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철도경제신문사 Rail Economy News | }}} | |
<colbgcolor=#105da8><colcolor=#fff> 국가 |
| |||
설립 | 2019년 12월 17일 ([age(2019-12-17)]주년) | |||
창간 | 2019년 12월 26일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91, 510호 (당산동3가, 리드원센터) | |||
미디어센터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청초로 66, B동 1601호 (덕은리버워크) | |||
발행인 | 백용태 | |||
대표번호 | 02-720-6644 |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철도 전문 언론사로, 국내 유일의 철도 전문지를 표방하고 있다. 한국 신문사 중 철도 관련 소식을 가장 많이 보도하며, 국내외 철도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심층 분석으로 업계 내외의 주목을 받고 있다.2019년 12월에는 건설 전문지인 국토매일의 자매지 형태로 창간되었으나, 현재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사 소재지는 창간 당시 종로구에 있었으나 2022년 영등포구로 이전하였다. 최근에는 대전역 인근에 대전세종취재본부를 설립하여 지역 기반 취재망을 강화하고 있다.
2025년에는 경기도 고양시에 미디어센터를 개관하였다. 이를 통해 콘텐츠 제작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기반 미디어 허브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같은 해 5월 27일에는 철도경제연구소를 정식 출범시켰다. 이 연구소는 철도 산업 정책 연구와 심층 분석 기능을 수행하며, 철도 전문 미디어로서 정보 제공과 연구 기능을 동시에 갖추는 플랫폼으로 평가받고 있다.#
2. 논조
철도경제신문은 이름처럼 경제신문의 논조를 기반으로 한다. 현대로템, 다원시스 등 기업 동향을 비중 있게 다루며, 철도 공공기관 관련 보도 또한 활발하다. 반면 철도노조 발 소식은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며, 철도 통합 논쟁과 같은 노사 갈등 사안은 산업적 이해와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선에서 균형을 맞추려는 태도를 보인다.전문지로서 국내 철도 산업 전반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특히 전동차 입찰 소식에서는 단순 보도에 그치지 않고 업계 반응과 기술적 평가를 함께 담아내, 일반 일간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전문성을 확보했다.# 전동차뿐만 아니라 신호·통신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면서 사실상 철도 전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
보도 태도에는 뚜렷한 자국 보호주의적 성향이 보인다. 철도 부품 국산화 사업을 적극 지지하는 반면, 해외 업체의 시장 진입에는 부정적인 논조를 보인다. 2022년 1월에는 경부고속선 2단계 선로전환기 개량 사업에서 해외 시스템 도입이 결정되자 “기술 종속이 우려된다”는 산업계 반응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해외 사례를 언급하며 자국 보호 정책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흥미로운 점은 일관된 태도와 달리, 특정 사안에서는 다른 관점을 보이기도 한다. KTX-청룡 보도에서는 우진산전의 고속열차 사업 진출 소식을 최초로 다루었는데, 이는 기존의 자국 보호주의적 시각과는 거리를 둔 접근이었다.#
또한 대전 2호선 관련 보도에서는 비판적 논조가 두드러진다. 기사에서는 ‘티스푼 공사’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대전시 행정을 직접적으로 비판했으며,# 대전광역시가 차량 발주 전부터 디자인 공모전을 진행한 것에 대해 “전시 행정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3. 평가
철도경제신문은 과거 발간됐다가 사라진 철도신문의 공백 이후 등장한 유일한 철도 전문지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철도 산업 동향까지 폭넓게 다루며, 전문성과 정보성을 동시에 확보한 매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업계 종사자뿐만 아니라 철도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도 주요 참고 자료가 되고 있다.그러나 몇 가지 한계도 지적된다. 첫째, 보도에서 노동계 시각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산업계와 기업 측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다루다 보니, 노사 갈등 사안에서는 균형이 다소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
둘째, 자국 산업 보호주의적 성향이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이다. 이는 철도산업 특성상 일정 부분 불가피할 수 있으나, 보도 관점이 협소해지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셋째, 구독료 정책 역시 아쉬움으로 꼽힌다. 유료 구독 기반 운영은 전문지의 지속성을 위해 필요하나, 일반 독자가 접근하기에는 장벽이 높아 대중적 확산에는 제약이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철도경제신문은 철도 산업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독보적인 매체이지만, 동시에 노동·사회적 관점의 부족과 구독료 정책으로 인한 접근성 제약이라는 한계를 안고 있다. 전문성을 원하는 독자에게는 가치 있는 정보원이지만, 보다 균형 잡힌 시각과 개방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