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1:31

최다비

이름 최다비(Dabi Choe)
본명 최희진[1]
출생 1975년[2] 1월 3일 ([age(1975-01-03)]세)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신체 161cm, 42kg, B형
학력 홍익대학교 (불어불문 / 학사 / 93학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석사)
파리 제8대학교 (문화사회학 / 박사)
MBTI INTP 또는 INTJ
가족 남편[3]
친척 사촌 동생 김태우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4]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비쥬 시절3. 솔로 가수 시절
3.1. 1집 The Natural3.2. 2집 Neofeeling
4. 문화연구자의 길5. 근황6.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가수.

비쥬의 원년 멤버로서 비쥬의 앨범 1, 2, 3집 프로듀싱, 작사, 작곡, 가창, 코러스, 피아노 등 음악을 담당한 원년 멤버다.

2. 비쥬 시절

비쥬 시절의 활동은 비쥬(가수) 항목 참고.

비쥬 시절 최다비는 비쥬 1, 2, 3집을 프로듀싱, 작사, 작곡하였다. 최다비의 타고난 맑은 음색과 주민의 랩핑이 나름 잘 조화되었고, 노래도 밝은 분위기에 쉽게 들을 수 있는 곡들이어서 많은 인기를 누렸다. 불어불문학과 출신임을 살려 프랑스어 독백이나 가사 등을 잘 접목했던 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전성기를 보낸 1,2집 때와 달리 3집에서 새로운 장르를 시도하여 빠른 변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3집의 반응은 1, 2집의 분위기를 기대했던 팬들의 기대와는 달랐다. 비쥬 시절의 제한된 레퍼토리와 음악적 색깔, 남녀 '듀엣'이라는 한계에서 오는 여성 뮤지션에 대한 선입견에 대한 회의를 느끼고 보다 확고한 자신의 음악적 색깔과 음악을 하기 위해서 솔로 가수로서의 음반을 준비하게 되었다고 한다.

3. 솔로 가수 시절

비쥬 시절 사용하던 예명을 그대로 살려 Davi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3.1. 1집 The Natural

파일:external/www.kpopsfan.com/davi1.png

2003년 자신의 음악적 포부를 담은 솔로 앨범 1집 <The Natural>을 발표했다. 본인이 프로듀싱한 앨범으로 작사, 작곡한 보사노바, 락발라드 곡 등을 앨범에 실으며 비쥬 시절 다 보여주지 못했던 자신만의 멜로디와 음색을 고스란히 솔로 1집에 옮겨 담아 내놓았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비쥬 5집이 다른 기획사에서 같은 시기에 나왔기에 다비 1집이 알려지는 데에 마이너스로 작용했다는 시각도 있다. 타이틀곡은 NEVER SAY NEVER.

다비 1집은 비쥬의 틀에서 해방된 최다비의 음악적 재능과 역량을 가늠할 수 있었던 앨범이었다. 타이틀 곡이었던 “Never say never”는 자신의 보컬 스타일에 Jazzy함을 가미하였던 곡으로서, 당시에 생소한 재즈팝을 국내 가요시장에 전파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실제로 2003년 당시 매우 앞서가는 곡으로 인정 받았으며, 보기 힘들었던 불어 을 시도했다는 것도[5] 좋은 평가를 받았다. 워낙 특이한 일이었는지 기사까지 작성되었을 정도였다. 또한 이 점을 살리기 위해 TV무대에서는 프랑스인 래퍼와 같이 무대에 서기까지 하는 파격을 이어갔다. 이외에도 자신이 작곡한 보사노바, 락 발라드 등으로 앨범을 알차게 채웠다. 1집 활동을 하던 2003년 즈음 아이넷 "3인3가"에 출연하여 비쥬시절 대표곡이라고 할 수 있는 <누구보다 널 사랑해>를 솔로로 부른 적이 있다. (링크)

3.2. 2집 Neofeeling

파일:external/i59.tinypic.com/sma9ft.jpg

1집 활동 이후 최다비는 ‘1인 뮤지션’을 표방하며[6] 3년 만에 2집 <Neofeeling>을 발표했다. Romance를 타이틀곡으로 한 2집은 2곡을 제외한 수록곡 전부를 직접 작사, 작곡했고, CD 자켓 뒤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일부 세션을 제외하면 작사, 작곡, 코러스, 편곡, 프로그래밍, 믹싱까지 모두 직접 해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덕분에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을 제대로 만들어낼 수 있었고, 자신의 음색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고 한다. 솔로 2집은 1집과 유사한 곡풍을 유지하고 있으나, 유행이나 대중성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철저히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시도했다는 느낌이 강하다. 다비 2집을 모르는 사람에게 들려주면 언제 나온 음반인지 예측을 전혀 하지 못할 정도. 앨범 재킷에 본인의 모습을 전혀 드러내지 않은 것만 봐도 앨범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4. 문화연구자의 길

이후 프랑스에서 유학생활을 했다. 2013년 프랑스 여행 중에 그녀와 우연히 마주친 네티즌의 한 댓글이 소소한 화제를 부르기도 했다. 이미 당시에도 솔로 2집이 나온 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였지만 여전히 앨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는데, 방송가에서 드문드문 소소한 활동을 하기는 했지만 가수로서 본격 컴백하는 일은 없었고, 그대로 프랑스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2019년 숭실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초빙교수로 임용되었고, 2021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의 교수로 임용되어 재직 중이다.

5. 근황

2019년경에는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을 통해 자연스럽게 종종 화제가 되었는데, 출연한 것은 아니지만 이와 관련된 인터뷰 기사가 나왔다.

2020년 2월, 드디어 다비(최희진) 개인 유튜브 채널이 오픈됐다.

2021년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 2’의 OST에 촤다비 작곡의 비쥬 2집 타이틀 곡, ‘누구보다 널 사랑해’를 그룹 TWICE가 리메이크하여 인기를 모았다.

2021년 8월 12일, 이삭이 진행하는 아리랑 라디오 방송인 K-Poppin에 출연하면서 무려 13년 만에 방송 매체에 모습을 드러냈다.

2023년 6월 6일 무려 15년만에 지상파 예능에 출연했다. SBS 강심장리그에 출연해 교수로서 인생 2막을 걷게 된 근황에 대해 털어놨다.

2025년 넷플릭스 상영 예정인 김원석 연출, 아이유, 박보검 주연의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 비쥬 1집 최다비 작사의 '러브러브'가 원곡 그대로 삽입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6.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작사가 최희진과 동명이인이라서 한때 개별적으로 작사 활동을 한 게 아니냐는 오해도 받은 적이 있었다.[2] 한때 1977년생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3] 2011년에 결혼했다고 한다.[4] 비공개 계정이다.[5] 본인이 비쥬시절 부른 노래를 포함하면 단순 불어 가사를 노래한 적은 많았으나 불어 랩을 한 적은 없다.[6] 당시 흔한 개념은 아니기는 해도, 이전에도 시도한 사람은 많았다. 서태지, 신해철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