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8:43:42

치명자산 성지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24694>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구천동주목군총[A]}}}
  1. 조경단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남고산성[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신재효선생서재[4]}}}
  1. 이병기 선생 생가
  2. 지행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만인의총[5]}}}
  1. 남원교룡산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남원유곡리및두락리고분군[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무장남문과토성[7]}}}
  1. 익산미륵산성
  2. 익산낭산산성
  3. 익산백제토기도요지
  4. 남원금남재
  5. 오목대 이목대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위봉산성[8]}}}
  1. 유애사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전봉준선생생가[9]}}}
  1. 우금산성
  2. 이석정선생생가
  3. 반계선생유적지
  4. 간재선생유지
  5. 문학대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웅치전적지[10]}}}
1.#26 이치전적지
  1. 칠연의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채석강[1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적벽강[12]}}}
  1. 정유재란호벌치전적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백산성지[13]}}}
  1. 최호장군유지
  2. 만석보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황토현전적지[14]}}}
  1. 마이산탑
  2. 태평봉수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남원성[15]}}}
  1. 아막성
  2. 인촌선생생가
  3. 사산리와요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마산동굴[A]}}}
  1. 백련사계단
  2. 효감천
  3. 동고산성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내흥동패총}}}
  1. 논개사당
  2. 초촌리고분군
  3. 서현사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도산리지석묘[17]}}}
  1. 대항리패총

[1] 사적 제408호로 승격[A] 2024년 11월 15일에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전북특별자치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3] 사적 제294호로 승격[4] 국가민속문화유산 제39호로 승격[5] 사적 제272호로 승격[6] 사적 제542호로 승격[7] 사적 제346호로 승격[8] 사적 제471호로 승격[9] 사적 제293호로 승격[10] 사적으로 승격[11] 명승 제13호로 승격[12] 명승 제13호로 승격[13] 사적 제409호로 승격[14] 사적 제295호로 승격[15] 사적 제298호로 승격[A] [17] 사적 제39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우덕리산성
  1. 척문리산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고부구읍성[18]}}}
  1. 두승산성
  2. 금사동토성
  3. 은선리토성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은선리고분군[19]}}}
  1. 운학리고분군
  2. 지사리고분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화산천주교회[20]}}}
  1. 삼세오충렬유적
  2. 백련사지
  3. 영은사지
  4. 남강정사
  5. 이매창묘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마이산[21]}}}
  1. 원통사지
  2. 천주교순교자묘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백제의익산사적지대}}}
  1. 금마도토성
  2. 숲정이<천주교순교지>
  3. 남고사지
  4. 내장사지
  5. 정충사지
  6. 합미성
1.#76 귀정사지
  1. 부안실상사지
  2. 내소사일원
  3. 남원사직단
  4. 서벽정
  5. 만육최양선생유허비
  6. 현포보수로및중건불망비
  7. 타루비
  8. 신석정고택
  9. 금구산성
  10. 설씨부인, 신경준선생유지(귀래정신말주후손세거지)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구군산세관본관[22]}}}
  1. 적상산사고지유구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팔효사의은행나무[A]}}}
  1. 백관수선생고택
  2. 이석용생가
  3. 임병찬창의유적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금동느티나무[A]}}}
  1. 추수경장군묘역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가림리줄사철나무[A]}}}
  1. 설진영서실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강천사모과나무[A]}}}
  1. 웅포리고분군
  2. 천호산성
  3. 성미산성

[18] 사적 제494호로 승격[19] 사적 제543호로 승격[20] 사적 제318호로 승격[21] 명승 제12호로 승격[22] 사적 제545호로 승격[A] 2024년 11월 15일에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전북특별자치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A] [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0~15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백장선생유적
  1. 안위장군묘
  2. 구파백정기의사고택지
  3. 사자사지
  4. 율촌리고분군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공덕면의은행나무[A]}}}
  1. 전라감영지
  2. 경복사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성당면의은행나무[A]}}}
  1. 말목장터와감나무
  2. 산수리지석묘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이병기생가의탱자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익산향교의은행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망해사의팽나무[A]}}}
  1. 고창용산리분청사기요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여산동헌의느티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고창하고리왕버들나무숲[A]}}}
  1. 해학이기선생생가
  2. 되재성당지
  3. 이산묘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구암사의 은행나무[A]}}}
  1. 고부관아터
  2. 회안대군묘
  3. 옥천부원군조원길묘및묘표
  4. 여산숲정이순교성지
1.#126 고창만동유적
  1. 지포김구선생묘역일원
  2. 장수 삼봉리 가야고분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고창 무장동학농민혁명 기포지[35]}}}
  1. 정읍 내장산 조선왕조실록 보존터
  2. 완주 대둔산 동학농민혁명 전적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장수 동촌리 가야고분군[36]}}}
  1. 상가 윷판형 암각화유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진안 도통리 중평 청자요지[37]}}}
  1. 군산 선유도 고려유적
  2.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3. 원평집강소 터
  4. 남원 월산리 고분군
  5. 완주 탄현봉수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부안 점방산 봉수[3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장수 침령산성[39]}}}
  1. 순창 대모산성
  2. 고창 부곡리 고인돌
  3. 임실 진구사지
  4. 남원 청계리 고분군
  5. 고창 전봉준 생가터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부안 도청리 솔섬[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41][A]}}}
  1. 고창 상금리 지석묘군
  2. 진안 대량리 제동 유적
  3. 장수 삼고리 고분군

[A] 2024년 11월 15일에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전북특별자치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A] [A] [A] [A] [A] [A] [A] [35] 사적으로 승격[36] 사적 제552호로 승격[37] 사적 제552호로 승격[38] 사적으로 승격[39] 사적으로 승격[A] [41] 천연기념물로 승격. 천연기념물로 승격되었지만 국가유산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에서는 시도기념물/시도자연유산에서 지정해제 처리되지 않았음.[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1. 개요2. 상세3. 불교계와의 승암산 명칭 분쟁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에 위치한 천주교 성지이다. 예전에는 승암산이라고 불렸지만 천주교 순교자들이 묻힌 이후로는 치명자[1]산 또는 루갈다 산이라고 부르고 있다. 조선 시대 신유박해(1801년)때 순교한 '호남의 사도' 유항검과 그의 가족 6명이 합장되어 있다. 이 중에는 성(聖) 다블뤼 안 안토니오[2] 주교가 “한국 순교자들의 보석”이라고 칭송한 동정부부 순교자 이순이와 유중철도 포함되어 있다.

2. 상세

유항검 가족은 처음에 초남이 근처 바우배기에 매장 되었다가 1914년 전주성당(현 전동성당)의 프랑수아그자비에 보두네 신부(François-Xavier Baudounet, 尹沙勿, 1859–1915)가 유해를 모셔와 현재 자리에 모셨다.

유항검은 초기 한국 천주교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며 그의 장남 유중철(요한)과 며느리 이순이(루갈다)는 동정 부부로 이름을 남겼다.[3] 치명자산 성지는 매년 유중철(요한)과 이순이(루갈다) 동정부부의 기념미사전주교구 차원에서 봉헌하고 있으며, '님이시여, 사랑이시여'라는 뮤지컬을 상설공연과 예약공연을 하고 있다.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하에 치명자산 성지 담당 신부가 관리하고 있다. 산 정상에는 1994년 건립된 기념성당이 자리하고 있다.

산 정상의 기념성당으로 가는 길은 성지아래에서 올라가는 두 길과 치명자산광장에서 올라가는 길과 성지 반대편 군경묘지 방향에서 올라오는 4가지 길이 있다. 성지 아래에서 올라가는 두 길의 교차점에서 다시 두 갈래 길로 나누어지며, 한 길은 십자가의 길을 하면서 올라가는 길이고, 한 길은 산 중턱의 전주교구 성직자 묘지[4]를 지나가는 길이다. 산 자체는 높지 않으나 성지까지 올라가는 두 갈래 길이 모두 가파르기 때문에 신자들을 위한 의자가 여러 군데 놓여 있다.

정상 근처에 기념성당과 약수터, 화장실이 있고, 기념성당 내부는 아기 예수성모 마리아, 나자렛의 요셉의 성가정화가 한국풍으로 있으며, 유중철과 이순이의 한글 서신 일부가 벽 모자이크로 만들어져 있다. 단체 순례를 올 경우 사전에 예약을 하면 미사를 봉헌할 수 있다. 성당 문을 나가서 계단 2개를 더 올라가면 정상 근처에 유항검 일가의 합장묘와 십자가가 세워져 있다. 순교자 묘는 '천주교순교자묘'라는 명칭으로 전라북도 기념물 제68호로 지정되어 있다.

보두네 신부가 해발 300여 m의 산정에 순교자들을 모신 뜻은 순교자들의 순결한 신심과 고매한 덕을 높이 기리고, 순교자들이 전주를 수호해 주기를 기원함이었다. 이후 1993년 유항검의 유해 확인을 위한 시굴 작업을 진행하여 유항검과 그 가족 6명 모두의 유해를 확인한 후 재안장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자.http://www.joanlugalda.com/

3. 불교계와의 승암산 명칭 분쟁

승암산은 옛부터 산 정상에 발달한 암석층이 염불하는 모양을 닮았다고 해 '중바위(중바우)'라고 불렸는데, 1914년 보두네 신부가 유항검 일가를 이장한 이래로 순교자의 옛 명칭인 '치명자'를 따와 치명자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렇듯 천주교의 성지로 유명해지자 전주시가 승암산을 치명자산으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불교계가 승암산 명칭을 특정 종교의 종교색이 드러나는 명칭으로 바꿨다며 불쾌한 감정을 드러냈다.

물론 승암산도 불교 승려들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는 의미라서 불교색이 강하게 드러나는 지명이고 지역민들도 이젠 치명자산으로 부를 정도로 치명자산이 훨씬 인지도가 높기에 불교계의 항의가 잘 먹히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지명은 인지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100년 남짓 천주교계에서 꾸준히 치명자산이라 불러 오고 성지를 관리한 이상 나름의 역사성도 형성되었다. 따라서 불교계의 항의에 대해 천주교계와 전주시는 아예 무관심,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5].

한편 불교계는 아예 전주시의 전주종교관광사업이 개신교, 천주교 성지화 작업이라는 주장도 내놓을 정도로 과열되었다. 그러나 전주종교관광사업은 천주교, 개신교, 불교, 원불교, 천도교, 유교 6대 종교의 성지를 관광지화시키는 사업이다. 2020년에는 서고사 주변에 불교 세계평화명상센터 건립을 추진할 정도로 불교 성지 관광지화 작업도 열심히 하고 있다.
[1] 순교자의 옛날 표기[2]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5대 교구장. 1866년 병인박해순교. 한국 103위 순교성인 중 하나.[3] 2010년 천주교계 종교방송인 평화방송 TV에서 이 부부의 이야기가 '동정부부 요안, 루갈다'라는 제목의 드라마로 제작된 바 있다. 유중철 역과 이순이 역에는 천주교 신자 배우인 김무열이윤지가 캐스팅됐다.[4] 지정환 신부가 여기에 안장되어 있다.[5] 다만 불교계가 이러한 천주교의 성역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천진암 성지, 주어사 성역화 과정에서 일어난 '천주교 성역화' 과정 속에서 불교의 역사가 지워지거나 묻힌다는 불만 때문이다. 천진암의 경우 불교계 일각에서 천진암이란 이름에서 불교 암자였던 흔적조차 지우려 한다는 기고문까지 나올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