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의 카운터 함정 카드.2. 설명
2.1. 원작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중력 붕괴,
일어판 명칭=<ruby>重力崩壊<rp>(</rp><rt>じゅうりょくほうか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Gravity Collapse,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그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의 공격력을 가진 상대 몬스터의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유희왕 5D's WRGP 편 105화에서 크로우 호건이 팀 카타스트로프의 헤르만과의 라이딩 듀얼 중 사용. 헤르만이 리바이벌 나이트의 효과로 히든 나이트 -후크-를 되살리려는 순간 블랙 페더 드래곤을 릴리스하고 발동해서 막아냈다.
이후 아크 크레이들 편 144화에서도 안티노미가 후도 유세이와의 라이딩 듀얼 중 패에 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러스트 가운데를 자세히 보면 이츠 시리즈가 붕괴하는 땅 아래로 추락하고 있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중력 붕괴,
일어판 명칭=<ruby>重力崩壊<rp>(</rp><rt>じゅうりょくほうか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Gravity Collapse,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할 시기에\,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인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것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 턴에 상대는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원작대로면 승천의 뿔피리의 하위 호환이 되는지라 OCG화되면서 파괴하는 몬스터의 조건이 없어지고, 그 턴의 소환 자체를 막아버리도록 상향되었다. 승천의 뿔피리에 더 까다로운 코스트가 붙은 대신 추가 효과가 들어간 카드라 할 수 있다.
통하기만 하면 거의 확실하게 그 턴 동안 상대의 전개를 막아버릴 수 있지만,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날아가버린다는 점은 뼈아프다. 이미 상대가 몬스터를 여럿 꺼내놓은 상황이라면 이 디메리트는 더욱 아프게 다가올 것이다. 더구나 발동 타이밍이 오기도 전에 싱크로 몬스터가 제거당하는 경우도 많아 그냥 자리만 차지하기 쉽다는 것도 단점. 더구나 체인 블록을 생성하는 특수 소환에만 반응하기에 유사한 역할을 가진 신의 경고에 비하면 여러모로 견제 성능이 떨어지고, 신의 심판 등으로 무효화되는 리스크까지 고려한다면 코스트가 무거운 이 카드는 마음놓고 쓰기 힘들다.
그래도 현 환경은 많은 특수 소환을 통해 대량 전개를 하는 덱이 주류이므로 이 카드와 싱크로 몬스터 하나만으로 1턴 동안의 전개를 완전 봉쇄할 수 있다는 메리트는 크다. 싱크로 몬스터를 여럿 꺼내는 것도 어렵지 않게 되었으니 저절로 이 카드의 코스트 난이도도 내려갔고, 몬스터 효과에 의존하는 경우가 늘어나서 몬스터를 꺼내지 않고 마법 / 함정 등으로 치워지면 발동할 기회가 없어진다는 리스크 역시 예전처럼 높지는 않다. 몬스터를 대량 전개하는 덱의 천적인 명왕결계파나 금지된 일적의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저 레벨 중심의 싱크로 소환 덱이라면 포뮬러 싱크론 등 어드밴티지를 크게 해치지 않는 몬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얼티마야 촐킨이 존재할 때 세트하면 코스트 확보는 용이해진다. HSR 마하고 이타나 포츈 레이디 에버리처럼 간단한 조건과 경미한 코스트로 되살아나는 싱크로 몬스터 역시 코스트로 쓰기 좋다. BF T-칠흑의 호크 죠나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처럼 싱크로 몬스터를 안정적으로 되살려주는 몬스터를 쓴다면 역시 코스트 맞추기는 어렵지 않다. SR 싱크로 몬스터처럼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의 효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효과가 발동되어도 통상 소환으로서의 세트 자체는 가능하지만, 통상 소환에 체인해서 이 카드를 발동했다면 이미 그 시점에서 소환권이 쓰인 상태이기에 상대는 더이상 몬스터를 꺼내지 못한다.
몬스터 퍼미션만 없는 카디언 덱에서 턴 넘겨받기용 함정으로 채용되는 경우가 보인다. 싱크로 몬스터 비중이 늘어난 푸른 눈 덱에서도 사이드에 투입되기도 한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10-07-17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TBL-JP067 | スターストライク・ブラスト [ STARSTRIKE BLAST ] |
2020-08-29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R11-JP039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 |
2023-08-26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DBVS-JP030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
2010-10-20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TBL-KR067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2020-11-18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R11-KR039 | 스트럭처 덱 R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2023-11-10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DBVS-KR030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
2010-11-16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TBL-EN067 | STARSTRIKE BLAST |
2020-06-15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OP13-EN024 | OTS TOURNAMENT PACK 13 |
2023-11-17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VASM-EN030 | VALIANT SMASH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