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0 20:15:46

종카어

중국티베트어족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중국티베트조어, 중국티베트어족 한어파 중국제어 관화 (표준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티베트버마어파 보도나가어군 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히말라야어군 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창어군 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롤로버마어군 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카친어군 카친어 · 농어 · 삭어
카렌어군 파오어 · 풔어
기타 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4e12,#383b40>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cc33><colbgcolor=#ff4e12> 상징 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행정구역(틀:부탄의 행정 구역 · 종데이 · 종카그) · 왕축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부탄 눌탐
국방 부탄군
교통 부탄/교통 · 틀:부탄의 공항(파로 국제공항 · 자카르 바트팔라탕 공항 · 사르팡 겔레푸 공항 · 트라시강 용플라 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티베트 불교 · 제켄포 · 파로 탁상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 종카어 · 티베트 문자 · 종(건축물)
지리 팀부 · 히말라야 산맥 · 인도 반도
민족 부탄인
}}}}}}}}} ||
རྫོང་ཁ
종카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 부탄
원어민 171,080 명
어족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
히말라야어군
티베트카나우리어
티베트어
종카어
문자 티베트 문자
공식적 정보
표준어 사용국 부탄
공식 연구 기관 종카어 개발위원회(རྫོང་ ཁ་ གོང་ འཕེལ་ ལྷན་ ཚོགས)
언어 코드
ISO-639 DZ
부탄 내 주요 사용 지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Dzongkha_native_language_districts.svg.png
밝은 노란 부분은 위에서부터
가사 현, 푸나카 현, 팀부 현
왕두에포드랑 현, 파로 현, 하 현
추카 현이다. 부탄에서는 전국민의
25%가 종카어를 사용한다.

1. 개요2. 사용3. 문자4. 기타5. 음운
5.1. 자음 음운5.2. 모음 음운

[clearfix]

1. 개요

종카어(Dzongkha)어는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의 언어로, 티베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문자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한다. 종카어라는 이름은 성(城, dzong)에서 쓰이는 말(kha)이라는 뜻이다.

2. 사용

종카어는 대부분의 부탄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부탄에서는 고전 티베트어[1]를 공용어처럼 사용해 왔으나, 1971년 종카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게 되었다. 다만 부탄에서는 종카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긴 했지만, 실제로 종카어를 사용하는 부탄 국민은 전체의 25%가 채 안된다. 이는 부탄의 언어 사정이 매우 난잡하여 사용하는 사람이 적은 것이다. 부탄에서는 무려 50여개의 언어를 사용하며, 각기의 지역마다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이때문에 종카어는 공용어라도 다른 언어들 때문에 사용지역과 인구가 적은 것.

현재 부탄에서는 왕두에포드랑 현, 푸나카 현, 팀부 현, 가사 현, 파로 현, 하 현, 다가나 현, 추카 현의 8개 종카그에서 종카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부탄과 맞닿아 있는 인도의 마을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지금의 서벵골주에서 소수가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3. 문자

티베트 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

종카어의 경우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존재하긴 하는데 표기보다는 발음에 중점을 뒀는데, 티베트어처럼 이쪽도 표기와 발음 간 괴리가 있다. 실질적으로 쓰이는 예는 많지 않은 듯 하다. 부탄 내 지명만 살펴 봐도, Wangdue Phodrang, Samdrup Jongkhar 같은 지명은 공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Wangdi Phodr°a, Samdru Jongkha라고 적게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앞의 표기가 훨씬 많이 쓰인다.

4. 기타

부탄 정부에서 펴낸 종카어 회화

5. 음운

5.1. 자음 음운

양순연구개음 양순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ɲ ŋ
파열음 유성음 b d ɡ
무성음 p t k
파찰음 유성음 dz
무성음 ts
마찰음 유성음 z ʑ ɦ
무성음 s ɕ h
설측마찰음 ɬ
접근음 w j
설측접근음 l

5.2. 모음 음운

종카어의 모음은 구모음 9개와 비모음 9개를 합해서 총 18개다.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구음 i ɨ u
비음 ɨ̃
중고모음 구음 e o
비음
중저모음 구음 ɛ ɐ ɔ
비음 ɛ̃ ɐ̃ ɔ̃
저모음 구음 a
비음


[1] 부탄에서는 최께(ཆོས་སྐད, Chökê)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