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72459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진천 길상사
1.#26
[1] 사적 제264호로 승격[2] 천연기념물 제261호로 승격[3] 명승 제42호로 승격[4] 분류상 자연유산인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지 않음[A] 2025년 2월 14일에 충청북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충청북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6] 사적 제417호 괴산 송시열 유적으로 통합[7] 명승 제20호로 승격[A] [A] [10] 천연기념물 제262호로 승격[11] 사적 제463호로 승격[12]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39호로 승격[13]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0호로 승격[14]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57호로 승격[15]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64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보은 고봉정사
1.#76 영동 김수온 묘소
[16]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94호로 승격[17]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95호로 승격[18]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96호로 승격[19]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97호로 승격[20]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98호로 승격[21]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99호로 승격[22]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0호로 승격[23]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1호로 승격[24]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2호로 승격[25]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3호로 승격[26]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4호로 승격[27]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5호로 승격[28]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6호로 승격[29]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07호로 승격[30] 사적 제414호로 승격[31] 사적 제415호로 승격[A] 2025년 2월 14일에 충청북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충청북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1.#126 충주 조동리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17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청주 여산송씨 정려각
| }}}}}}}}}}}} |
충청북도 기념물 제 136호 | |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忠州 富興寺 方壇積石遺構 | |
<colbgcolor=#6f448c><colcolor=#fff>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산4-1 부흥사 |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 / 종교신앙 / 석탑 / 탑 |
수량 | 1기 |
지정연도 | 2005년 10월 21일 |
건축시기 | 고려말 조선초로 추정 |
|
<colbgcolor=#6f448c>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
1. 개요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는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산4-1 부흥사에 위치한 돌로 쌓아 올린 유구로, 기울어져 있으며 정확한 축조 배경을 알 수 없는 미스터리한 유물이다. 일반적으로는 이형 석탑으로 본다.2. 내용
<colbgcolor=#6f448c>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관련 방송 |
부흥사 방단적석유구의 높이는 약 8m, 둘레는 약 13m이며 납작한 돌을 켜켜이 쌓아 올렸다. 정확한 조성시기는 알 수 없지만, 일단은 고려말에서 조선초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한다. 본 적석유구의 내부에는 작은 감실이 하나 있는데, 여기에는 '부흥산신위(富興山神位)'라고 적혀진 돌비석이 있다. 돌비석이 신위라는 이름으로 모셔져 있는 것으로 보아 위패로서 봉안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본래는 불교 석탑이 아니라 산신각으로서 축조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할 수 있다.
근래의 불분명한 시기에 최봉출이라는 사람이 무너져 있던 적석유구를 혼자 다시 쌓아 올렸다고 전하는데, 이를 반영하듯이 감실의 입구 옆에는 '고최봉출탑(故崔奉出塔)'이라 적힌 비석이 있다. 또한 개인이 혼자 쌓아서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 상부는 상당히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그럼에도 어쨌든 불안하게나마 균형이 잡혀 있어서 쓰러지지 않고 2022년 현재까지도 기울어진 채로 서있다.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는 축조형태가 매우 희귀한 문화재로, 이와 같은 탑 형태의 유구는 대체로 제천, 단양 등과 같은 충북 지방에서 발견되었는데[2] 충북 지방의 고유한 문화에서 비롯된 유적일 가능성이 있다.[3]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는 충북 지방의 민속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으며, 2005년 10월 21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문화재청 소개글
문화재청 소개글 |
원래 방단식 이형 탑으로 추정되며 축조에 사용된 돌은 적돌크기보다 작은 장방형의 돌을 한 켜씩 쌓아올렸다. 탑의 앞면 하단부에는 감실이 조성되어 있고 감실 안에는 '富興山神位'라 새겨진 석비가 자리하고 있다. |
5. 둘러보기
충주시의 문화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보 |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 |
충주 고구려비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보물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 충주 철조여래좌상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선림보훈 |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사적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 장미산성 | 숭선사지 |
누암리 고분군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명승 ||
탄금대 | 충주 계립령로 하늘재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민속문화재 ||
충주 윤양계 고택 | 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등록문화재 ||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유형문화재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기념물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 충주 박팽년 사당 | 충주산성 |
충주 대림산 봉수 | 충주 문주리 요지 | 충주 미륵리 요지 |
대림산성 | 충주 주정산 봉수 | 충주 김생사지 |
충주 조동리 고인돌 | 충주 조동리 유적 | 충주 팔봉서원 |
충주 신청리 고인돌 |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 충주 견학리 토성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문화재자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