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눈의 백룡 및 리메이크 카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wiki style="margin:-6px -1px -4px;text-align:left;" | <nopad> 푸른 눈의 백룡 | <nopad> 푸른 눈의 아백룡 | <bgcolor=#B96A44> 마음이 깃든 푸른 눈 |
<nopad> 하늘빛 눈의 은룡 | <nopad> 레전더리 드래곤 오브 화이트 |
- [ 유희왕 러시 듀얼 ]
- ||<:><tablebgcolor=white,#191919><width=33.3%><bgcolor=#C39F55><^|1> ||<:><width=33.3%><bgcolor=#B96A44><^|1>'''''' ||<:><width=33.3%><^|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각주 ] | 기준은 아래의 ①,②번 중 하나에 해당할 경우 포함하였음. ①원작에서 푸른 눈의 백룡이었던 몬스터인가? ②아래의 조건 중에 2개 이상 해당 시 포함하는가?
|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드래곤의 힘 | 언데드의 위협 | 작열하는 대지 | ||
붉은 눈의 암룡 | 뱀파이어 제네시스 | 헬프레임 엠페러 | ||||
해룡신의 분노 | 전사의 전설 | 마법사의 심판 | ||||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 전설의 길포드 | 흑마도의 집행관 | ||||
무적의 요새 | 열풍의 패왕 | 고대룡의 분노 | ||||
수호신 엑조드 | 신조 시무르그 | 초전도 티라노 | ||||
기계의 반란 | 섬광의 파동 | 암흑의 주술 | ||||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 마왕 디아블로스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거대룡의 부활 | 황제의 강림 | 언데드 월드 |
펠그란트 드래곤 | 사 제왕 가이우스 | 붉은 눈의 불사룡 | |
매지션의 패왕 | 전사의 일격 | 머시너즈의 지령 | |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 피닉스 기어프리드 | 머시너즈 포트리스 |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잃어버린 성역 | 데블즈 게이트 | |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 마스터 히페리온 |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 |
해황의 포효 | 염왕의 급습 | ||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 해황룡 포세이도라 |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 사이버 드래곤 노바 |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 |
싱크론 익스트림 | 마스터 오브 펜듈럼 | 펜듈럼 도미네이션 | |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 |
펜듈럼 에볼루션 | 사이버스 링크 | 파워코드 링크 | |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 |
마스터 링크 | 소울 버너 | 리볼버 | |
슈팅코드 토커 |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리버스 오브 섀도르 | 혼돈의 삼환마 | |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 |
동옥의 빙결계 | 사이버류의 후계자 | 오버레이 유니버스 | |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 |
알버스트라이크 | '''''' | 충혹마의 숲 | |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 |
왕자의 고동 | 파란 눈의 광림 | ||
스카레드 데몬 |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제왕강림 | 거신룡부활 | 기계룡반란 | ||
명 제왕 에레보스 | 거신룡 펠그란트 |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 ||||
공수의 고동 | 신광의 파동 | 암흑의 주박 | ||||
궁극의 전도 티라노 |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 ||||
언데드 월드 | 로드 오브 매지션 |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 ||||
붉은 눈의 불시룡 |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 ||||
머시너즈 커맨드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잃어버린 성역 | ||||
머시너즈 카넬 |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데블즈 게이트 | 염왕의 급습 | |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5주년 특별영상 Yu-Gi-Oh! CARD GAME THE CHRONICLES "파란 눈의 소녀와 하늘빛 눈의 은룡"[1] |
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하늘빛 눈의 은룡,
일어판명칭=<ruby>蒼眼<rp>(</rp><rt>そうがん</rt><rp>)</rp></ruby>の<ruby>銀龍<rp>(</rp><rt>ぎんりゅう</rt><rp>)</rp></ruby>,
영어판명칭=Azure-Eyes Silver Dragon,
속성=빛, 레벨=9, 공격력=2500, 수비력=3000, 종족=드래곤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일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 필드의 모든 드래곤족 몬스터는 다음 턴의 종료시까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양쪽 플레이어는 그 카드들을 다음 턴의 종료시까지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스트럭처 덱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의 신규 카드로, 푸른 눈의 백룡과 함께 커버 카드를 맡았다. 일러스트의 구도는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에 등장한 푸른 눈의 백룡의 일러스트, 일명 목디스크판 백룡에서 가져왔다.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을 의식한 듯, 금속인 은이 이름에 들어갔다. 은 또한 백색 이미지의 금속이라 푸른 눈의 백룡의 백색을 잘 살렸다고 할 수 있다. 덤으로 전신갑주를 입은 듯한 메탈릭한 느낌이 강한 원본에 비해 이쪽은 몸의 부분부분에 갑주 같은 비늘이 붙어있어도 동물 느낌의 팔다리가 있어서 더 생물 같은 느낌이 강하다. 그리고 잘 보면 근육질이다.[2]
특이한 건 똑같은 붉은 눈의 카테고리로 묶인 붉은 눈 계열과 달리 푸른 눈 카드군이 아니다. 한글판도 하늘빛 눈, 영어판도 Azure-Eyes로 다른 표현이다.[3] 보통 백룡 계열들은 일본어로 써놓고 외국어 독음을 달아놓는데, 이 카드는 한자에 일본어식 독음을 단 형태다. 푸른 눈의 정령룡의 효과로 은룡을 불러낼 순 있지만 대부분의 푸른 눈 지원효과를 받지 못한다.
백룡 원본의 공격력 / 수비력을 뒤집은 능력치에, 전설의 백석이나 파란 눈의 소녀 등 푸른 눈 테마에 많은 레벨 1 튜너를 이용해 소환할 수 있다.
①의 효과인 자신이 특수 소환되면 필드의 드래곤족들에게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는 공격력만 높은 푸른 눈의 백룡의 부담을 덜어주며, 일단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면 전반적으로 드래곤족 덱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다만 유의할 점은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이라고 되어있지만 어디까지나 내성 대상은 은룡의 효과가 적용될 당시에 필드에 있었던 몬스터들뿐으로, 은룡보다 나중에 소환된 몬스터는 보호 대상이 안 된다. 내성을 받을 몬스터는 미리 꺼내놓거나 소환시 은룡의 굉포 등의 프리 체인 특수 소환 카드들을 체인하는게 좋다. 푸른 눈의 정령룡의 효과로 이 카드를 뽑을 경우 엔드 페이즈에 파괴되는 디메리트를 무시할 수 있다. 주의할 점으로, 유발 효과에 체인해 썬더 브레이크 등이 발동되면 체인 시스템의 역순 처리 때문에 이 카드는 그냥 파괴되고 만다. 일단 저렇게 파괴돼도 내성은 남겨두고 간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일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실질적으로 백룡 전용 효과이나, PSY프레임 드라이버 등도 효과 대상이 된다. 9기 때는 묘지에 있을 때에 일반 몬스터로 취급되는 하얀 영룡을 불러내 상대 마법 / 함정을 견제하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수비를 굳히고 턴을 받아내는 데 특화된 카드. 발매 당시에는 백룡이 티어권은 아니었기에 백룡 정룡에서만 사용되었으나, 샤이닝 빅토리즈에서 백룡 덱이 지원을 받으면서 탑 티어로 올라오자, 이 카드의 주가도 올라갔다. 이후 백룡이 티어 아웃되면서 이 카드의 입지도 낮아졌고, 파란 눈의 광림 발매 당시까지만 해도 정령룡으로 붉은 용+성광신룡을 소환하는 것이 정석이었기에 이 카드는 외면받았으나, 원석 파츠의 발매 이후 붉은 용 파츠가 백룡 덱에서 퇴출되면서 그 자리에 대신 이 카드가 들어오게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싱크로 소환이 추가된 후 나온 팩에서,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함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로 수록됐다. 이전까지 반 로망 취급이었던 푸른 눈의 백룡이었으나, 은룡과 함께 추가된 다른 백룡 지원 카드들 덕에 실전성 있는 덱이 됐다. 사실 은룡은 어태커라기보단 매 턴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묘지의 백룡이나 하얀 영룡을 불러오는 역할. 하얀 영룡을 부르면 상대 마함도 견제할 수 있으니 일단 빌드가 한번 세워지면 몬스터가 부족할 일이 없어진다. 듀얼링크스의 전개 속도가 오프라인보다 느려서 가능한 일. 수비력 3000의 벽도 은근히 넘기 어렵다. 또한, 아백룡이 출시되면서 푸른 눈의 정령룡을 부르기가 쉬워지자 이 카드의 입지도 덩달아 올라갔다. 그 결과 너무 세진 푸른 눈 덱을 막기 위해서 2021년 5월, 드래곤 자각의 선율과 동시에 제한 1을 받았다. 이후 시일이 흐르면서 두 카드 모두 제한이 해제되었다.
정령룡과 이 카드는 싱크로 몬스터라 그런지 듀링에 존재하는 두 카이바 모두 특수 대사가 없다. 2016년 미국 성우 듀얼에서 카이바의 성우가 썼음을 고려하면 나름 아쉬운 점.
듀링에서 위에 나온 백룡 외에도 블랙 매지션 관련 덱에서도 용병으로 투입됐다. 레벨 2 튜너를 몇 장 넣어주면 마찬가지로 매턴 블랙 매지션이 하나씩 튀어나오는 마르지 않는 최상급몹 빌드 구축이 가능하다. 여기에 블랙 매지션 전용 마법 / 함정들로 상대를 견제할 수도 있다.
듀얼링크스 붉은 눈 덱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붉은 눈 덱의 주력인 붉은 눈 융합 몬스터들이 전부 드래곤족이라 ①의 효과와 시너지가 좋고, ②의 효과도 고타점 붉은 눈 몬스터들이 일반 혹은 듀얼 몬스터라 효력이 좋다. 사실상 붉은 눈의 개선이 1장 필드에 있는 셈. 수호룡 유스티아 같은 레벨 2 튜너 일반 몬스터를 투입하고 코스모브레인이나 붉은 눈의 개선과 연계하면 다소 무난하게 소환할 수 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13-06-15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D25-JP040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青眼龍轟臨 - |
2016-02-20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GP16-JP011 | GOLD PACK 2016 |
2013-09-13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DBE-EN040 | 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STRUCTURE DECK |
2016-10-07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LDK2-ENK39 | LEGENDARY DECKS II |
2018-03-09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LCKC-EN066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
2013-09-11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D25-KR040 | 스트럭처 덱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