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0:39:41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천지창조

진구의 천지창조에서 넘어옴
파일:극장판도라에몽.png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오야마 성우진
<rowcolor=#373a3c> 1기 2기 3기 4기 5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1980)
진구의
우주여행
(1981)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1982)
진구의
해저성
(1983)
진구의
마계체험
(1984)
<rowcolor=#373a3c> 6기 7기 8기 9기 10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1985)
진구와
철인군단
(1986)
진구와
용의 기사
(1987)
노비타의
패럴렐서유기
(1988)
노비타의
일본탄생
(1989)
<rowcolor=#373a3c>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진구와
동물혹성
(1990)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1991)
진구와
구름왕국
(1992)
진구와
양철인형
(1993)
진구와
꿈의 삼총사
(1994)
<rowcolor=#373a3c>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진구의
천지창조
(1995)
진구와
은하철도
(1996)
진구의
태엽도시 모험기
(1997)
진구의
바다 대모험
(1998)
진구의
우주표류기
(1999)
<rowcolor=#373a3c>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진구의
태양왕전설
(2000)
진구와
날개의 용사들
(2001)
진구와
로봇왕국
(2002)
진구와
바람의 마을
(2003)
진구의
시공여행
(2004)
미즈타 성우진
<rowcolor=#373a3c>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2006)
진구의
마계대모험
(2007)
진구와
초록거인전
(2008)
신 진구의
우주개척사
(2009)
진구의
인어대해전
(2010)
<rowcolor=#373a3c> 31기 32기 33기 34기 35기
진구와
철인군단
(2011)
진구와
기적의 섬
(2012)
진구의
비밀도구 박물관
(2013)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2014)
진구의
우주영웅기
(2015)
<rowcolor=#373a3c> 36기 37기 38기 39기 40기
신 진구의
버스 오브 재팬
(2016)
진구의
남극 꽁꽁 대모험
(2017)
진구의
보물섬
(2018)
진구의
달 탐사기
(2019)
진구의
신공룡
(2020)
<rowcolor=#373a3c> 41기 42기 43기 44기 45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
(2022)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2023)
진구의
지구 교향곡
(2024)
진구의
그림 세계 이야기
(2025)
미정
스탠바이미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2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천지창조 (1995)
Doraemon: Nobita's Diary on the Creation of the World
ドラえもん のび太の創世日記
파일:노비타의 창세일기.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external/geneido2.ocnk.net/4c78b6f1f0.jpg

[1]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꿈의 삼총사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천지창조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은하철도 }}}
<colbgcolor=#0168b7><colcolor=#90A51C>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판타지, 시간여행물, 코미디, 액션, 일상
제작 총지휘 후지코 F. 후지오
원작
각본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감수 쿠스베 다이키치로(楠部大吉郎)
연출 츠카다 쇼에이(塚田庄英)
히라이 미네타로(平井峰太郎)
작화감독 토미나가 사다요시(富永貞義)
미술설정 누마이 노부로(沼井信朗)
미술감독 모리모토 시게루(森元茂)
미술 레이아웃 카와모토 쇼헤이(川本征平)
색채 디자인 마츠타니 사나에(松谷早苗)
촬영감독 타카하시 히데코(高橋秀子)
특수촬영 와타나베 유리오(渡辺由利夫)
효과 카시와바라 미츠루(柏原満)
특수효과 도이 미치아키(土井通明)
영상 검수 하라 테츠오(原鐵夫)
나이토 신이치(内藤真一)
미야케 하루히코(三宅春彦)
CG 미즈바타 사토시(水端聡)
야마모토 히로야(山本浩也)
야기 아키히로(八木昭宏)
편집 오카야스 하지메(岡安肇)
코지마 토시히코(小島俊彦)
나카바 유미코(中葉由美子)
무라이 히데아키(村井秀明)
카와사키 아키히로(川崎晃洋)
미야케 키요타카(三宅圭貴)
녹음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프로듀서 벳시 소이치(別紙壮一)
야마다 토시히데(山田俊秀)
코이즈미 요시아키(小泉美明)
키무라 준이치(木村純一)
음악 키쿠치 슌스케
제작 협력 후지코 프로
ASATSU
제작 쇼가쿠칸
신에이 동화
테레비 아사히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5년 3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5월 4일 (TV 방영)
상영 시간 97분
흥행 성적 22.1억 엔
상영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줄거리4. 주요 등장인물5. 중요 비밀 도구6. 주제가7. 기타

1. 개요

도라에몽의 16번째 극장판이자 15번째 대장편. 국내 정발명은 진구의 천지창조.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창세일기(천지창조)라는 제목에 걸맞게 세상의 창조, 지구공동설, 곤충인류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도라에몽 일행이 모험을 하지 않고 신의 입장에서 세계를 관리하고 관찰하는 역으로 나오는 특이한 형식의 극장판이다.

원작자 후지코 F. 후지오는 예전부터 도라에몽과 노진구가 작은 세계를 창조한다는 소재를 여러 번 썼으나 본격적으로 다뤄보고 싶어져 이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작품을 위해 인류학과 역사까지 새로 공부했다고 한다. 스토리는 잘 마무리 되었으나 분량의 문제로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절반 가까이 포기했다고 한다.

작가가 말년에 열정을 담아 만든 작품이니 완성도는 높으나 단점은 이야기가 도라에몽 중에서도 역대급으로 복잡하고 심오해 당시의 아이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좀 나이를 먹고 학력이 높아진 뒤에 보는 것이 좋다.

2. 예고편

예고편

3. 줄거리

여름방학, 친구들은 모두 자유 숙제를 하고 있는데 노비타 혼자만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다. 도라에몽은 겉으론 안 도와 주는 척 소리 질렀지만 속으론 미래 백화점에 방학숙제 교본을 주문한다. 노비타는 그런 도라에몽을 알고 집으로 오는 어느 물건을 직접 집에 가져온다. 그것은 바로 창세일기 세트! 자신이 태양계를 만들어 그것을 관찰하는 도구였다. 노비타는 도라에몽과 같이 지구를 만들어 관찰을 한다. 그의 관찰일기는 엉망진창. 그러나 친구들 한 명씩 노비타의 관찰에 합류하면서 그럴듯한 관찰일기가 만들어졌다. 노비타는 그 속에서 자신과 친구들을 닮은 사람들을 찾게 되고 그의 후손들을 살펴보던 중 후손 중 하나가 동료들과 같이 남극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 여행의 목적은 남극에 뚫려있는 구멍을 탐사하는 것. 그 구멍에서 발견된 것은? 그리고 여행을 갔다가 하루아침에 사라진 쟈이안과 스네오의 행방은?

4. 주요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애니메이션 기준으로 진구와 이슬이 등 로컬라이징이 된 캐릭터는 한국판 명칭을, 그렇지 않은 캐릭터들은 일본판 명칭을 혼용해 사용했음을 알려드립니다.

5. 중요 비밀 도구

창세일기: 태양계를 만드는 도구. 컨트롤 스틱, 천사링, 신의 구름, 공간 창조 세트, 우주원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공간 창조 세트'를 꺼내 펼친 후 스틱으로 쿵 하고 치면 문이 열린다. 천사링을 달고 있으면 그 세계 안에서 날 수 있다. 우주원료[10]를 골고루 뿌려 스틱으로 젓는다. 이때 세계가 폭발하므로 반드시 밖에서 해야 한다. 이렇게 만들면 원시 태양계가 만들어진다. 점점 태양계가 만들어지며 태양계가 만들어지면 세계를 저어줘야 한다.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게 저어야 한다. 스틱은 시작 정지 버튼, 빨리 감기, 천천히 돌리기, 배경 설정 버튼, 되감기, 취소 버튼 등이 있다. 신의 구름을 타면 날 수 있다.

하지만 여름방학 관찰 일기용 키트치고는 굉장히 위험한 물건인데 이렇게 만들어진 세계는 현실세계와 충돌이 없는 가상현실이 아니라 또 다른 현실이다. 따라서 키트 내 세계에서 문명이 극도로 발전하면 현실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키트 내 지구의 곤충인간들은 타임머신까지 개발해 시공간을 돌아다니고, 현실의 타임 패트롤과 충돌하기까지 했다.[11] 작중 창세일기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진구와 도라에몽조차 곤충인간이 존재하는지도 알지 못했다.[12][13]

진화퇴화 광선총: 진구와 도라에몽이 바다 생물을 수륙양용 생물로 진화시키려고 바다에다 사용한다. 그러다가 둘이 모르는 사이 웬 벌레 한 마리가 지나가다가 그 광선을 맞게 된다.

6. 주제가

OP
ドラえもんのうた
도라에몽의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Movie ver.
파일:일본 국기.svg Full ver.
<colbgcolor=#0168b7><colcolor=#90A51C>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노 사토코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야마 노부요(도라에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서영(도라에몽)
작사 쿠스베 타쿠미(楠部工)
바바 스스무(ばばすすむ) (보조)
작곡 키쿠치 슌스케
편곡
ED
さよならにさよなら
안녕에 안녕
Movie ver.
Full ver.
<colbgcolor=#0168b7><colcolor=#90A51C> 노래 카이엔타이(海援隊)
작사 타케다 테츠야
작곡 치바 카즈오미(千葉和臣)
편곡 후지와라 이쿠로(藤原 いくろう)

7. 기타



[1] 하단은 당시 동시 개봉작인 2112년 도라에몽 탄생.[2] 참고로 여기서 빚은 돈이 아니라 곡물이다. 조선시대의 삼정의 문란을 야기했던 환곡제를 생각하면 된다.[3] 이름은 밝혀지지 않았다.[4] 생긴 건 진구랑 판박인데 목소리는 너무나 멋있는 목소리라 평소의 진구의 모습을 생각하고서 위화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다. 초창기에 신태수를 맡은 적이 있다.[5] 당시에는 야마다 쿄코(山田恭子)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었다. 이후 2012년 2월부터 2013년 1월까지 대역으로 만퉁순을 맡는다.[6] 참고로 타마가와 사키코는 훗날 명탐정 코난에서 미야노 아케미 역할을 맡아 이 극장판의 중심 역할을 맡은 하야시바라 메구미와는 자매로 만나게 된다(...).[7] 이슬이와 동일 성우이자 추가 캐릭터들의 성우진들 중 유일하게 타사 성우가 캐스팅되었다.[8] 하야시바라 메구미는 이 극장판을 녹음하기 이전에 도라에몽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여러번 내비쳤던 것으로 유명하다.[9] 위의 스네코와 성우가 같다.[10] 렙톤, 쿼크, 게이지로 이루어져 있다.[11] 게다가 도라에몽은 물론, 타임 패트롤도 모르던 시공간 샛길로 빠져나가기까지 하였다.[12] 굳이 따지면 이런 물건들이 22세기에선 너무나 흔한 것이어서 미래 아이들은 그냥 방학 숙제용으로 한두 달 쓰고 버려서 만들어진 세계 또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사라지는 걸로도 볼 수 있고, 도라에몽이 주문한 키트에 결함이 있어서 지구 내부가 텅 비어버리고 곤충인류가 탄생하거나 시공간이 왜곡된 것일 수도 있다.[13] 사실 진구와 도라에몽이 양서류 같은 동물이 지상에 올라올 수 있게 진화퇴화 광선총을 바다에다 쐈는데, 그 광선에 지나가던 벌레 한 마리가 맞으면서 된 것이다. 참고로 진구와 도라에몽은 딴 데 정신이 팔려서 그 벌레 한 마리가 진화퇴화 광선총을 맞았다는 사실을 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