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6:21:05

철면피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예시를 넣지 않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예시를 넣지 않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유래3. 관련 문서

1. 개요

고사성어
쇠 철 얼굴 면 가죽 피
영어: Brazenface(d)

두꺼운 무쇠로 된 얼굴 가죽이란 뜻으로 염치가 없고 은혜를 모르는 뻔뻔스러운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이다. 이외에도 외부의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변화를 잘 수긍하면서도 본래의 자기 신념을 지키는 강직한 사람[1]을 이르는 긍정적인 의미도 있지만, 오늘날에는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로 주로 쓰인다. 비슷한 의미의 단어로는 면장우피(面張牛皮),[2] 얌체, 적반하장[3]이 있으며, 이보다 더 심한 상태를 이르는 말로 후안무치가 있다. 뜻이 통하는 신조어로 멘탈갑이 있다.

풀어쓸 때는 '얼굴에 철판 깐다'라고 하며, 혹은 '얼굴에 쇠판 깐다'란 표현으로도 쓴다.

반대로 얼굴 가죽을 벗겨낸다는 의미의 박면피(剝面皮)도 있다. 무례하고 뻔뻔한 이의 얼굴 가죽을 벗겨낸다는 의미로, 유례로는 오의 마지막 황제 손호가 항복하였을 때 진의 신하가 툭하면 얼굴 가죽을 벗기는 형벌을 내리는 그의 잔학성을 비꼬았다. 그러자 손호는 진이 위 황위를 찬탈한 것을 비꼬며 해당 형벌이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지 않고 무례하며 뻔뻔하게 굴던 이의 얼굴을 벗겨낸 것이라 답한 데에서 왔다.

2. 유래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의 기록 중 양광원(楊光遠)이라는 진사에 관한 일화가 그 유래를 설명한다. 그는 출세욕이 대단하여 권력가와 교분을 맺기 위해서는 심지어 채찍질로 문전박대를 당하면서도 이를 개의치 않고 웃어넘길 정도였다. 이런 그를 두고 당시 사람들은 '양광원은 부끄러운 낯짝인데도 두껍기가 열 겹의 철갑 같다(楊光遠慙顔, 厚如十重鐵甲).' 라고 말했다.

여기서 그 일화를 한번 살펴보자.
한 번은 어떤 권세가가 술에 취해서 매를 들고는 "내가 그대를 때린다면 어찌하겠는가?"하고 묻자 양광원은 "저항하지 않겠소."라고 말했다. 그러자 그 권세가는 마구 매질을 하기 시작했다.
동석했던 사람들이 "자네는 어찌 수모를 모르나? 많은 사람 앞에서 그런 모욕을 당하고 가만히 있을 수야 없지 않은가?"하며 모두 비아냥거렸다. 그러나 광원은 평소와 다름없는 얼굴로 그런 사람에게 잘 보이면 나쁠 것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한편 《송사(宋史)》《조변전》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조변은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관리의 부정을 감찰하는 벼슬)가 되자 권력자건 천자의 총애를 받는 사람이건 지위 고하를 불문하고 그 부정을 적발하므로 사람들은 그를 철면어사(鐵面御史)라 불렀다'. 이쪽은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 예. 국내에도 잘 알려진 판관 포청천의 주제가의 첫소절에 나오는 철면무사변충간(鐵面無私辨忠奸)이라는 구절 역시 이와 같은 의미로 쓰인 것이다.

3. 관련 문서


[1] 예: 철면판관 포증[2] 직역하면 얼굴에 쇠가죽을 발랐다는 뜻. 참고로 학습만화 따개비 한문숙어로 사자성어를 배운 사람의 경우 이 말부터 봤을 확률이 높다.[3] 의미는 약간 다르긴 하지만, 잘못한 사람이 뻔뻔하게 군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