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의 운항 과정 | ||||||
지상조업 주기장 | 택싱 유도로 | 🛫이륙 활주로 | 상승 | 순항 항로 | 하강 | 🛬착륙 활주로 |
지상 | 비행 |
주기장(계류장)/駐機場(繫留場)/Apron
1. 개요
말 그대로 항공기가 주기하는 곳을 뜻한다. 한 마디로 하자면 비행기의 주차장. 중화권에서는 이 특성을 중시해서 공항을 空港으로 안 쓰고 機場(기장)이라고 표기한다. 국내 한정으로 리모트인지 게이트인지 구분하려면 출발 하루 전 Ubikais에 들어가서 주기장 번호를 확인하면 된다.2. 형태
보통 여객터미널에 붙어있으면 탑승교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리모트 게이트를 통해 버스나 도보를 통해[1] 주기장까지 이동한 다음 스텝카를[2][3] 이용하여 탑승/하기하게 된다. 화물기는 당연히 탑승교를 사용하지 않는다.ATR 72와 같은 소형기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장부터 A380과 같은 초대형기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장까지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제주국제공항에 보잉 747-400은 들어갔으나 보잉 747-8이 들어가지 못하는 이유가 활주로 길이는 충분하나 747-400보다 747-8의 날개 길이가 길어져 주기장에 수용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3. 종류
3.1. 탑승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탑승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탑승교#|]][[탑승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리모트 주기장
상술한 리모트 게이트를 통해 이동해야 하는 주기장이다. 이 주기장은 계단차와 버스를 통해 승객들이 이동하고 타고 내린다.3.2.1. 원격 계류장
리모트 주기장 중에 일반적인 것과 다르게 탑승교를 설치한 주기장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이 유일하다. 탑승교를 통해 하기하여 계단 등을 통해 맨 아래 층으로 이동하면 버스를 타고 터미널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기존 리모트 주기장보다 편의성이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