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22:25:07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작품의 원작 라이트 노벨 13권}}}에 대한 내용은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작품의 원작 라이트 노벨 13권: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등장인물 | 사춘기 증후군 | 무대탐방
미디어 믹스 | 코믹스 | 음반 (불가사의 카르테)

애니메이션
1기 · 극장판1 · 극장판2 · 극장판3 · 2기 · 극장판4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 (2025)
ブタはサンタクロースの夢を見
Rascal Does not Dream of Santa Claus
<nopad> 파일:청춘 돼지 애니 2기 키 비주얼_kr.png
{{{#C8161D,#C8161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4EA2,#004EA2> 장르 러브 코미디, 판타지
원작 카모시다 하지메
원작 일러스트 미조구치 케이지
감독 마스이 소이치
시리즈 구성 요코타니 마사히로
캐릭터 디자인 타무라 사토미
프롭 디자인 오가와 아카네(小川 茜)
의상 디자인 요네자와 사오리(米澤彩織)
나루세 아이(成瀬 藍)
미술 설정 시오자와 요시노리(塩澤良憲)
미술 감수 카토 히로시(加藤 浩)
미술 감독 사카가미 히로후미(坂上裕文)
색채 설계 요코타 아스카(横田明日香)
3D 디렉터 오다 켄고(織田健吾)
타나카 하즈키(田中葉月)
촬영 감독 양효목(楊暁牧)
편집 미시마 아키노리(三嶋章紀)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악 fox capture plan
음악 제작 애니플렉스
기획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모리 요시후미(森 好文)
아오야기 마사유키(青柳昌行)
사토 마키(佐藤真紀)
마츠오카 타케히로(松岡雄浩)
하가와 히로시(羽川 寛)
시미즈 아키라(清水 暁)
프로듀서 나라 슌스케(奈良駿介)
쿠로카와 유이치로(黒川雄一朗)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츠지 토시카즈
애니메이션 제작 CloverWorks
제작 청춘 돼지 Project
방영 기간 2025. 07. 05. ~ 2025. 09. 27.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토) 23: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월) 00:3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if 링크 != null
[[https://laftel.net/item/42927|▶]]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laftel.net/ite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laftel.net/item/|▶]]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3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선정성)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대한민국2.1.2. 일본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음악
5.1. 주제가
5.1.1. OP5.1.2. ED
5.2. 삽입곡
5.2.1. 키리시마 토코5.2.2. 스위트불릿
6. 회차 목록7. 회차별 WEB 예고편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9. 평가
9.1. 방영 전9.2. 방영 후9.3. 총평
10. 원작과의 차이점11. 미디어 믹스
11.1. BD&DVD
12. 기타

1. 개요

카모시다 하지메의 소설 청춘 돼지 시리즈의 10~13권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2기. 시리즈의 2부인 대학생편을 다룬 작품이다. 감독은 마스이 소이치. 방영 시기는 2025년 7월.

2. 공개 정보

2.1. PV

2.1.1. 대한민국

애니플러스 PV

2.1.2. 일본

대학생편 애니메이션 제작 결정 PV
티저 PV
PV 제1탄
PV 제2탄
1화 일부 선공개

2.2. 키 비주얼

파일:aobuta_anime_university_v2.jpg 파일:청춘 돼지 애니 2기 티저 비주얼.jpg 파일:청춘 돼지 애니 2기 키 비주얼_kr.png
<rowcolor=#822d30,#822d30>
미조구치 케이지의 대학생 마이 비주얼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1]
파일:청춘 돼지 대학생편 미조구치 케이지 집합 일러스트.jpg
<rowcolor=#822d30,#822d30>
미조구치 케이지의 대학생 편 집합 비주얼
파일:청춘 돼지 2기 우즈키.jpg 파일:청춘 돼지 2기 이쿠미.jpg
<rowcolor=#822d30,#822d30>
방황하는 가수 편 비주얼
나이팅게일 편 비주얼
파일:청춘 돼지 2기 히메지.png 파일:청춘 돼지 2기 네네.jpg
<rowcolor=#822d30,#822d30>
마이 스튜던트 편 비주얼
산타클로스 편 비주얼

3. 줄거리

사춘기 증후군――
불안정한 정신 상태 때문에 일어나는 소문의 불가사의한 현상.

고교 시절 다양한 사춘기 증후군이 발병한 소녀들과 만난
'아즈사가와 사쿠타'도 대학생이 되었다.

국민적 인기 여배우이자 연인인 '사쿠라지마 마이'와 함께
카나자와핫케이에 있는 대학에 진학한 사쿠타는,
교내에서 계절과 맞지 않는 미니 스커트를 입은 산타를 발견했다.

놀랐어. 너한텐 내가 보이는 구나.

어딘가에서 들어본 것 같은 대사.
사춘기 증후군을 선물하고 있다고 말하는
미니 스커트 산타는 사쿠타에게 말했다.

......내 이름은 키리시마 토코야

SNS에서 유행하는
예지몽, 정체불명의 인터넷 가수, 폴터가이스트,
수수께끼의 현상과 함께, 방황하는 소녀들과의
불가사의한 이야기가 다시 시작된다.

사춘기는 끝나지 않는다――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춘 돼지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청춘 돼지 시리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청춘 돼지 시리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004ea2,#004ea2>
파일:aobuta_profile_01_sakuta_v2.png 파일:aobuta_profile_02_mai_v2.png 파일:aobuta_profile_08_uzuki_v2.png 파일:aobuta_profile_09_ikumi_v2.png
아즈사가와 사쿠타
CV.
이시카와 카이토
사쿠라지마 마이
CV.
세토 아사미
히로카와 우즈키
CV.
아마미야 소라
아카기 이쿠미
CV.
야마네 아야
파일:aobuta_profile_10_sara_v2.png 파일:aobuta_profile_11_nene_v2.png 파일:aobuta_profile_12_miori_v2.png 파일:aobuta_profile_03_tomoe_v2.png
히메지 사라
CV.
코하라 코노미
미니스커트 산타
CV.
우에다 레이나
미토 미오리
CV.
이와미 마나카
코가 토모에
CV.
토야마 나오
파일:aobuta_profile_04_rio_v2.png 파일:aobuta_profile_05_nodoka_v2.png 파일:aobuta_profile_06_kaede_v2.png 파일:aobuta_profile_17_fukuyama_v5.png
후타바 리오
CV.
타네자키 아츠미
토요하마 노도카
CV.
우치다 마아야
아즈사가와 카에데
CV.
쿠보 유리카
후쿠야마 타쿠미
CV.
이와나카 무츠키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OP
スノウドロップ
스노드롭
TV ver.
MV ver.
Collaboration Video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Conton Candy
작사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4EA2,#004EA2> 콘티 키타이 요시키(北井嘉樹)
연출
작화감독 노노시타 이오리(野々下いおり)
스에다 아키히로(末田晃大)
작화 육성감독 오카 유이치
}}}}}}}}} ||
{{{#!folding 가사 ▼ (伝えたい)
(츠타에타이)
(전하고 싶어)

(あぁ)
(아아)
(아아)

空を仰いでる 転がった秒針と
소라오 아오이데루 코로갓타 뵤우신토
하늘을 우러러 가로누운 초침과

孤独に埋もれた部屋に響くインターホン
코도쿠니 우모레타 헤야니 히비쿠 인타혼
고독에 파묻힌 방에 울리는 인터폰

このままじゃダメだとして
코노마마쟈 다메다토시테
이대로는 안 된다면서

でもこのままで居られるように
데모 코노마마데 이라레루요니
하지만 이대로 있을 수 있도록

止ることをやめないで
토도마루코토오 야메나이데
머무르는 것을 그만두지 않고

開く
히라쿠
열어

伝えたい気持ちは僕に
츠타에타이 키모치와 보쿠니
전하고 싶은 마음은 내게

舌が無くてもこんなに伝わってる
시타가 나쿠테모 콘나니 츠타왓테루
혀가 없어도 이렇게나 잘 전해졌어

掴みたい幸せだって
츠카미타이 시아와세닷테
붙잡고 싶은 행복도

一瞬香った花のように枯れないもの
잇슌 카옷타 하나노요니 카레나이모노
한순간 향기를 풍긴 꽃처럼 시들지 않는 것

探して
사가시테
찾으며

彷徨って
사마욧테
헤메며

生きる
이키루
살아


もう現実と空想で渋滞
모 겐지츠토 쿠우소오데 쥬타이
이제 현실과 공상으로 정체

なんやかんや眠ったら安泰
난야칸야데 네뭇타라 안타이
어찌됐든 잠에 빠지면 편안

そうでもないような日もある あるんだよ
소데모 나이요나 히모아루아룬다요
그렇지 않은 날도 있어

この先あるのは可能性
코노사키아루노와 카노세이
이 앞에 있는 건 가능성

心配ご無用 未完成でも行け
신빠이고무요 미칸세이데모 유케
걱정은 쓸데없어 미완성이더라도 가자

伝えたい気持ちがあって
츠타에타이 키모치가앗테
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어

今こうして書き綴ってみるけど
이마코시테 카키츠즛테 미루케도
지금 이렇게 적어보지만

掴みたいそれは君の心
츠카미타이 소레와 키미노 코코로
붙잡고 싶은 그건 너의 마음

それだけ
소레다케
그뿐이야


伝えたい気持ちは僕に
츠타에타이 키모치와 보쿠니
전하고 싶은 마음은 내게

舌が無くてもこんなに伝わってる
시타가 나쿠테모 콘나니 츠타왓테루
혀가 없어도 이렇게나 잘 전해졌어

掴みたい幸せだって
츠카미타이 시아와세닷테
붙잡고 싶은 행복도

一瞬香った花のように枯れないもの
잇슌 카옷타 하나노요니 카레나이모노
한순간 향기를 풍긴 꽃처럼 시들지 않는 것

探して
사가시테
찾으며

彷徨って
사마욧테
헤메며

生きる
이키루
살아
}}} ||

5.1.2. ED

ED
水平線は僕の古傷
수평선은 나의 오래된 상처
히로카와 우즈키 솔로 TV ver.[2]
아카기 이쿠미 솔로 TV ver.[3]
히메지 사라 솔로 TV ver.[4]
이와미자와 네네 솔로 TV ver.[5]
Full ver.
SP Full ver.
[6]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히로카와 우즈키 (CV. 아마미야 소라)
아카기 이쿠미 (CV. 야마네 아야)
히메지 사라 (CV. 코하라 코노미)
미니스커트 산타 (CV. 우에다 레이나)
작사
코다마 아메코(児玉雨子)
작곡
카와이 히데히로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4EA2,#004EA2> 콘티 이케다 아이카(池田愛彩)
연출
작화감독 스에다 아키히로(末田晃大)
}}}}}}}}} ||
{{{#!folding 가사 ▼우즈키, 이쿠미, 사라, 미니스커트 산타

ずっと嘘みたいな うろ覚えの歌
ふと唐突 醒めた夢
ずっと泣いてたかった 句点のない世界
そっと解く 君の腕

本当は離れ離れ
引き裂かないで
寄せて返して返して!
傲慢なんだ
(そうだね)

水平線は僕の古傷
永遠まで続いて孤独
君はそのままなぞり歩いて
まるで今 大人の表情でいた

水平線は僕の古傷
まだ青く溢れるモノローグ
僕はこのまま象られてくだけなの?
それじゃ いっそ、

ずっと知らなかった みんなが好きな歌
君も歌えたんだね
もっと泣いてたかった 融点のない世界
茫洋あの影は誰

いつも流れ任せ
曖味がいい
寄せて返して返して!
ちょっと怖い
(僕だって)

水平線は僕の古傷
押し寄せた言葉の波間
君はそれでもやさしかったね
少し今 そっちへ踏み出すから

水平線は僕の古傷
足跡はふたりのダイアローグ
何も残せない それでも僕は僕だと思えたら

行間の透明な言葉や
誰かの超音波
共感できないこと
わかりたくないこと

あの歌も僕の古傷
消したいのに 消えないでほしい
波と砂浜 境界線は
まるで今 手と手を繋ぐみたい

水平線は僕の古傷
まだ青く溢れるモノローグ
僕はこのまま象られない
自由で ありのままの形になりたい
}}}
카르테를 만들었던 작사, 작곡가가 다시 모여서 만든 곡으로 TVA 1기와 마찬가지로 해당 에피소드의 히로인이 단독으로 노래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TVA 엔딩 버전은 1기와 마찬가지로 1분 분량으로 편집되었다.

5.2. 삽입곡

5.2.1. 키리시마 토코

1, 2, 11, 12화 극중가
Social World
키리시마 토코 MV ver.
우즈키 커버 Short ver.
키리시마 토코 Full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히로카와 우즈키(CV: 아마미야 소라)1,2화
키리시마 토코2화
사쿠라지마 마이(CV: 세토 아사미)11화
이와미자와 네네(CV: 우에다 레이나)12화
작사
키리시마 토코
작곡

원작 소설 10권 히로카와 우즈키 에피소드의 발단이 된 노래. 일부 멜로디에서 1기의 ED곡인 불가사의 카르테의 요소를 따왔다. 뮤직비디오가 실사로 촬영된 것이 특징이며, 촬영지가 전부 요코하마라는 중요한 복선을 담고 있다. 키리시마 토코가 부른 원곡과 우즈키가 부른 커버곡, 마이가 부른 커버곡 이렇게 세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4, 5, 6, 7화 극중가
Hilbert Space
키리시마 토코 MV ver.
키리시마 토코 Full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키리시마 토코
작사
작곡

원작 소설 11권 아카기 이쿠미 에피소드의 발단이 된 노래. 뮤직비디오의 배경지역은 후지사와시와 시치리가하마 해변이다.
8, 10화 극중가
I need you
키리시마 토코 MV ver.
키리시마 토코 Full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키리시마 토코
작사
작곡

원작 소설 12권 히메지 사라 에피소드의 발단이 된 노래. 뮤직비디오의 배경지역은 후지사와역가마쿠라시다.
10화 극중가
Silent Night
Short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키리시마 토코
작사
작곡

미니스커트 산타가 크리스마스 이브에 공개한 신곡.
12, 13화 극중가
Someone
키리시마 토코 MV ver.
키리시마 토코 Full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키리시마 토코
작사
작곡

원작 소설 13권 미니스커트 산타 에피소드의 발단이 된 노래. 뮤직비디오의 배경지역은 요코하마시다.

5.2.2. 스위트불릿

2, 3, 5화 극중가
オトメノート
소녀 노트
Full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히로카와 우즈키 (CV. 아마미야 소라)
토요하마 노도카 (CV. 우치다 마아야)
아노 야에 (CV. 시부야 아야노)
나카고 란코 (CV. 스즈시로 사유미)
오카자키 호타루 (CV. 타카기 미유)
작사
코다마 아메코(児玉雨子)
작곡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편곡
{{{#!folding 가사 ▼ 우즈키, 노도카, 야에, 란코, 호타루

誰にもきっと負けない一歩踏み出した

たとえ合図にでも

まだ教えないよ

親にも内緒 ひとりでぎゅっと抱きしめたい

だってね 覚めたばかり夢を守りたい

あの子よりとか 普通ならとか
아노코 요리토카 후추우 나라토카
저 아이보다 라든가 보통은 이라든가

すぐに比べちゃうけれど わかっちゃいるんだ
스구니 쿠라베차우케레도 와캇차이룬다
바로 비교가 되겠지만 알고 있어


全部 one two three もっと 増やしたいオトメノート
젠부 완 투 쓰리 못토 후야시타이 오토메노토
전부 one two three 좀 더 늘리고 싶은 소녀 노트

私の宝物 ドキドキホイ
와타시노 타카라모노 도키도키호이
나의 보물 두근 두근 호이

やっぱ one two three ココロ 高鳴るオトメノート
얏파 완 투 쓰리 코코로 타카나루 오토메노토
역시 one tew three 마음을 울리는 소녀 노트

もちろん本音リズムは ドキドキドキ
모치롱 혼네리즈무와 도키도키도키
물론 속마음 리듬은 두근두근두근

ちょっとバレそう


理想はうんと背伸びで いっちょはしょれたら

なんて目覚めたばかり

少しずつ行こう


からかわれても 譲れないんだもん
카가카와레테모 유즈레나인다몬
놀림 당하더라도 양보할 수 없는 걸

私が私のこと 信じなくちゃ
와타시가 와타시노 코토 신지나쿠챠
내가 나를 믿지 않으면


遠く one two three いつか 届けたいオトメノート
토오쿠 완 투 쓰리 이츠카 토도케타이 오토메노토
멀리 one twe three 언젠가 전하고 싶은 소녀 노트

宛先 愛すべき You, you, you
아테사키 아이스베키 유 유 유
받는 사람은 사랑스런 you you you

ずっと one two three 止まない オリジナルワタシの音
즛토 완 투 쓰리 야마나이 오리지날 와타시노 오토
계속 one twe three 멈추지 않는 오리지널 나의 소리

溢れるメロディは So what, so what, so what?
아후레우 메로디와 소왓 소왓 소왓
넘치는 멜로디는 So what, so what, so what?

ああもう 聞かせたい


あきらめ方を

覚えてくより

私が私のこと

ときめかせたい


全部 one two three そっと 数えてオトメノート
젠부 완 투 쓰리 솟토 카조에테 오토메노토
전부 one twe three 살짝 세는 소녀 노트

ひとつひとつがほら ミーミーミー
히토츠 히토츠가 호라 미 미 미
하나 하나가 봐봐 미 미 미

やっぱ one two three ココロ 高鳴るオトメノート
얏파 완 투 쓰리 코코로 타카나루 오토메노토
역시 one two three 마음을 울리는 소녀 노트

もちろん本音リズムは ドキドキドキ
모치롱 혼네리즈무와 도키도키도키
물론 속마음 리듬은 두근두근두근

ちょっとバレそう
}}} ||
스위트불릿의 댄스 레슨 장면, 핫케이지마 라이브 장면, 마이가 운전할 때 나온 곡으로 극장판 2탄에서도 나왔던 삽입곡이다. 극장판 2탄에서는 사쿠타와 카에데의 대화에 집중시키기 위해 가사를 모두 뭉갰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 가사가 제대로 나오는 건 2기가 처음이다. 핫케이지마에서 우즈키 없이 라이브를 진행했을 때는 우즈키의 파트를 란코가 불렀다.
3, 5화 극중가
ミューズになっちゃう
뮤즈가 될 거야
Full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히로카와 우즈키 (CV. 아마미야 소라)
토요하마 노도카 (CV. 우치다 마아야)
아노 야에 (CV. 시부야 아야노)
나카고 란코 (CV. 스즈시로 사유미)
오카자키 호타루 (CV. 타카기 미유)
작사
코다마 아메코(児玉雨子)
작곡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편곡
{{{#!folding 가사 ▼ 우즈키, 노도카, 야에, 란코, 호타루

元気ないじゃん
겐키나이쟝
기운 없잖아

ほらだんだん
호라 단단
자 점점

ミューズになっちゃうだだだだだダンス


この頃はチョイバー 順番待ちのラッキーターン

おとなしなギャル なんて決めつけやだ

電話できない理由 (もういっそ)
덴와 데키나이 리유 (모 잇소)
전화할 수 없는 이유 (이제 차라리)

ケンカしちゃたまんない (やっぱもうちょっと)
켄가시챠 타만나이 (얏파 모 춋토)
싸운 채 그대로 (역시 조금 더)

いつからか 自らが 諦めちゃってんだ

またの今週をリプレー

てかこのまま人生

流されてたくないじゃん

飛び出そうよ Together
토비다소요 투게더
뛰쳐나가자 Together


みんなみんなみんな夢中で wink and dance
민나 민나 민나 무츄데 윙크 앤 단스
모두 모두 모두 정신없이 wink and dance

everyday every night うずいてる愛
에브리데이 에브리나잇 우즈이테루 아이
everyday every night 아픔을 느끼는 사랑

キラキラキラ明日へ wink and dance
키라 키라 키라 아스에 윙크 앤 단스
반짝 반짝 반짝 내일로 wink and dance

主役になる魔法
슈야쿠니 나루 마호
주인공이 되는 마법

なんか落ち込むことあったのか
난카 오치코무 코토 앗타노카
무슨 우울한 일 있었어?

Any day Any time 放ってる shine
애니데이 애니타임 하낫테루 샤인
Any day Any time 내던지는 shine

今今今踊っていようか
이마 이마 이마 오돗테이요카
지금 지금 지금 춤출까

ビート乗ってもっと 信じてよきっと いいことがあるよ
비토 놋테 못토 신지테요 킷토 이이 코토가 아루요
비트를 타고 좀 더 믿어봐 분명 좋은 일이 있을 거야

元気ないじゃん
겐키나이쟝
기운 없잖아

ほらだんだん
호라 단단
자 점점

ミューズになっちゃうだだだだだダンス


握るほど痛い棘を持つプライド

頼れる my lady そんないい子じゃないね

またの今週をリプレー

早くムードリセット

こんなのじゃ マジありえん
콘나노자 마지아리엔
이런 건 정말 말이 안 돼

ホロいのキミ見せて
호로이노 키미 미세테
혼자 있는 너를 보여줘

みんなみんなみんな知らない secret night
민나 민나 민나 시라나이 시크릿나잇
모두 모두 모두 모르는 secret night

Everyone only one 求めて step
에브리원 온리 원 모토메테 스텝
Everyone only one 원하는 step

キラキラキライな夜明けを
키라 키라 키라이나 요아케오
반짝 반짝 반짝이는 새벽을

キミとならパラダイス
키미토나라 파라다이스
너와 함께라면 파라다이스

今夜星空巡るのは

君が君が君が 笑うから


みんなみんなみんなはしゃいで twinkle night

眠っちゃいない

キラキラキラかけて my hero

素直になる魔法

みんなみんなみんな知らない Sunday night
민나 민나 민나 시라나이 선데이나잇
모두 모두 모두 모르는 Sunday night

Everyone only one 求めて step
에브리원 온리 원 모토메테 스텝
Everyone only one 원하는 step

キラキラキライな 夜明けも
키라 키라 키라이나 요아케모
반짝 반짝 반짝이는 새벽도

キミとならパラダイス
키미토나라 파라다이스
너와 함께라면 파라다이스

どんなどん底な気分も光れ
돈나 돈조코나 키분모 히카레
어떤 최악의 기분도 빛나

今日も明日も続いてく life
쿄모 아스모 츠즈이테쿠 라이프
오늘도 내일도 계속되는 life

いまいま今なら照れずに
이마 이마 이마나라 테레즈니
지금 지금 지금이라면 부끄러워 말고

ビート乗ってもっと 信じてよきっと いいことがあるよ
비토 놋테 못토 신지테요 킷토 이이 코토가 아루요
비트를 타고 좀 더 믿어봐 분명 좋은 일이 있을 거야

元気ないじゃん
겐키나이쟝
기운 없잖아

ほらだんだん
호라 단단
자 점점

ミューズになっちゃうだだだだだダンス

ミューズになっただだだだだダンス
뮤즈니낫타 다다다다단스
뮤즈가 됐어 대대대대댄스
}}} ||
스위트불릿의 오다이바 콘서트 장면에서 나왔던 곡으로 극장판 2탄의 콘서트 장면에서도 나왔던 곡이다.
3화 극중가
超音波のメロディ
초음파의 멜로디
Short ver.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224c7e,#224c7e>
노래
히로카와 우즈키 (CV. 아마미야 소라)
토요하마 노도카 (CV. 우치다 마아야)
아노 야에 (CV. 시부야 아야노)
나카고 란코 (CV. 스즈시로 사유미)
오카자키 호타루 (CV. 타카기 미유)
작사
코다마 아메코(児玉雨子)
작곡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편곡

스위트불릿의 오다이바, 핫케이지마 콘서트 장면에서 나온 신곡이다.

6. 회차 목록

회차
제목[7]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청춘 돼지는 방황하는 가수의 꿈을 꾸지 않는다
제1화[A] 思春期は終わらない
사춘기는 끝나지 않는다
요코타니 마사히로 마스이 소이치 이케다 아이카
(池田愛彩)
노노시타 이오리
(野々下いおり)
스에다 아키히로
(末田晃大)
타나카 코키
(田中光輝)
모리타 유시
(モリタユーシ)
코마모토 아이코
(こまもとあいこ)
노노시타 이오리
스에다 아키히로
日: 2025.07.05.
韓: 2025.07.07.
하이라이트
제2화 空気の味は何の味?
분위기 맛은 무슨 맛?
야스이 타카시
(安井貴司)
오오츠카 야에
(大塚八愛)
아쿠사와 토모에
(阿久澤友恵)
모리타 유시
스에다 아키히로
후쿠나가 토모코
(福永智子)
코마모토 아이코
노노시타 이오리 日: 2025.07.12.
韓: 2025.07.14.
하이라이트
제3화 アイドルソング
아이돌 송
마스이 소이치 이케다 아이카
타카하시 히데토시
(髙橋英俊)
아쿠사와 토모에
스즈키 유히
(鈴木夕陽)
타카하시 히사유키
(高橋尚千)
노노시타 이오리
스에다 아키히로
후쿠나가 토모코
코마모토 아이코
나루세 아이
(成瀬 藍)
오오쿠마 시로
(大熊 白)
シュウ ビュハガ
스즈키 사에코
(鈴木紗英子)
노노시타 이오리
스에다 아키히로
나루세 아이
日: 2025.07.19.
韓: 2025.07.21.
하이라이트
청춘 돼지는 나이팅게일의 꿈을 꾸지 않는다
제4화[A] 正義の味方
정의의 사도
요코타니 마사히로 쿠레미즈 코스케
(紅水康介)
Mockingbird
마츠바라 에이스케
(松原栄介)
Fincrossed studio
아즈마 타카유키
(東 孝行)
스에다 아키히로
스에다 아키히로 日: 2025.07.26.
韓: 2025.07.28.
하이라이트
제5화 不協和音
불협화음
마스이 소이치 츠치다 슌
(土田 駿)
이케다 타카키
(池田孝輝)
우에노 아사미
(上野あさみ)
오가와 크리스
(小川玖理周)
요시다 히로미
(吉田ひろみ)
YUE
Fincrossed studio
日: 2025.08.02.
韓: 2025.08.04.
하이라이트
제6화[A] 記憶領域の君と僕
기억 영역의 너와 나
하라다 타카히로 하즈치 마이코
(羽土麻衣子)
아즈마 타카유키
日: 2025.08.09.
韓: 2025.08.11.
하이라이트
제7화[A] ヒルベルト空間の彼方から
힐베르트 공간의 너머에서
카타세야마
(片瀬山)
타나카 코키
張毅成
코마모토 아이코
마츠나가 카즈히데
(松永一秀)
jeto
あんこ餅
호리카와 히나타
(堀川陽向)
타무라 사토미
노노시타 이오리
日: 2025.08.16.
韓: 2025.08.18.
청춘 돼지는 마이 스튜던트의 꿈을 꾸지 않는다
제8화 秘密と約束
비밀과 약속
카토 호노카
(加藤穂乃伽)
키타이 요시키
(北井嘉樹)
타카츠 코이치로
(髙津光一朗)
스즈키 히카루
(鈴木 光)
코바야시 하루나
(小林陽奈)
김정남
(金正男)
타카이치 아야카
(高市彩加)
이즈미자카 츠카사
(泉坂つかさ)
니헤이 레이아
(二瓶令暁)
마츠이 쿄스케
(松井京介)
노노시타 이오리 日: 2025.08.23.
韓: 2025.08.25.
제9화 I need you 요코타니 마사히로 야스이 타카시 시모조노 히로시
(下園 寛)
후쿠나가 토모코
타카하시 히사유키
코마모토 아이코
타나카 코키
사카이리 카츠
(坂入 克)
호리카와 히나타
jeto
Gia Huy
오오쿠마 시로
シュウ ビュハガ
스즈키 사에코
스에다 아키히로 日: 2025.08.30.
韓: 2025.09.01.
제10화[A] 聖なる夜に
성스러운 밤에
이케다 아이카 아쿠사와 토모에
mockingbird
타나카 코키
하즈치 마이코
마츠바라 에이스케
아즈마 타카유키
오오쿠마 시로
シュウ ビュハガ
스즈키 사에코
타무라 사토미 日: 2025.09.06.
韓: 2025.09.08.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제11화[A] 夢見る世界
꿈꾸는 세계
요코타니 마사히로 시미즈 소타로
(清水奏太郎)
코마모토 아이코
아쿠사와 토모에
시모조노 히로시
張毅成
후쿠나가 토모코
오오쿠마 시로
シュウ ビュハガ
스즈키 사에코
이소노 사토시
(磯野 智)
스에다 아키히로 日: 2025.09.13.
韓: 2025.09.15
제12화[A] トナカイの仕事
루돌프가 할 일
쿠레미즈 코스케 하츠지 마이코
張毅成
마츠바라 에이스케
호리카와 히나타
jeto
텐카이
(天界)
히가시 타카유키
(東 孝行)
후타마츠 마리
(二松真理)
이시자키 나츠미
(石﨑夏海)
하마다 마코토
(はまだまこと)
사토 유키
(佐藤悠己)
노노시타 이오리 日: 2025.09.20.
韓: 2025.09.22.
제13화[A] サンタクロースの夢を見ない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마스이 소이치 카와카미 타이토
(川上泰斗)
타카하시 히테토시
(高橋英俊)
아쿠사와 토모에
사카이리 카츠
하츠지 마이코
타나카 코키
후쿠나가 토모코
시모조노 히로시
코마모토 아이코
나카무라 리카코
(中村里佳子)
오오쿠마 시로
シュウ ビュハガ
스즈키 사에코
호리카와 히나타
jeto
Matthew Mai
suckerfish
타무라 사토미
스에다 아키히로
노노시타 이오리
타무라 사토미
스에다 아키히로
노노시타 이오리
日: 2025.09.27.
韓: 2025.09.29.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55a3bd,#55a3bd><colcolor=#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9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0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한국에는 TVA 1기에 이어 애니플러스에서 2025년 3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하였다. 번역 담당은 장혜리, 검수는 홍성욱(1~8화) / 이용석(9화~), 종합편집은 최예지가 맡았다.

사소한 부분들까지 놓치지 않고 잘 번역해서 호평이었던 전작의 애니플러스 자막들과는 다르게 2기는 말장난을 거의 번역하지 못하고, 아무 이유도 없이 현실의 실제 로고까지 그대로 나오는 상품명을 검열하고[16], 평행세계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라서 같은 인물이더라도 여러 버전이 존재하는데 '아즈사가와 군'이라는 호칭을 일괄적으로 '너'라고 번역해서 호칭과 지칭하는 대상이 맞지 않는 등 애니플러스 공식 자막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은 편이다.

9. 평가

9.1. 방영 전

1기가 2기의 방영 시점 기준 7년 전 애니메이션이고, 원작 기준으로도 극장판 3탄이었던 9권과 대학생 편의 시작인 10권 사이의 시간적 배경 차이가 큰데다[17], 극장판 3탄에서 쿠키 영상으로 나왔어야 했을 9권 에필로그 대학교 입학식 장면이 잘리면서[18] 2부와 관련된 중요한 복선 장면이 대거 삭제된 점, 1기와 2기 사이의 내용 유기성이 떨어진다는 점 때문에 흥행에 대해서는 우려가 있다.[19] 애니 발표 시점 기준으로 제작진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그 동안 시리즈를 총괄해 왔던 마스이 소이치 감독과 요코타니 마사히로 시리즈 구성 각본가가 연임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실제로 제작진이 연임되었는데, 이들이 극장판부터 원작의 핵심 설정 및 전개, 이후 에피소드에 대한 중요한 복선을 여럿 빼서 개연성에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는 만큼 연임을 달갑게 보지 않는 시각도 존재한다.

2부 대학생 편의 평가가 1부 고등학생 편보다 안 좋은 점도 불안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1권부터 착실히 빌드업을 쌓다가 후반부에서 한번에 터뜨리는 1부와 달리 2부는 복선 회수가 더디고 반전에 의존하는 전개가 많으며, 히로인들에게 사춘기 증후군이 발생하게된 원인도 공감이 덜 되는 편이기 때문이다. 고등학생 편의 주제곡이었던 불가사의 카르테를 또 우려먹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 섞인 우려를 받고 있는데 대학생 편은 첫 에피소드부터 스위트불릿이 주역인 내용이고 2부에서는 키리시마 토코의 노래가 중요하게 작용하며 각 에피소드 시작부분에 나오는 만큼 각 에피소드의 주제곡이 키리시마 토코의 노래가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공식 발표 이전부터 많은 팬들이 예상한대로 13권이 2기의 제목이 되면서 10~13권 분량으로 2기를 만들고, 14~15권으로 극장판 4탄을 만들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린 상황이다. 특히 24년 8월에 발매된 원작 14권이 극장판 제작을 고려한듯한 내용으로 나오면서 극장판 4탄을 바라는 팬들이 늘어났다. 다만 2기의 분량이 1기 때처럼 극장판 4탄을 위한 클리프행어식 구성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 2기 자체의 완성도에 대해서는 우려를 하는 팬들이 많다.

1차 PV 발표 이후에는 새로 공개된 OP와 1기와 유사한 수준의 작화에 대한 호평이 많다.

2025년 6월 21일에 개최된 1~2화 선행 상영회에서의 평가는 긍정적인 편이다. 특히 OP, ED 영상에 대한 호평이 많으며 선행 상영회 분량의 퀄리티가 좋기 때문에 마지막 화까지 퀄리티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하는 반응도 나왔다.[20]

9.2. 방영 후

1화가 방영된 이후의 평가는 호평이 우세한 편이다. 특히 OP와 ED에 대한 반응이 좋은데 OP 무비의 경우 10~13권의 내용을 완벽하게 요약해놨으며, ED의 경우 노래는 좋으나 1분에 맞춰서 무리하게 잘라내는 바람에 마무리가 어색하다는 의견과 불가사의 카르테보다는 부족하다는 평도 있다. 방영 전의 예상과 다르게 키리시마 토코의 노래들은 엔딩곡이 아니라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작화의 경우는 일부 장면에서 얼굴이나 인체 비율이 이상하게 뽑힌 경우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준수한 편이다. 감독과 각본이 마스이 소이치요코타니 마사히로로 같은 만큼 이전 시리즈들과 마찬가지로 원작 소설과 다르게 각색된 장면이 상당히 많으며, 이후 에피소드에 대한 복선 관련 대사들을 생략하고 빠르고 산만하게 전개되는 단점들을 답습했지만 애니메이션 특유의 연출이[21] 원작보다 개연성을 더 살렸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우즈키 에피소드가 종료된 3화 방영 이후에는 작화, 연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늘어났다. 신경 써서 그린 장면들의 작화는 여전히 좋지만 그 외에는 1기에서 작화에 힘이 빠졌을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내려왔다. 우즈키 에피소드는 원작에서도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던 에피소드라서 각본을 완전히 뜯어고치는 게 아닌 이상은 원작에서의 단점을 연출로 극복해야 했는데 연출마저 기대 이하였다는 평가가 많으며 특히 갑작스럽게 3D로 전환되는 듯한 이질감이 느껴지는 콘서트 장면에 대한 혹평이 많다.[22] 게다가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심리 묘사와 상황 서술이 많이 생략되어 우즈키에게 발생한 사춘기 증후군에 더욱 공감하기 힘들어졌다.[23] 다만 우즈키 에피소드는 원작의 시나리오가 문제이지 연출 자체는 원작에 충실했다는 의견도 있으며, 노래가 거의 나오지 않았던 전작들과 다르게 삽입곡이 많아진 점과 신곡들이 매우 잘 뽑힌 점은 긍정적인 평을 받았다.

4화 방영 이후에는 전작에서부터 이어져온 디테일에 신경 쓰지 못하는 각색 문제와[24] 같은 제작사에서 같은 분기에 방영하는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Season 2,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에 비해서 심하게 뒤떨어지는 작화로 인해 팬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PV에서 나왔던 장면들만 작화가 좋다는 비판을 듣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작사가 작품 투자를 세 작품 중 가장 소홀히 한다며 팬들이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25] 물론 시즌제 애니에서 후속 시즌이 전 시즌보다 퀄리티가 반드시 좋아진다고 장담할 수는 없지만 아무리 그래도 TVA 1기 기준으로 7년씩이나 같은 곳에서 제작하는 시리즈임에도 퀄리티 발전이 거의 없다는 점은 팬들이 비판할 만하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제작진 명단에 타무라 사토미가 총작화감독으로 적혀있지만 1~6화 기준으로는 작화감독 명단에 이름이 없어서 타무라 사토미의 부재가 작품에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2기 방영 시기에 발표된 타무라 사토미의 C106 코미케 청춘 돼지 회지의 표지 일러스트와 회지에 수록된 신규 일러스트 5장이 모두 부정적인 평가를 받으며[26], 타무라 사토미가 총작화감독으로 참여했어도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늘어났다.[27]

5화는 PV에서 나오지 않았던 장면들 위주로 불안정한 작화가 보이기는 했지만 주요 장면의 작화와 각본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타무라 사토미가 총작화감독으로 참여한 7화의 경우 안경을 이용해서 두 아카기를 구분하기 쉽게 만든 점은 좋은 반응을 얻었고, 작화는 이전 화들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사춘기 증후군에 대한 연출이 너무 소소했던 점과 각본 문제가 재발해 아카기의 사춘기 증후군의 정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 점, 다른 세계로 넘어갔던 아카기가 돌아오기 직전에 그쪽 세계의 세이이치에게 차였다는 언급이 삭제된 점, 이후 에피소드에 대한 복선이 삭제된 점은 좋지 않은 반응을 얻었다.

3화 구성으로 돌아온 8화의 경우 예상과 달리 잘린 장면 자체는 거의 없었으나 각색이 많이되어 각 장면에서의 내용이 상당히 많이 압축되었다. 작화의 경우 전반적으로 좋은 편이었으나 후반부 장면의 히메지 사라가 들고 있는 가방에서 작화 오류가 발생했다.

10화의 경우 마이가 오랜만에 정실로서의 위엄을 보여줬고 해당 장면에서 마이가 사라를 강하게 압박하던 원작과는 다르게 온화하고 인자하게 타이르는 것으로 변경되어 좋은 반응을 받았으나 애니메이션 특유의 설정 설명과 독백 삭제로 인해서 애니메이션만 봐서는 히메지 사라에게 왜 그런 사춘기 증후군이 생겼으며, 사춘기 증후군이 어떻게 해소된 건지 전혀 알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했으며, 방영 전에 미리 공개된 10화의 선행컷 스토리 요약과 예고편 동영상에서 히메지 사라 에피소드와 관련된 핵심 스포일러를 공개해버려서 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9.3. 총평

핵심 제작진이 1기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1기 시절의 장점과 단점을 대부분 계승했다. 장점으로 평가받는 부분은 호화 성우진, 캐릭터 디자인, OP/ED 영상, 음악 부문으로 원작의 미조구치 케이지의 디자인을 초월하는 타무라 사토미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은 극찬을 받고 있으며, OP영상의 경우 2기의 내용을 완벽하게 압축했고 ED영상은 몽환적인 느낌을 잘 연출해서 호평 받았다. 전작에서부터 재탕한 음악이 많긴 하지만 fox capture plan의 음악도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OP와 ED를 제외한 삽입곡이 총 1곡 뿐이었던 1기와는 다르게 2기의 삽입곡은 무려 8곡이나 되며 그 중에서 신곡이 6곡이다. 불가사의 카르테처럼 엄청난 인기를 끈 노래는 없지만 노래가 적다는 단점이 지적되던 전작과 비교하면 곡 자체가 많아져서 팬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작화의 경우 평가가 갈리는데 후반부로 갈수록 작화가 무너져내리던 1기와는 다르게 일부 장면에서 부분적으로 안 좋은 작화가 보이긴 하지만 평균적인 작화 수준은 전작 대비 좋게 유지했으며, 주요 명장면은 신경써서 그린 덕분에 평가가 좋은 편이다. 하지만 같은 분기에 방영되는 같은 제작사의 작품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Season 2,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가 거의 완벽한 작화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에 두 작품과 비교해서 제작사가 청춘 돼지에만 신경을 덜 쓴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존재한다.

이번 작품에서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는 부분은 각본으로 소설 다섯 권 분량을 13화에 담았던 1기 시절에도 생략이 심하다는 단점은 지적받았으나[28] 적어도 이야기의 흐름은 자연스러웠고 이해가 안 되는 내용도 없었는데, 2기는 소설 네 권 분량을 13화에 담았음에도 중요한 내용을 상당수 생략하면서 일부 히로인에게 왜 그런 증상의 사춘기 증후군이 발생했는지, 해당 사춘기 증후군이 왜 해결되었는지, 현재 발생하고 있는 현상의 정체가 무엇인지, 해당 캐릭터가 어떤 심리적 상태 때문에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 애니메이션만 봐서는 절대로 알 수 없게 만들었다.[29] 또 복선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작품임에도 이후 내용에 대한 중요 복선을 생략하기도 했으며, 일부 장면의 순서를 바꾸거나 아예 생략하면서 다른 장면과 매끄럽지 않게 연결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물론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의 특성상 20분 내외로 소설의 주요 챕터를 하나 이상 다뤄야 하는 분량 문제가 있고 소설에 있는 설명하는 구절이나 독백은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완성도가 높은 작품들에서는 각색이나 연출로 분량 문제를 극복하고 상황 설명을 돕지만 청춘 돼지 시리즈의 애니메이션은 스토리를 진행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춘 각본이라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청춘 돼지 시리즈의 애니메이션의 경우 항상 각본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2기 이전에 나온 극장판들에서 각본 관련 단점이 크게 부각됐었는데[30] 이번에도 그러한 각본 문제가 개선되지 않아 좋지 않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 부분은 최종 컨펌자인 감독 마스이 소이치의 책임이 크지만, 마스이 감독은 본인이 글 쓰는 재능이 없어서 각본은 각본가에게 위임한다고 말한 적이 있었기에 시리즈 구성 요코타니 마사히로에게도 비판이 집중되고 있다.

10. 원작과의 차이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원작과의 차이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원작과의 차이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원작과의 차이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미디어 믹스

11.1. BD&DVD

<colbgcolor=#ffffff,#ffffff> 파일:aobuta_tva2_logo.png
파일:aobuta_tva2_bd_1.jpg 파일:aobuta_tva2_bd_2.jpg 파일:aobuta_tva2_bd_3.jpg 파일:aobuta_tva2_bd_4.jpg
<rowcolor=#000000,#000000> 1
(1화 ~ 3화)
2025.09.17 발매
2
(4화 ~ 7화)
2025.10.22 발매
3
(8화 ~ 10화)
2025.11.19 발매
4
(11화 ~ 13화)
2025.12.24 발매

1권은 2025년 9월 17일 발매. 우즈키가 핫케이지마 시 파라다이스 수족관을 구경하는 일러스트가 재킷 일러스트로 사용되었다. 부록으로 단편 소설 청춘 돼지는 발렌타인 데이의 꿈을 꾸지 않는다, 수평선은 나의 오래된 상처 우즈키 버전, 불가사의 카르테 우즈키 버전, Social World의 우즈키 솔로 버전, 스위트불릿의 초음파의 멜로디가 수록되었다.

2권은 2025년 10월 22일 발매. 이쿠미가 오산바시 코끼리코 방파제에 서있는 일러스트가 재킷 일러스트로 사용되었다. 부록으로 단편 소설 청춘 돼지는 화이트 데이의 꿈을 꾸지 않는다, 수평선은 나의 오래된 상처 이쿠미 버전, 불가사의 카르테 이쿠미 버전이 수록되었다.

3권은 2025년 11월 19일 발매. 사라가 요코하마 차이나타운 앞에 서있는 일러스트가 재킷 일러스트로 사용되었다. 부록으로 설정집 상권, 수평선은 나의 오래된 상처 사라 버전, 불가사의 카르테 사라 버전, 키리시마 토코의 노래 Silent Night가 수록되었다.

4권은 2025년 12월 24일 발매. 네네가 야마테 이탈리아 산 정원에 서있는 일러스트가 재킷 일러스트로 사용되었다. 부록으로 설정집 하권, 수평선은 나의 오래된 상처 토코 버전, 수평선은 나의 오래된 상처 네네 버전, 불가사의 카르테 네네 버전, Social World piano arrange 풀버전, Social World band arrange 풀버전(사쿠라지마 마이)이 수록되었다. 전권을 구매한 사람들에게는 극장판 블루레이도 함께 수납할 수 있는 전권보관박스가 특전으로 지급되었다.

12. 기타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ffffff,#1c1d1f><width=33.33%><nopad> 파일:aobuta_tva2_illust_01.jpg ||<width=33.33%><nopad> 파일:aobuta_tva2_illust_02.jpg ||<nopad> 파일:aobuta_tva2_illust_03.jpg ||
요무 네코토후 らんふ
파일:aobuta_tva2_illust_04.jpg 파일:aobuta_tva2_illust_10.jpg 파일:aobuta_tva2_illust_06.jpg
ふーみ ねづみどし 나기시로 미토
파일:aobuta_tva2_illust_07.jpg 파일:aobuta_tva2_illust_08.jpg 파일:aobuta_tva2_illust_11.jpg
桶乃かもく 유우키 하구레 카구라 나나
파일:aobuta_tva2_illust_05.jpg 파일:aobuta_tva2_illust_09.jpg 파일:aobuta_tva2_illust_12.jpg
치구사 미노리 どうしま 타케시마 에쿠
}}} ||

[1] 파일:청춘 돼지 애니 2기 키 비주얼.jpg[2] 청춘 돼지는 방황하는 가수의 꿈을 꾸지 않는다[3] 청춘 돼지는 나이팅게일의 꿈을 꾸지 않는다[4] 청춘 돼지는 마이 스튜던트의 꿈을 꾸지 않는다[5] 청춘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6] 이와미자와 네네 대신 키리시마 토코가 합창한 버전[7]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 작화 육성감독: 오카 유이치.[A] [A] [A] [A] [A] [A] [A] [16] 비커 푸딩을 *커 푸딩으로 번역했다.[17] 9권의 배경은 사쿠타의 고등학교 2학년 말이지만 10권의 배경은 대학교 1학년 2학기다.[18] 대신 극장판 3탄의 쿠키 영상으로 원작 8권의 에필로그인 중학생 쇼코 장면이 나왔다.[19] 극장판 3탄과 2기의 사이인 고3, 대학교 1학년 1학기 시점의 이야기들은 드라마CD, 단편 소설, 리플릿 SS, 성우 이벤트 낭독극 등 국내에서는 정발되지 않은 매체들이 다루고 있어서 국내 팬들 입장에서 진입장벽이 일본 팬보다는 더 높은 편이다.[20] 애니메이션 1기의 경우에도 초반에는 작화 퀄리티가 좋았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퀄리티가 크게 떨어졌었다.[21] 미니스커트 산타가 주기적으로 배경에서 등장하는 모습, 1화 마지막 장면에서 위화감이 드는 우즈키의 표정 등[22] 물론 안무 장면은 작화로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실력 있는 원화 애니메이터가 부족하면 3D로 커버하는 경우도 많다. 문제는 3D 디렉터들도 본작이 거의 처음인 영향인지 3D 품질도 좋지 않아서 불쾌한 골짜기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23] 우즈키 에피소드는 원작에서도 사춘기 증후군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우즈키가 철든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많았던 에피소드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심리 묘사와 상황 서술이 많이 생략되어 원작보다 더 공감하기 힘들어졌다.[24] 복선 장면의 순서를 바꾸거나 생략하는 과정에서 해당 장면과 관련된 다른 장면과의 연계성이 떨어지게 되거나 설정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마스이 소이치 감독은 자기는 글을 잘 모르니 시리즈 구성 작가에게 각색 작업을 대부분 맡긴다고 하므로, 이는 요코타니 마사히로의 문제로 보인다.[25] 특히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와는 제작 프로듀서가 츠지 토시카즈로 같아서 더더욱 비판이 많다. CloverWorks가 이 작품을 아예 신경 끈 건 아니라 실력자도 몇 명 쓰고 있지만, 후쿠시마 유이치 인맥도 들어간 향꽃, 우메하라 쇼타 사단을 총동원한 비스크돌 두 작품에 비할 정도는 아니다.[26] 타무라 사토미의 C106 코미케 회지는 외출하는 여동생 극장판 원화, 책가방소녀 극장판 원화, 트위터에 올린 일러스트, 신규 일러스트 5장으로 구성되어있는데 기존에 그린 그림과 신규 일러스트의 작화 차이가 상당히 심한 편이다.[27] 타무라 사토미가 슬럼프에 빠진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 사실 이번 코미케 회지의 표지와 신규 일러스트가 유독 반응이 안 좋아서 그렇지 타무라 사토미의 작화에 대해서는 몇 년 전부터 인체 비율과 캐릭터의 눈 작화 때문에 우려를 표하는 의견이 있던 상태였다. 타무라 사토미가 그린 메가미매거진 2025년 10월호 표지 일러스트도 부정적인 반응이 많다.[28] 마지막 화에서 6권의 일부 내용도 담았기 때문에 정확히는 다섯 권보다 많은 분량이다.[29] 원작 소설에서는 인물들 간의 대사 전후로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는 구절이나 사쿠타의 독백이 들어가 상황이나 세계관에 대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전부 잘리고 인물들의 대사만 나오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30] 꿈꾸는 소녀 극장판은 생략이 너무 많아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했고, 외출하는 여동생 극장판은 각본에서는 큰 문제는 없으나 원작의 시나리오 자체가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며, 책가방 소녀 극장판은 핵심 인물인 책가방 소녀의 정체에 대해서 추측하는 장면이 삭제되고 세계관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복선이 담긴 대사를 삭제했다.[31] 작중에서 사쿠타가 좋아하는 메뉴로 요코이치동에 추억을 가지는 재학생, 졸업생이 많아서 가끔씩 이벤트성으로 재판매가 되긴 했었다.[32] 세 작품은 일부 방송국에서 같은 날에 23:30, 24:00, 24:30에 편성되어 연속 방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