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22:10:17

조지 웨스팅하우스

<colbgcolor=#000><colcolor=#fff> 조지 웨스팅하우스
George Westinghouse
파일:George_Westinghouse.jpg
출생 1846년 10월 6일
미국 뉴욕주 센트럴 브릿지
사망 1914년 3월 12일 (향년 67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직업 발명가
수상 존 프리츠 메달 (1906)
IEEE 에디슨 메달 (1911)
가족 배우자 (1867년 결혼)
자녀 1명
종교 개신교(장로회)[1]
서명 파일:George_Westinghouse_signature.svg

1. 개요2. 초기 생애3. 전기 전쟁4. 이후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발명가이자 웨스팅하우스의 창업주. 토머스 에디슨의 진짜 라이벌로, 한때 니콜라 테슬라를 섭외하기도 한 사업 파트너이기도 했다. 그리고 사실상 현대 사회 전기 보급망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다.

2. 초기 생애

센트럴 빌리지라는 뉴욕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농기계 제작자의 아들이었는데, 그때부터 어느 정도 창의성을 발휘했다는 언급은 있지만 사실 어릴 때 온갖 기행을 저지르고 다녔던 라이벌 에디슨에 비해 딱히 눈에 띄는 에피소드는 없다.

이후 1861년 남북 전쟁이 발발하자 2년 후인 1863년에 북군에 입대해서 싸웠다. 그 이전에는 나이가 안 차서 입대할 수가 없었다. 그는 부대에서 전역한 후 고향으로 돌아와 그의 첫 발명을 해냈는데, 이것이 바로 로터리 엔진(성형엔진). 하지만 로터리 엔진은 당시에는 그다지 많이 쓰이지는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했다. 그의 인생을 바꿔놓은 발명은 그보다 뒤에 일어난다.

1860년대 말, 끔찍한 열차 충돌사고를 목격한 그는 철도 산업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가속장치보다도 제동장치의 개발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당시의 열차 브레이크는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착시키는 방식이었는데, 밀착시키는 힘이 충분하지 않았고 또한 열차 선두쪽 차량의 제동력과 후미쪽 차량의 제동력이 고르게 배분되지 않아서, 선두쪽 차량을 후미쪽 차량들이 밀고나가 탈선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따라서 웨스팅하우스는 철도용 공기 브레이크를 개발하였다. 기존 브레이크와 다른점은, 열차의 각 차량(칸)마다 압축 공기 탱크를 내장하고, 이 탱크에 일정 압력 이상의 압축공기를 항상 채워두는 것이다. 따라서 각 차량이 동시에 압축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제동을 걸 수 있고, 또한 선두 차량부터 후미 차량까지 열차의 모든 부분에서 고르게 제동함으로써 후미차량이 선두차량을 밀어내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웨스팅하우스는 1869년에 "웨스팅하우스 에어 브레이크"라는 제작사까지 차리고 열차들에 브레이크를 보급하기 시작했다. 이 공기 브레이크는 대형 육상교통수단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에도 쓰인다. 웨스팅하우스 에어 브레이크는 이후 성장을 거듭하며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GE의 철도부문을 인수하기까지 한다.

이후에는 공기 브레이크 관련 기술을 응용해서 현대에는 너무나도 당연하게 생각되는 천연가스의 파이프 운송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기도 했다.

3. 전기 전쟁

시대는 흘러 1880년대. 당시의 전기 보급은 직류 전기를 발전시킨 토머스 에디슨이 꽉 잡고 있었다. 하지만 공기 브레이크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고 야심에 차 있던 웨스팅하우스는 에디슨의 직류 전기 왕국을 무너트린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때마침 1881년에 유럽에서 골라르드와 기브스의 성공적인 교류 전기 실험이 일어나자 웨스팅하우스는 교류 발전의 저력을 꿰뚫어보고 1885년 공기 브레이크로 마련한 재산으로 골라르드-기브스 변압기와 지멘스 발전기를 수입하여 피츠버그에 전기회사의 토대를 마련하고, 때마침 에디슨의 회사에서 뛰쳐나온 니콜라 테슬라를 비롯한 주변 연구자들의 도움을 받아 당시까지 실험적인 수준이었고 전압 고정도 불가능하던 교류 발전 체계를 실용적인 수준까지 발전시키는 데 성공한다. 1886년에는 웨스팅하우스 전기회사를 설립해 처음으로 전기 보급 시장에 진출했다. 테슬라가 개발한 교류 전동기의 특허를 구입해 생산하기 시작한 것도 이때의 일이다.

토머스 에디슨 문서에도 나와 있다시피 테슬라와 동맹을 맺은 웨스팅하우스의 시장 진출에 대한 에디슨의 대응은 다소 지저분했다. 전기의자 사형을 비롯한 다소 끔찍한 실험들로 교류전기가 위험하다며 중상모략을 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 사실 자금력에서도 웨스팅하우스 전기회사가 제너럴 일렉트릭에 압도적으로 밀렸다. 웨스팅하우스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제대로 알면 두려움이 없어진다"는 생각으로 교류 전기 체계에 대한 교육을 벌이기 시작했다.

결국 이 싸움에서 웨스팅하우스-테슬라 콤비가 이겼다. 싸움이 시작된지 7년이 지난 1893년에 사실상 결판이 나는데, 시카고에서 열리게 되는 만국박람회의 점등 계약을 웨스팅하우스가 따냈던 것이다. 1895년에는 나이아가라 폭포에 발전소까지 세우면서 에디슨과 제너럴 일렉트릭은 "전기 전쟁"에서 완패하게 된다.

그러나 전기 생산은 웨스팅하우스에서 할 수 있었지만 제너럴 일렉트릭이 전선 등 송전 설비를 독점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웨스팅하우스가 승리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서로 협력하고 기술을 공유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나이아가라 폭포 발전소 같은 경우, 발전소 공사는 웨스팅하우스가 맡았으나, 생산된 전기를 전송하는 전선은 제너럴 일렉트릭이 제작을 맡았고 더 나아가 제너럴 일렉트릭이 웨스팅하우스의 독점 분야였던 철도장치의 제작에 참여하고 웨스팅하우스가 GE의 독점 분야였던 전등 및 전력 기기를 생산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었다. 1890년대의 전기 전쟁에서 패배한 에디슨을 존 피어폰트 모건제너럴 일렉트릭에서 완전히 쫓아내버리고(1899년), GE를 모건이 장악한 이후 GE의 설비를 모두 교류 설비로 전환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에디슨은 GE에서 쫓겨날 때 정말 거의 무일푼에 가까운 정도의 퇴직금만 J. P. 모건이 지급했다.

4. 이후

발명가, 기술자로서는 더할 나위 없던 그도 사업 수완은 아주 뛰어나지는 못했던 모양인지, 잘 나가다가 1907년에 경영 악화로 회사의 경영권을 잃어버린다. 그로부터 7년 뒤인 1914년에 모든 사업을 접은 상태에서 뉴욕시에서 사망. 남북전쟁 참전용사였기에 알링턴 국립묘지에 그의 아내와 함께 안치되었다.

그의 사후에도 웨스팅하우스 전기회사는 여러 가전제품을 생산하며 번영했지만, 근래에는 원자력 발전소로 주요 사업 분야를 전환했는데 이게 영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와 도시바에 인수되고 말았다. 그리고 그 도시바조차 2015년 분식회계 사건으로 웨스팅하우스와 함께 사실상 몰락했다.

국내에서는 라이벌이던 에디슨이나 파트너 테슬라에 비해 묘하게 인지도가 낮다. 미국에선 웨스팅하우스 전기회사 덕택에 앞서 말한 두 명보다 인지도가 높다. 가전제품은 물론 가정용 냉, 난방용품을 생산했던 터라 미국 가정에 최소 하나 이상의 웨스팅하우스 이름의 제품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2019년 영화 커런트 워에서 마이클 섀넌이 그를 연기했다.


[1] "George Westinghouse", nndb.com, 2022년 12월 28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