 бала 아이 суретші 화가 қазақ 카자흐인
나는 ~이다 мен -мын баламын суретшімін қазақпын
너는 ~이다 сен -сың баласың суретшісің қазақсың
당신은 ~이다 сіз -сыз баласыз суретшісіз қазақсыз
그는 ~이다 ол - бала суретші қазақ
우리는 ~이다 біз -мыз баламыз суретшіміз қазақпыз
너희는 ~이다 сендер -сыңдар баласыңдар суретшісіңдер қазақсыңдар
당신들은 ~이다 сіздер -сыздар баласыздар суретшісіздер қазақсыздар
그들은 ~이다 олар - бала суретші қазақ

3인칭은 인칭어미 형태가 없다. 가령 '나는 카자흐인이다'는 'мен қазақпын'이라고 쓰지만, '그는 카자흐인이다'는 그냥 'ол қазақ'이라고만 쓴다. 앞서 말한 대로 이럴 경우에 연결 부호 —를 사용해서 'ол — қазақ'이라고 쓰기도 한다.

'~는 ~가 아니다'를 쓰려면 부사 емес + 인칭어미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가령 '나는 카자흐인이 아니다'는 'мен қазақ емеспін'이 된다.

3.3.2. 그 외의 대명사

지시대명사 주격 속격 처격 탈격 여격 대격 조격
이것 бұл бұның
мұның
бұнда
мұнда
бұдан
мұнан
бұған бұны
мұны
бұнымен
мұнымен
мына(у) мынаның мынада мынадан мынаған мынаны мынамен
바로 이것 осы осының осында осыдан осыған осыны осымен
저것 ана(у) ананың анада анадан анаған ананы анамен
바로 저것 сол соның сонда содан соған соны сонымен
나 스스로 너 스스로 당신 스스로 그 스스로
өзім өзің өзіңіз өзі
우리 스스로 너희 스스로 당신들 스스로 그들 스스로
өзіміз өздерің өздеріңіз өздері

3.4. 수사

1부터 10까지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 бір 6 алты
2 екі 7 жеті
3 үш 8 сегіз
4 төрт 9 тоғыз
5 бес 10 он

20에서 90까지를 나타내는 숫자는 다음과 같다.
20 жиырма 60 алпыс
30 отыз 70 жетпыс
40 қырық 80 сексен
50 елу 90 тоқсан

100 이상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100 жүз 10^9 миллиард
1,000 мың 10^12 триллион
1,000,000 миллион 10^15 квадриллион

두 자리 숫자는 그냥 이들 뒤에 숫자를 붙여서 11 → он бір, 42 → қырық екі와 같은 방식으로 나타내면 된다. 100 이상의 숫자 역시 두 자리 숫자처럼 1995 → мың тоғыз жүз тоқсан бес처럼 단순히 나열해서 쓴다.

서수의 경우 뒤에 -(ы)ншы/-(і)нші를 붙여서 나타낸다. 가령 '첫 번째'는 бірінші, '두 번째'는 екінші, '열 번째'는 оныншы처럼 나타내는 식. 다만 '스무 번째'는 жиырмасыншы로 쓴다.

4. 동사

사전에 수록되는 동사의 원형은 -у로 끝나며, 일종의 동명사와 비슷하다.

우리말의 "-하다"와 비슷한 어미로, 카자흐어의 경우 다른 품사에 -ЛАу를 붙여서 동사로 만들 수 있다. ой (생각) → ойлау (생각하다), бас (머리) → бастау (시작하다) 등이 그 예.

4.1. 명령형

4.2. 연결형

카자흐어엔 시제에 따라 3가지 분사가 존재한다.
동사를 다른 동사와 연결할 때는 부동사 형태를 쓰는데, 역시 시제에 따라 3가지씩 존재한다.

4.3. 시제

카자흐어에는 여러 가지 시제가 존재한다.
먼 과거를 나타낸 시제로, 과거의 사건이 현재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형태는 과거분사(-ған)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대과거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ған-мын барғанмын келгенмін айтқанмын істегенмін
сен -ған-сың барғансың келгенсің айтқансың істегенсің
сіз -ған-сыз барғансыз келгенсіз айтқансыз істегенсіз
ол -ған барған келген айтқан істеген
біз -ған-мыз барғанбыз келгенбіз айтқанбыз істегенбіз
сендер -ған-сыңдар барғансыңдар келгенсіңдар айтқансыңдар істегенсіңдар
сіздер -ған-сыздар барғансыздар келгенсіздар айтқансыздар істегенсіздар
олар -ған барған келген айтқан істеген
과거에 ~하곤 했다 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형태는 과도분사(-а-тын) + 인칭어미 형태를 띄고 있다.
과거-변화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а-тын-мын баратынмын келетінмін айтатынмын істейтінмін
сен -а-тын-сың баратынсың келетінсің айтатынсың істейтінсің
сіз -а-тын-сыз баратынсыз келетінсіз айтатынсыз істейтінсіз
ол -а-тын баратын келетін айтатын істейтін
біз -а-тын-мыз баратынбыз келетінбіз айтатынбыз істейтінбіз
сендер -а-тын-сыңдар баратынсыңдар келетінсіңдер айтатынсыңдар істейтінсіңдер
сіздер -а-тын-сыздар баратынсыздар келетінсіздер айтатынсыздар істейтінсіздер
олар -а-тын баратын келетін айтатын істейтін
과거시제의 경우 -ды + 과거형 인칭어미 형태가 사용되며, 역시 모음조화와 자음조화의 영향을 받아 전설모음 뒤에서는 ы 대신 і가, 무성음 뒤에서는 д 대신 т가 온다. 1인칭 복수 형태의 경우 전설모음 뒤에서는 қ가 아니라 к가 온다.
과거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ды-м бардым келдім айттым істедім
сен -ды-ң бардың келдің айттың істедің
сіз -ды-ңыз бардыңыз келдіңіз айттыңыз істедіңіз
ол -ды барды келді айтты істеді
біз -ды-қ бардық келдік айттық істедік
сендер -ды-ңдар бардыңдар келдіңдар айттыңдар істедіңдар
сіздер -ды-ңыздар бардыңыздар келдіңіздар айттыңыздар істедіңіздар
олар -ды барды келді айтты істеді
현재 진행시제의 경우, 과거 부동사(-ып) + [жатыр, жүр, отыр, түр 중 하나]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다만 жару, келу는 과거 부동사 형태가 아닌 현재-미래 부동사 형태를 쓴다. 예) істеп жатырмын 나는 하고 있다. бара жатырсың 너는 가고 있다.
현재-미래시제는 а/е(자음 뒤), й(모음 뒤) + 인칭어미의 형태를 띄며, 3인칭의 경우 -ды가 붙는다. 말 그대로 현재 일어나는 일이나 미래에 일어날 일을 의미한다.
현재-미래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а-мын барамын келемін айтамын істеймін
сен -а-сың барасың келесің айтасың істейсің
сіз -а-сыз барасыз келесіз айтасыз істейсіз
ол -а-ды барады келеді айтады істейді
біз -а-мыз барамыз келеміз айтамыз істейміз
сендер -а-сыңдар барасыңдар келесіңдер айтасыңдар істейсіңдер
сіздер -а-сыздар барасыздар келесіздер айтасыздар істейсіздер
олар -а-ды барады келеді айтады істейді
미래-의도시제는 '~를 할 것이다', '~할 생각이다'처럼 미래에 무엇을 할 것이라는 의도를 나타낸다. 형태는 -мақ + (шы) + 인칭어미의 형태를 사용하며, 이 역시 앞에 오는 자음이나 모음에 따라서 -мек, -бақ, -бек, -пақ, -пек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미래-의도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мақшы-мын бармақшымын келмекшімін айтпақшымын істемекшімін
сен -мақшы-сың бармақшысың келмекшісің айтпақшысың істемекшісің
сіз -мақшы-сыз бармақшысыз келмекшісіз айтпақшысыз істемекшісіз
ол -мақшы бармақшы келмекші айтпақшы істемекші
біз -мақшы-мыз бармақшымыз келмекшіміз айтпақшымыз істемекшіміз
сендер -мақшы-сыңдар бармақшысыңдар келмекшісіңдар айтпақшысыңдар істемекшісіңдар
сіздер -мақшы-сыздар бармақшысыздар келмекшісіздар айтпақшысыздар істемекшісіздар
олар -мақшы бармақшы келмекші айтпақшы істемекші

중간에 -шы-가 없는 형태는 화자가 행동을 반드시 할 것이라고 생각할 때 쓰인다.
미래-의도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мақ-мын бармақпын келмекпін айтпақпын істемекпін
сен -мақ-сың бармақсың келмексің айтпақсың істемексің
сіз -мақ-сыз бармақсыз келмексіз айтпақсыз істемексіз
ол -мақ бармақ келмек айтпақ істемек
біз -мақ-мыз бармақпыз келмекпіз айтпақпыз істемекпіз
сендер -мақ-сыңдар бармақсыңдар келмексіңдер айтпақсыңдар істемексіңдер
сіздер -мақ-сыздар бармақсыздар келмексіздер айтпақсыздар істемексіздер
олар -мақ бармақ келмек айтпақ істемек
미래-추정시제는 '~할 수도 있다'처럼 미래를 불확실하게 추측하는 시제이다. 형태는 미래분사(-ар)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미래-추정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ар-мын барармын келермін айтармын істермін
сен -ар-сың барарсың келерсің айтарсың істерсің
сіз -ар-сыз барарсыз келерсіз айтарсыз істерсіз
ол -ар барар келер айтар істер
біз -ар-мыз барармыз келерміз айтармыз істерміз
сендер -ар-сыңдар барарсыңдар келерсіңдер айтарсыңдар істерсіңдер
сіздер -ар-сыздар барарсыздар келерсіздер айтарсыздар істерсіздер
олар -ар барар келер айтар істер

이 시제의 부정형은 -ма-с 형태를 사용한다.
미래-추정시제 (부정)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ма-с-мын бармаспын келмеспін айтпаспын істемеспін
сен -ма-с-сың бармассың келмессің айтпассың істемессің
сіз -ма-с-сыз бармассыз келмессіз айтпассыз істемессіз
ол -ма-с бармас келмес айтпас істемес
біз -ма-с-мыз бармаспыз келмеспіз айтпаспыз істемеспіз
сендер -ма-с-сыңдар бармассыңдар келмессіңдар айтпассыңдар істемессіңдар
сіздер -ма-с-сыздар бармассыздар келмессіздар айтпассыздар істемессіздар
олар -ма-с бармас келмес айтпас істемес

4.4. 부정형

4.5.

카자흐어 동사에는 5개의 태(態, етіс)가 있다.

4.6. 보조동사

동사가 다른 동사와 결합하여 다른 의미를 띄게 되는 경우가 많다.
алу (잡다) →* -ып + алу를 쓰면 "스스로를 위해 ~한다"는 의미가 된다.* -а/е/й + алу를 쓰면 "~할 수 있다"라는 의미가 있다.бару 가다 → Мен бара аламын. 나는 갈 수 있다.жеу 먹다 → Сен жей алмайсың. 넌 먹을 수 없다.
беру (주다) →
* -а/е/й беру를 쓰면 "계속해서 ..하다"라는 의미가 된다.
сөйлей 말하다 → Сөйлей бер. 계속 말해.

4.7. 기타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