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규 ]
So Sniper...
정규 1집 / 2002초행(初行)
정규 2집 / 2003Be in Deep Grief
정규 3집 / 2004How Bad Do U Want It?
정규 4집 / 2007<colbgcolor=#4e9d6e> <colbgcolor=#000000> <colbgcolor=#222222> <colbgcolor=#852E00> Museum
정규 5집 / 2009Full Time
정규 6집 / 201240
정규 -1집 / 2019Chronicles
리메이크 / 2021
- [ EP & 싱글 ]
So Sniper...
정규 1집 / 2002초행(初行)
정규 2집 / 2003Be in Deep Grief
정규 3집 / 2004How Bad Do U Want It?
정규 4집 / 2007<colbgcolor=#4e9d6e> <colbgcolor=#000000> <colbgcolor=#222222> <colbgcolor=#852E00> Museum
정규 5집 / 2009Full Time
정규 6집 / 201240
정규 -1집 / 2019Chronicles
리메이크 / 2021
- [ 기타 ]
So Sniper...
정규 1집 / 2002초행(初行)
정규 2집 / 2003Be in Deep Grief
정규 3집 / 2004How Bad Do U Want It?
정규 4집 / 2007<colbgcolor=#4e9d6e> <colbgcolor=#000000> <colbgcolor=#222222> <colbgcolor=#852E00> Museum
정규 5집 / 2009Full Time
정규 6집 / 201240
정규 -1집 / 2019Chronicles
리메이크 / 2021
<colbgcolor=#4B3D4A><colcolor=#000> MC Sniper 2nd 초행 | |
| |
아티스트 | MC 스나이퍼 |
발매일 | 2003년 5월 14일 |
장르 | 한국 힙합 |
재생 시간 | 1시간 12분 |
곡 수 | 19곡 |
기획 | 스나이퍼사운드 |
유통 | 주식회사 포니캐년코리아 |
타이틀곡 | 한국인 |
1. 개요
2003년 5월 14일 발매된 MC Sniper의 정규 2집이다. 다른 앨범과 다르게 한국적인 느낌이 강하다. 이를 반증하듯 가야금, 해금, 태평소 등의 국악기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시 힙합에 가야금을 접목하던 원썬과 데프콘에게 영향을 받은듯하다.다만 이때 당시 인터넷 힙찔이들의 쌈박질이 절정이던 때라 인터넷에서 평가가 나빴다. 인터넷 힙합 팬덤층이 그렇게까지 크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 안에서는 무브먼트와 MP가 강해서 많이 행패를 부리고 다녔고, 또 당시는 소위 말하는 정통이니 뭐니 하는 스타일에 대해 고집이 많았다. 하지만 그런 싸움과 별개로 의외로 한국대중음악상에 노미네이트 된 작품이기도 하다. MC 스나이퍼 본인도 유일하게 2집에 나온 모든 곡을 듣지 않는다고[1] 언급했다.
2. 앨범 소개
{{{-1 2002년 05월 1집 앨범을 발매하는 신인치고는 수많은 수식어와 화재를 불러 일으켰던 MC Sniper...
- [ 펼치기 · 접기 ]
- ‘무관의 제왕’ 에서부터 힙합의 음유시인, 민족MC까지 마치 적어도 몇 장의 앨범을 발매한 가수처럼 많은 수식어와 관심으로 다가온 지 1년 만에 2번째 앨범을 발매한다.
힙합이라는 음악으로 사람들의 가슴을 울려놓은 1집 타이 곡
‘BK Love’와 ‘솔아솔아 푸르른 솔아’는 이 친구가 정말로 처음 정규앨범을 발매하는 친구인가 하는 의구심을 낳기에 충분할 정도의 완성도와 재능을 보여줬다.
또한 아주 심한 중독성 음악으로 자생적으로 생겨난 팬클럽의 회원(다음 카페)이 25,000명을 넘어서서 자체적으로 회원을 정리해야 되는 상황까지도 발생하게 됐다.
댄스 힙합이 아니라 정통 힙합이라는 ‘빡센~’ 장르의 한계성을 뛰어넘어 2002년 하반기에 앨범 판매 100,000장이라는 초석을 세우기도 했다.
MC Sniper의 트레이드 마크이기도 한 ‘연꽃’문양은 당시에 ‘동대문 의류상가’와 ‘남대문 의류상가’등에서 T-Shirt로 제작을 하여 판매하기도 했다. (Logo 사용 승인 없이…)
본인과 주위의 아픔을 노래하고, 병든 사회에 문제를 제기하며, 대부분의 곡들이 ‘방송불가’ 판정을 받으면서도 꿋꿋하게 활동한 그에게 수많은 동료 연예인과 가수들은 격려의 박수를 아끼지 않았다.
2집 앨범 역시 사회적인 문제도 많이 다뤘지만 개인적인 이야기도 많이 다뤘다.
또한 여태껏 한국 힙합 음악이 시도하지 않았던 국악과의 접목과 앨범 속지에서도 느낄 수 있는 Sniper만의 한국적인 색깔 등…2집 앨범에서는 더욱더 그가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힙합 뮤지션임을 알리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이 앨범을 발매하기도 전부터 외국에서부터 많은 Love Call을 받고 있다.
자켓 디자인 은 표지부터 ‘광화문’을 배경으로 자켓 사진을 촬영하는 등 어찌 보면 엉뚱할 정도로, 어떻게 생각하면 한국이라는 태생에 심한 집착을 보일 정도까지 우리 것에 대해 많은 애정을 쏟고 있다. 속지 하나하나 너무나도 한국적인 디자인 컨셉은 MC Sniper 본인의 생각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 직접 디자인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뮤직비디오 역시 30여 명의 촬영팀과 함께 4박 5일 동안 언더그라운드의 산실 홍익대학교 앞을 출발하여 수원, 천안, 서해, 광주, 부산 등…전국을 돌며, Road Movie 형식의 촬영과 함께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자연스러운 멋을 담는데 주력했다.
이번 앨범의 수록곡은 총 20곡으로 타이틀곡만 잘 만들고 나머지 삽입곡을 대강 만들어 채우는 다른 가수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꽉 찬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힙합 이면서도 Sampling에 의존하지 않고 대부분의 Rhythm Part, String Part를 Real Recording을 하여 Album Quality를 한층 높였다.
3. 트랙 리스트
1 | 초행(初行) (Intro) 1:54 |
2 | Could Be Luv 4:48 |
3 | 개구리 소년 5:20 |
4 | 신의 거처 (Skit) 0:23 |
5 | 음과 양 4:09 |
6 | 나의 무덤 5:01 |
7 | 한국인 (韓國人) (feat. Stonyskunk, 김성은) 5:08 |
8 | Baby Don't Cry 3:12 |
9 | Ronin (Skit) (feat. Jason of Ronin Crew) 0:22 |
10 | Clean U Up (feat. 飛刀승우) 3:59 |
11 | 49제 진혼곡 4:17 |
12 | 현재의 짐 4:10 |
13 | 불을 붙여라 (Skit) 0:45 |
14 | 자메이카로 (路) 4:14 |
15 | DJ R2 (Skit) 0:50 |
16 | Champion (feat. 키네틱 플로우, Illinit, BK, 배치기) 7:00 |
17 | Buddha Baby (feat. Skul1, 키네틱 플로우, A-Dust, TakTak36) 6:03 |
18 | 마음의 불씨를 삭히며 (Outro) 3:09 |
19 | Baby Don't Cry (Acoustic Ver.) (Bonus Track) 7:19 |
3.1. 한국인
한국인 |
- [ 추가 영상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4b4b4><tablebgcolor=#4B3D4A><bgcolor=#4B3D4A> 뮤직비디오 ||
개인 라이브
"한국인" 가사 |
|
3.2. Champion
Champion |
"Champion" 가사 |
|
아웃트로 이후 아래의 Buddha Baby와 이어진다.
3.3. Buddha Baby
Buddha Baby |
- [ 추가 영상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4b4b4><tablebgcolor=#4B3D4A><bgcolor=#4B3D4A> Mnet 라이브[2] ||
"Buddha Baby" 가사 |
|
[1] 개인 유튜브에 6번 트랙 '나의 무덤' 라이브가 올라온 것을 보아,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표현이지 정말로 아예 듣지 않는 것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2] 비도승우는 당시 군복무중이어서 ILLINIT, 베이직으로 이루어졌던 베스피드가 대신 참여했으며 파트도 둘이 새롭게 불렀다.[3] 쿠시와 함께 High Stock이라는 팀으로 활동했던 래퍼. 이후 쿠시가 스컬과 함께 결성했던 레게 듀오 스토니 스컹크의 앨범에도 참여했다. 대중적으론 SHOW ME THE MONEY 3 출연자 중 한 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4] 라이브에서는 위의 korean kayaman으로 바꿔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