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4 13:09:20

지하수학

과학의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좁은 의미 [[자연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 생물학 · 지구과학 · 천문학 · 화학
넓은 의미 [[형식과학|
형식과학
]] 논리학 · 수학 · 시스템 과학 · 전산학 · 통계학
[[응용과학|
응용과학
]] 간호학 · 거대과학 · 건축학 · 공학 · 농학 · 임학 · 수산학 · 수의학 · 약학 · 의학 · 치의학 · 동양의학(한의학, 중의학)1
[[사회과학|
사회과학
]] 경영학 · 경제학 · 교육학 · 미디어학 · 법학 · 사회학 · 사회복지학 · 심리학 · 인류학 · 정책학 · 정치학 · 지리학 · 종교학2 · 행정학
비과학 [[인문학|
인문학3
]] 언어: 언어학 / 예술: 문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역사: 사학 · 과학사학 · 고고학 / 사상: 철학 · 종교학2 · 신학4
변경지대의 과학
비학문 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대체의학) · 반과학
1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유사과학의 일종인 대체의학으로 분류하나, 한국, 중국, 북한, 대만 4개국에는 독립된 한의학부가 존재하여 의학사에 준하는 학위를 부여한다.
2 인문학과 사회과학에 걸쳐져 있다.
3 인문학을 확실하게 과학으로 분류하는 독일 같은 특수사례가 있으나 사회 전반 및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경향성은 아니다. 대한민국의 교육법상으로 인문학은 '직관·체험·표현·이해·해석 등 인문학적 방법론을 수용하는 제반 학문'으로 정의하고 있으며,[1] 과학과 분리된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2] 다만 근래에는 과학적 방법론이 연구에 쓰이는 사례도 종종 있다.
4 최근에는 사회과학적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1]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3조 2. "인문학"이란 인문에 관하여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언어학·문학·역사학·철학·종교학 등의 학문과 직관·체험·표현·이해·해석 등 인문학적 방법론을 수용하는 제반 학문 및 이에 기반을 둔 융복합 학문 등 관련 학문분야를 말한다.[2] 과학은 교육법상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의 관리하에 있다.
}}}}}}}}}

자연과학의 일반적 분류
물상과학
Physical Science
생명과학
Life Science
물리학
Physics
화학
Chemistry
천문학
Astronomy
지구과학
Earth Science
생물학
Biology


1. 개요
1.1. 일반적 정의1.2. 학문적 정의
2. 지하수학의 분야
2.1. 지하수의 물리적 해석2.2. 지하수의 화학적 해석2.3. 지하수의 수치해석
3. 지하수학의 중요성4. 관련진로 및 학과5. 관련 문서


Groundwater hydrology
地下水學 (underground mathematics가 절대 아니다)

1. 개요

1.1. 일반적 정의

지질학 혹은 수문학의 한 분야로써 지하수의 제반 분야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일컫는다. 지하 심부 및 관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던 시절에는 수문학 (hydrology)의 한 분과로만 취급되었으나, 현재는 그 자원으로서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인정받고 있다.

1.2. 학문적 정의

지표 이하에서 일어나는 다상 (multi-phase) 유체의 유동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물질과 열의 이송 및 확산, 이에 따른 피드백으로 인한 지표 및 지하의 물리적 변화에 관련한 포괄적인 연구를 다루는 것이 지하수학이다.

2. 지하수학의 분야

2.1. 지하수의 물리적 해석

2.2. 지하수의 화학적 해석

2.3. 지하수의 수치해석

3. 지하수학의 중요성

4. 관련진로 및 학과

5. 관련 문서



[1] 수리지질학, 지하수학으러 꽤 유명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