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0:03:39

치지직/문제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치지직
파일:치지직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00ffa3><colbgcolor=#000> 관련 문서 출시 전 정보 · 베타 테스트 · 스트리머(파트너 스트리머) · 크루 · · 문제점 · 논란 및 사건 사고
콘텐츠 제작 지원 <colbgcolor=#000><colcolor=#00ffa3> 공식 방송 룩삼의 들어볼래 · 칸다주랑 마셔볼래
대회 전체 · 치스티벌 · 자낳대
관련 서비스 네이버 게임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에펨코리아 치지직 게시판
}}}}}}}}} ||

1. 개요2. 목록
2.1. UI/UX
2.1.1. 공통2.1.2. PC 브라우저2.1.3. 모바일2.1.4. 스마트 TV 앱
2.2. 채팅2.3. 동영상2.4. 치즈(후원)2.5. 운영2.6. 기타
3.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됨
3.1. UI/UX

[Clearfix]

1. 개요

치지직의 문제점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2.1. UI/UX

2.1.1. 공통

2.1.2. PC 브라우저

2.1.3. 모바일

2.1.4. 스마트 TV 앱

2.2. 채팅

2.3. 동영상

2.4. 치즈(후원)

2.5. 운영

2.6. 기타

3.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됨

3.1. UI/UX

====# 공통 #====
====# PC 브라우저 #====
====# 모바일 #====
===# 채팅 #===
===# 동영상 #===
===# 치즈(후원) #===
===# 운영 #===
===# 기타 #===
==# 확장 프로그램, 외부 사이트를 통한 기능 개선 #==
[1] SOOP에선 검색 시 나오는 생방송 및 VOD 페이지에서 다양한 정렬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2] 특정 채널의 다시보기 페이지가 아닌 여러 채널의 다시보기를 한 번에 보여주는 페이지를 말한다.[3] SOOP에서는 'MY → 즐겨찾기'에서 방송 중인 즐겨찾기 채널들을 여러 방법으로 정렬할 수 있다. 트위치에서는 좌측 메뉴에서 팔로우 채널을 추천순, 시청자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4] ctrl + 휠 스크롤로 화면 배율을 80~75%로 설정하거나 치지직의 넓은 화면 모드를 적용해야 왼쪽의 방송인 목록 메뉴를 접은 상태인 트위치 기본 화면 크기와 비슷한 정도가 된다.[5] 채팅창을 클릭하여 커서를 띄운 상태[6] 유튜브는 배속, 트위치는 화질 재설정 등으로 딜레이를 그나마 줄일 수 있었지만 치지직은 기타 확장 프로그램 외엔 아예 방법이 없다.[7] 4개 플랫폼 동시 송출을 해 테스트해보면 '트위치 < 치지직 < SOOP < 유튜브'순으로 레이턴시가 발생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경쟁 플랫폼 대비로는 양호하지만, 치지직 시청자 대다수가 트위치 출신임을 생각하면 상당히 답답하게 느낄 수밖에 없는 상태.[8] 트위치에서 512fps까지 가능하나 컴퓨터 성능과 네트워크에 따라서 매우 제한적 해상도를 강요한다. 기술적 문제인지 512fps를 초과하면 컴퓨터 성능과 관계 없이 비트레이트와 프레임이 최저치를 찍는다.[9] 트위치가 고프레임을 지원하는 기술적인 이유는 치지직은 비디오와 오디오 소스를 분리해서 송출하지만 트위치는 트랜스코딩 미 적용시 소스 그 자체를 송출해버리기 때문이다. 치지직은 원본 소스 그 자체를 송출하지 않고 유튜브, 아프리카, 트위치(트랜스코딩이 적용되는 경우)처럼 무조건 서버 측의 인코딩을 거친다.[10] 유튜브나 트위치에는 비트레이트/비디오 레이턴시에 대한 그래프가 같이 출력되며, 치지직은 아무런 통계를 제공하지 않는다. 단, 치즈나이프와 같은 확장 기능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는 있으나, 인코더 버전, 비트레이트에 대한 간략한 표기만 출력된다. 그나마도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등에서는 알 수 없는 오류 등으로 출력되지 않는다.[11] 리눅스용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에서는 “미디어 재생이 실패했습니다.”라고 뜨고 방송을 볼 수 없었으나 이후 패치로 해결되었다.[12] 2024년 09월 04일 현재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으며, 그리드프로그램의 최적화 문제로 언급되고 있다. 치지직은 그리드의 네트워크 점유가 꽤 심한 편이라 일부 원룸, 오피스텔 같은 트래픽 제한이 낮은 공용 네트워크를 쓰는 세대에서는 잦은 네트워크 끊김을 유발하여 치지직 시청 외에도 게임, 디코같은 온라인 기능 동시 이용시 장애를 주는 경우가 많다.[13] 그리드를 사용하지 않는 해외 시청자나 그리드 프로그램 미설치 후 일반 화질 사용시, 원활한 망 상태만 확보되면 오히려 버퍼링이 발생하지 않는다.[14] 치즈 기준으로 파트너와 프로는 약 10% 정도의 수수료 차이가 난다.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차이가 꽤 크게 느껴질 수 있는 수치다. 게다가 과거 트위치 때와 달리 프로 이상급 부터는 수수료가 적은 서드파티 후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체감적으로 느끼는 수수료 차이는 더 클 수도 있다.[15] 실제 늪지대 멤버 중 치지직으로 이적했던 너불의 경우, 파트너를 다는데 성공한 이후 이전부터 치지직측으로 부터 파트너 관련 언급이 있었음을 밝혔고, 동시에 빨리 제안이 안왔던 이유가 과거 계정이 해킹당했을 때 광고 도배 이슈 때문이었음이 밝혀지면서 어느 정도 잠잠해졌다.[16] 위에서 언급했던 너불의 경우에는 오히려 시청자들이 치지직 쪽의 푸대접에 실망해 SOOP으로의 이적을 권할 지경이었다. 다만 너불의 경우 치지직으로 온 이유 자체가 과거와 달리 즐겜을 더 선호하게 되면서 SOOP과는 분위기가 맞지 않겠다는 판단 때문이었다며, 애초 빡겜을 할 거였으면 SOOP으로 이적했을 것이라는 언급을 하기도 했다. 또한 2024년 10월 11일에 했던 치지직 주관 콘텐츠인 마셔볼래에서 신규 파트너 스트리머들을 발표했는데 파트너를 달지 못한 스트리머의 시청자들이 와서 실망감을 표하기도 했다.[17] 일단 해외 유입이 거의 없다시피하고 당분간 해외 쪽으로 운영을 확장하는 것도 힘든 데다가, 그마저도 트위치 시절 스트리머들이 다 넘어온 것도 아니라 파이 자체가 적어졌기 때문이다.[18] 어느 분야던 마찬가지겠으나 인터넷 방송 역시 일정 규모가 된 이후에는 규모가 천천히 늘어나거나 정체되기에 치지직쪽이 제시했던 성장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19] 이 때문에 과거 카카오TV를 언급하며 네이버가 인방에 대해 이해도가 낮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여러 대회나 행사를 자주 준비하는 SOOP에 비해 이벤트 기회를 잘 마련해주지 않는다는 것. 본방송은 지원하지 않고 뭔 쇼츠나 숏폼 강화 같은 딴짓만 한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 다만 콘텐츠 제작 지원을 보면 아예 지원이 없는 것도 아니었고, 숏폼의 경우 젊은 층은 짧은 영상 위주로 소비하기 때문에 현재 동영상 업계 트랜드가 이런 짧은 영상에 있는 건 사실이다.[20] 다만 이게 맞다 쳐도 시청자 수 집계 오류를 고치지 않아 제 스스로 플랫폼 평가를 절하한 건 치지직 측이 잘못한 게 맞긴 하다. 앞으로의 추이가 주목되는 상황.[21] 그나마 확장 프로그램 관련 문제도 서새봄이 거의 총대를 매다시피 해서 문제를 해결한 측면이 강하다. 실제로 치지직 측에서는 당초 확장 프로그램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다고 한다. 이에 서새봄은 확장 프로그램 이용자가 비록 미울 수는 있으나 일단은 뷰어십이 나와야 모두가 유리하다면서 그런 시청자까지 집계에 포함시켜야 된다고 어필했다고 한다.# 실제로 집계에 포함되자 치지직이 화제가 된 것을 보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22] 이는 트위치의 터보 가격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정황상 주 이용자 층이 트위치 이용자들이었던 만큼 터보를 그대로 들고 오면 된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이고 실제로 치트키의 혜택은 뱃지 정도를 제외하면 터보를 그대로 가지고 왔는데, 치지직 측이 간과한 것은 터보의 존재만 알지 터보의 가격은 모르고 있던 사람이 압도적이었다는 것. 실제로 트위치 시절 터보의 이용 비율은 매우 낮은 편이었다.[23] 그나마 짧은 광고 하나 나오고 땡인 치지직과는 달리 트위치는 수십초짜리 광고가 여러개 붙는 일도 매우 흔했다. 그리고 트위치 때도 중요한 순간에 광고가 나오는 걸 싫어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아서 몇번 광고 시간이 조정된 적이 있었다. 이후 치지직에도 트위치처럼 광고 스킵 버튼이 생겼다. 다만 그 시간은 5-15초로 다르다.[24] 물론 그만큼 엑셀방 등 별풍선 관련한 여러 논란도 많다.[25] 거슬리는 15초 동영상 광고 말고 배너형 광고 같은 걸 하면 되지 않느냐고 지적하는 시청자들도 있지만, 그런 광고는 단가가 높지 않다. 그렇다고 치지직이 지메일 등으로도 가입할 수 있게 허용해서 외국 시청자들을 유입시키는 파격안을 선택할 일은 없을 것이다.[26] 홀로라이브 같이 유튜브 기반의 방송인들이 멤버십 한정으로 콘텐츠를 선보이는 것처럼, 네이버 시리즈를 결제한 시청자는 방송인과 같이 만화를 볼 수 있다던지 하는 식으로 갈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같이 보는 게 더 효과가 좋으나,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서비스인 네이버 시리즈온이 2024년 12월 18일 서비스 종료할 예정이라 사실상 불가능하다.[27] VPN 사용시 괜찮다는 말이 있다.[28] 한 예시로 스트리머 한동숙의 채널 링크는 'https://chzzk.naver.com/75cbf189b3bb8f9f687d2aca0d0a382b'이다.[29] 현재는 임의의 스트리머 썸네일만 보여주고, 다른 스트리머를 보려면 페이지 새로고침을 해야 한다.[30] 클로즈 베타 오픈 초기엔 게임 스트리밍 주력 플랫폼을 목표로 함에도 일부 방송을 제외하면 30fps로 조정되어 송출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시청자 1000명 이상 방송 또는 파트너 스트리머만 60fps를 지원했다.[31] 타 사이트와 비교하자면 SOOP이나 트위치는 이런 문제점이 없고, 그나마 유튜브 라이브가 클릭시 일시정지가 된다는 문제가 동일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유튜브는 별도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일시정지 방지가 가능하고, 설령 정지가 되더라도 배속이나 시간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끊긴 부분을 되돌려서 다시 시청하는 것도 어렵지가 않다.[32] 당연하지만 네이버 앱이나 웨일로는 치지직 페이지에 접속해 재생하는 게 된다. 참고로 네이버 앱은 WebView 기반이다.[33] 트위치의 경우 720p로 낮췄다가 그래도 수지타산이 안맞자 480p로 낮출지 고민했으나 그렇게 할 경우 시청 품질이 너무 낮아져 차라리 한국 시장 철수를 선택했다. # 때문에 트위치 시절을 그리워하는 유저들은 아무리 그리드 없이 유지하기 힘들다지만 너무 해상도가 낮다고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경쟁사인 SOOP의 경우 여전히 그리드를 설치하지 않으면 540p 정도로만 시청이 가능하다.[34] 유튜브, SOOP, 트위치와 같은 경쟁사는 방송이 종료되면 즉시 다시보기를 시청할 수 있으며, 방송 중에도 다시보기를 확인할 수 있다. 치지직은 방송이 모두 종료된 다음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을 다시 한 번 다시보기용으로 인코딩하는 것으로 보인다.[35] 유튜브 라이브도 12시간이 최대로 동일한 문제가 있으며, 트위치는 48시간까지 지원했었다. 다만 유튜브 라이브는 유튜브 시스템상 한계로 인해 시청 시에만 12시간 제한이 걸리는 것이고 영상 자체는 다 저장이 되어 있으므로 유튜브 자체 편집기에서 12시간 이후 분량을 새 동영상으로 분할해 저장하면 재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