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02:08:54

존 로버트슨

스코틀랜드의 前 축구 감독
파일:John_Robertson.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존 로버트슨
John Robertson
본명 존 닐슨 로버트슨
John Neilson Robertson
출생 1953년 1월 20일
스코틀랜드 래너크셔 뷰파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코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코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노팅엄 포레스트 FC (1970~1983)
더비 카운티 FC (1983~1985)
노팅엄 포레스트 FC (1985~1986)
코비 타운 FC (1986)
스탬퍼드 FC (?~?)
그랜섬 타운 FC (?~?)
감독 위컴 원더러스 FC (?~? / 코치)
노리치 시티 FC (?~? / 코치)
레스터 시티 FC (?~? / 코치)
셀틱 FC (?~? / 코치)
아스톤 빌라 FC (?~? / 코치)
그랜섬 타운 FC (?~? / 감독)
국가대표 28경기 8골 (스코틀랜드 / 1978~1983)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2.2. 국가대표
3. 감독 경력4. 평가5. 개인 생활

1. 개요

스코틀랜드축구 선수 출신 前 축구 감독. 선수 시절에는 왼쪽 윙어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노팅엄 포레스트 FC에서 전설적인 선수로 명성을 얻었으며, 1979년과 1980년 두 차례의 유러피언컵 우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었고, 브라이언 클러프 감독 하에서 최고의 기량을 선보였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로버트슨은 스코틀랜드의 래너크셔 뷰파크에서 태어났으며, 드럼채플 아마추어 FC에서 활동한 후 1970년 5월 노팅엄 포레스트 FC에 입단했거, 1970년 10월에 첫 경기를 치렀다. 이후 로버트슨은 1975년까지는 주전으로 자리잡지 못했으나, 브라이언 클러프 감독이 부임한 후 왼쪽 윙어로서 핵심 선수가 되었고 1976년 12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243경기 연속 출전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1978년 풋볼 리그 컵 결승전 재경기에서 리버풀 FC를 상대로 페널티킥 결승골을 넣었다. 또한 1979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는 트레버 프랜시스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했고, 1980년에는 함부르크 SV를 상대로 한 결승전에서 직접 결승골을 넣었다.

로버트슨은 노팅엄 포레스트에서 리그 우승, 유러피언컵 우승(1978-79, 1979-80), 유러피언 슈퍼컵 우승, 풋볼 리그 컵 우승, FA 채리티 실드 우승, 앵글로-스코티시 컵 우승 등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했다.

1983년 6월 더비 카운티 FC로 이적했으나, 곧 부상을 당해 노팅엄 포레스트 시절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1985년 8월 노팅엄 포레스트로 돌아왔지만 예전의 기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1985-86 시즌을 마지막으로 프로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이후 코비 타운 FC, 스탬퍼드 FC, 그랜섬 타운 FC 등 비리그 팀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2. 국가대표

로버트슨은 1978년부터 1983년까지 스코틀랜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총 28경기에 출전해 8골을 기록했다. 1981년 잉글랜드을 상대로 한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었으며, 1982 월드컵에서는 뉴질랜드을 상대로 골을 기록했다. 그는 1978 아르헨티나1982 월드컵 본선에 출전했다.

3.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 로버트슨은 코치로 활동했다. 노팅엄 포레스트에서 함께 뛰었던 동료 마틴 오닐의 코치진으로 위컴 원더러스 FC, 노리치 시티 FC, 레스터 시티 FC, 셀틱 FC, 아스톤 빌라 FC 등에서 수석 스카우트 및 수석 코치로 일했다. 특히 아스톤 빌라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4. 평가

로버트슨은 브라이언 클러프 감독에 의해 "다소 볼품없는 외모였지만, 공을 다루는 솜씨는 예술가 수준이었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클러프는 그를 축구계의 "피카소"라고 부르며 그의 재능을 극찬했다. 2015년 노팅엄 포스트 신문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노팅엄 포레스트 역대 최고의 선수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

5. 개인 생활

로버트슨의 딸 제시카는 1983년 뇌성마비를 안고 태어나 사지마비로 고통받았다. 그의 다른 딸 리즈는 2007년 BBC 퀴즈 쇼 'TNL: Who Dares Wins'의 첫 방송에 출연했다.

로버트슨은 2012년 9월 자서전 'Supertramp'를 출간했다. 어린 시절 레인저스 FC의 팬이었지만, 셀틱 FC에서 마틴 오닐의 수석 코치로 활동했던 시기를 자신의 축구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간으로 회상했다. 2013년 8월 23일 테니스 경기 중 심장마비로 추정되는 증상을 겪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