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판 명칭 | Liliana, Death's Majesty | |
한글판 명칭 | 죽음의 위엄 릴리아나 | |
마나비용 | {3}{B}{B} | |
유형 | 플레인즈워커 — 릴리아나 | |
+1: 2/2 흑색 좀비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당신의 서고 맨 위의 카드 두 장을 당신의 무덤에 넣는다. −3: 당신의 무덤에 있는 생물 카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카드를 전장으로 되돌린다. 그 생물은 자신의 원래 색에 더불어 흑색이며, 자신의 원래 유형에 더불어 좀비다. −7: 좀비가 아닌 생물을 모두 파괴한다. | ||
충성도 | 5 | |
수록세트 | 희귀도 | |
아몬케트 | 미식레어 |
1. 개요
이니스트라드에서 마지막 희망으로 활약하고 (칼라데시를 거쳐) 아몬케트로 이동한 릴리아나.좀비와 관련된 스킬 셋으로 무장하였으며 흑색 플레인즈워커 사상 최초로 +1로 토큰을 만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2. 능력
+1은 2/2 좀비 토큰 소환. 토큰 소환은 정말 언제나 좋은 능력이고 특히 +로 토큰을 소환하는 건 언제나 훌륭한 능력. 과거 원시사냥꾼 개럭은 동마나로 3/3 야수를 소환했으니 공방에서 크게 떨어지긴 하지만 녹색 vs 흑색의 색상 차이도 있고 종족 보너스 같은거 없는 야수 타입 vs 종족 보너스 1인자인 좀비 타입이니 이해가 안가는 건 아니다. 추가로 2장을 자밀하는 능력으로는 -와의 연계도 가능.-3은 내 무덤의 생물만 부활 가능한 리애니 주문인 Zombify에 Rise from the Grave의 부활시킨 생물을 흑색 좀비로 만드는 능력을 버무린 스킬. 5마나 플레인즈워커가 4마나 소서리를 -3으로 사용하니까 나쁘지는 않다. 이 능력을 이용하여 떡대를 부활시키는 Solar Flare같은 리애니 덱이 등장 할 수 도 있을 것 같다고 예측 중.
-7의 궁극기는 좀비만 살려두는 매스 디나이얼. 매스는 언제나 타이밍만 맞게 쓴다면 게임을 날로 먹게 해주는 좋은 능력이기는 한데.. 궁극기로 다 쓴다고 광고하면서 2턴이나 모아서 쓰는 매스는 크게 좋다고 보기는 또 힘들다. 다만 +1이 자기 보호가가능한 능력이고 생물 대 생물 대치 상황을 끝내주는 궁극기라 상대에게 압박이 되는 건 사실이기 때문에 무의미한 스킬은 아니다.
로열티는 굉장히 높은 편. 기본 충성도 5라서 첫턴에 2/2 좀비를 소환하면서 충성도 6도 가능하다. 어지간한 비행 생물에게도 한 방에 골로가지는 않는 높은 로열티.
3. 평가
LSV나 Ben Friedman 등 프로 플레이어들의 평가는 LSV도 3.5점으로 평가하는 등 마나 대비 대체로 나쁘진 않은데 비행 생물에게는 약하고, 2마나 4/4 비행이 날아다니는 지금 환경에서는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쓰기 힘들다고 평가하였다. 이후 환경이 좀 느려져야. 혹은 이후 리애니 덱이 나온다면 쓸 수 있는 포텐은 가진 카드로는 평가 중.그리고 프로 투어 이후의 활용은 일단은 부정적. 릴리아나 특화덱이 될 수 도 있었던 좀비 덱이 PT에서 우승까지 기록하며 흥하긴 했는데 동 블럭에서 동 마나로 릴리아나의 숙련이라는 굉장히 좋은 부여마법이 등장하며 포지션에서 완전히 밀려버렸고, 떡대를 몇 턴 일찍 꺼내는 덱에서 쓰자니 이쪽은
결국 환경 빨을 조금씩 애매하게 못 받아버리면서 잘 쓰이지 않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