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22:25:58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갤럭시(유희왕)]]{{{#!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유희왕 의 엑시즈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초차원로보 갤럭시 디스트로이어, 일어판명칭=<ruby>超次元<rp>(</rp><rt>ちょうじげん</rt><rp>)</rp></ruby>ロボ ギャラクシー・デストロイヤー, 영어판명칭=Superdimensional Robot Galaxy Destroyer, 속성=빛, 레벨=10, 공격력=5000, 수비력=2000, 종족=기계족, 소재=레벨 10 몬스터 × 3, 효과1=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유희왕 ZEXAL 45화에서 오쿠다이라 후야 가 고슈 와의 듀얼 중 사용. 갤럭시 퀸즈 라이트 의 효과로 이차원 에스퍼 스타 로빈 의 레벨 10이 된 봉왕수 가이르다 , 철의 거인 아이언해머 를 소재로 엑시즈 소환되었다. 자신 효과로 작렬 장갑 과 H·C 워 해머 에게 장착된 야수전사 퓨먼 을 파괴하고 워해머를 파괴했지만, 다음 턴 자기 효과+히로익 찬스 로 공격력 8000을 찍은 H-C 엑스칼리버 에게 파괴되며 후야의 패배로 끝났다. 효과명은 '갤럭시 브레이크(ギャラクシー・ブレイク / Galaxy Break)'. 공격시엔 자기 몸보다도 더 거대한 광선포를 소환해 발사한다.유희왕 ARC-V 126화에서는 아카바 레오 가 리얼 솔리드 비전에 관해 회상하는 장면에서 카메오 등장했다. 특촬 히어로물의 주연 아역 배우인 후야가 쓰는 카드답게 이전에 쓰던 카드들이 초능력 소년 히어로라면, 이쪽은 전형적인 거대로봇 히어로의 모습이다. 모티브는 가오가이가 로 추정.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초차원로보 갤럭시 디스트로이어, 일어판명칭=<ruby>超次元<rp>(</rp><rt>ちょうじげん</rt><rp>)</rp></ruby>ロボ ギャラクシー・デストロイヤー, 영어판명칭=Superdimensional Robot Galaxy Destroyer, 속성=빛, 레벨=10, 공격력=5000, 수비력=2000, 종족=기계족, 소재=레벨 10 몬스터 × 3,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최초의 공격력 5000 엑시즈 몬스터. 더불어 폭주특급 로켓 애로우 와 더불어 여전히 기계족 최고의 공격력을 가진 카드이기도 하다. 이 카드 때문에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은 2달 만에 최고 공격력의 엑시즈 몬스터라는 지위를 잃었다. 전반적으로는 원작과 거의 똑같이 구현됐다. 레벨 10 몬스터 3장을 소재로 하며, 랭크 10 기계족 엑시즈 몬스터이므로 No.27 노급전함-드레드노이드 위에 겹쳐 소환이 가능하다. 막강한 능력치에도 불구하고 소환 제약이 없어 죽은 자의 소생 ,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 엑시즈 리본 등으로 소생시킬 수 있다.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여 발동하는 해피의 깃털 효과와 효과 발동에 상대 마함의 체인을 막는 기능도 그대로 구현됐다. 다만 이 효과는 평범한 기동 효과고 이 카드 자체에도 아무 내성이 없으므로, 소환 반응형 카드나 프리 체인 카드에 쉽게 제거된다. 또한 몬스터 효과로는 체인이 가능하므로 몬스터 효과로도 막힐 수 있다. 레벨 10 몬스터 3장이라는 매우 무거운 소환 조건도 단점이다. 수록 시리즈 2012-04-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JP044 | リターン・オブ・ザ・デュエリスト [ RETURN OF THE DUELIST ] 2024-08-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JP044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クロスオーバー・ブレイカーズ - 2012-07-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KR044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202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CB-KR044 | 덱 빌드 팩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 2012-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EN044 | RETURN OF THE DUELIST 2020-11-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GO-EN130 | Gold Series: Maximum Gold 2024-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BR-EN043 | CROSSOVER BREAKERS
공교롭게도 카드파이트!! 뱅가드 에도 '초차원로보'라는 유닛 테마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도 초차원로보 다이유샤 는 표기된 능력치가 딱 이 카드의 공격력의 2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