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전주 | 군산 | 남원 | 익산 | 김제 |
송하진 | 문동신 | 최중근 | 이한수 | 이건식 | |
정읍 | 고창 | 무주 | 부안 | 순창 | |
강광 | 이강수 | 홍낙표 | 김호수 | 강인형 | |
완주 | 임실 | 장수 | 진안 | ||
임정엽 | 장재영 | 송영선 | |||
선거 결과 | |||||
* 부안군수 이병학 군수직 상실 (2007.11.2.) * 임실군수 김진억 군수직 상실 (2010.1.16.) | |||||
◀ 민선 3기 민선 5기 ▶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
전라북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
5석 | 4석 | 5석 |
1. 전주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주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주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하진(宋河珍) | 108,164 | 1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50.92% | 당선 | |
3 | 진봉헌(陳鳳憲) | 73,138 | 2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34.43% | 낙선 | |
4 | 김민아(金旻兒) | 31,077 | 3위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14.6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50,694 | 투표율 47.81% |
투표 수 | 215,463 | ||
무효표 수 | 3,084 |
2. 군산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산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산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함운경(咸雲炅) | 23,569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21.51% | 낙선 | |
2 | 한상오(韓相吾) | 3,569 | 8위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3.25% | 낙선 | |
3 | 문동신(文東信) | 31,078 | 1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28.36% | 당선 | |
4 | 전희남(全熙湳) | 5,493 | 5위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5.01% | 낙선 | |
6 | 김덕환(金德奐) | 843 | 11위 |
| 0.76% | 낙선 | |
7 | 권형신(權炯信) | 10,892 | 4위 |
| 9.94% | 낙선 | |
8 | 김귀동(金貴童) | 3,325 | 9위 |
| 3.03% | 낙선 | |
9 | 송웅재(宋雄宰) | 19,640 | 3위 |
| 17.92% | 낙선 | |
10 | 조현식(趙玄植) | 4,086 | 7위 |
| 3.72% | 낙선 | |
11 | 최관규(崔寬圭) | 2,900 | 10위 |
| 2.64% | 낙선 | |
12 | 황이택(黃伊澤) | 4,159 | 6위 |
| 3.7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8,467 | 투표율 56.34% |
투표 수 | 111,824 | ||
무효표 수 | 2,270 |
3. 익산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익산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익산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한수(李漢洙) | 49,654 | 1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41.20% | 당선 | |
2 | 고현규(高玄圭) | 5,094 | 4위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22% | 낙선 | |
3 | 허영근(許永根) | 40,696 | 2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33.77% | 낙선 | |
6 | 박경철(朴慶澈) | 25,050 | 3위 |
| 20.7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35,847 | 투표율 52.19% |
투표 수 | 123,083 | ||
무효표 수 | 2,589 |
4. 정읍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읍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읍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생기(金生基) | 19,024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31.77% | 낙선 | |
3 | 이민형(李敏炯) | 14,180 | 3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23.68% | 낙선 | |
4 | 이효신(李孝信) | 5,417 | 4위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9.04% | 낙선 | |
6 | 강광(姜廣) | 21,253 | 1위 |
| 35.49% | 당선 | |
| | 사퇴[1] | |
| |||
계 | 선거인 수 | 99,727 | 투표율 62.25% |
투표 수 | 62,080 | ||
무효표 수 | 2,206 |
5. 남원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원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원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승호(尹承晧) | 19,021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38.89% | 낙선 | |
3 | 최중근(崔中根) | 23,198 | 1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47.43% | 당선 | |
6 | 김영권(金永權) | 5,228 | 3위 |
| 10.68% | 낙선 | |
7 | 황의돈(黃義旽) | 1,461 | 4위 |
| 2.9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2,197 | 투표율 69.56% |
투표 수 | 50,218 | ||
무효표 수 | 1,310 |
6. 김제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제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제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호방(黃鎬邦) | 19,819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36.55% | 낙선 | |
3 | 최수(崔秀) | 9,523 | 3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17.56% | 낙선 | |
6 | 이건식(李建植) | 22,414 | 1위 |
| 41.33% | 당선 | |
7 | 이홍규(李洪奎) | 1,029 | 5위 |
| 1.89% | 낙선 | |
8 | 황성호(黃成鎬) | 1,438 | 4위 |
| 2.6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2,928 | 투표율 67.06% |
투표 수 | 55,609 | ||
무효표 수 | 1,386 |
7. 완주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완주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완주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충일(崔忠一) | 19,267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47.67% | 낙선 | |
3 | 임정엽(林呈燁) | 21,149 | 1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52.32%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6,720 | 투표율 62.30% |
투표 수 | 41,566 | ||
무효표 수 | 1,150 |
8. 진안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안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안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영선(宋永先) | 7,840 | 1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45.97% | 당선 | |
3 | 김정길(金正吉) | 2,135 | 3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12.51% | 낙선 | |
4 | 신중하(愼重夏) | 672 | 4위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3.94% | 낙선 | |
6 | 박관삼(朴官三) | 6,407 | 2위 |
| 37.5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3,432 | 투표율 74.81% |
투표 수 | 17,530 | ||
무효표 수 | 476 |
9. 무주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주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주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완병(尹完炳) | 5,846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35.63% | 낙선 | |
3 | 강평수(姜平秀) | 1,293 | 3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7.88% | 낙선 | |
4 | 백광철(白光哲) | 365 | 6위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2.22% | 낙선 | |
6 | 갈성로(葛聖魯) | 632 | 4위 |
| 3.85% | 낙선 | |
7 | 김원수(金元洙) | 594 | 5위 |
| 3.62% | 낙선 | |
8 | 이경주(李京柱) | 201 | 7위 |
| 1.22% | 낙선 | |
9 | 홍낙표(洪洛杓) | 7,473 | 1위 |
| 45.5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1,301 | 투표율 79.04% |
투표 수 | 16,836 | ||
무효표 수 | 432 |
10. 장수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수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수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용득(崔容得) | 7,249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45.13% | 낙선 | |
3 | 배한진(裵翰振) | 777 | 3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4.83% | 낙선 | |
6 | 장재영(張在英) | 8,034 | 1위 |
| 50.02%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0,567 | 투표율 80.06% |
투표 수 | 16,466 | ||
무효표 수 | 406 |
11. 임실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실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실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완묵(姜完默) | 5,031 | 3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24.06% | 낙선 | |
3 | 박영은(朴泳恩) | 1,199 | 4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5.73% | 낙선 | |
6 | 김진억(金鎭億) | 7,945 | 1위 |
| 37.99% | 당선 | |
7 | 심민(沈敏) | 5,845 | 2위 |
| 27.95% | 낙선 | |
8 | 윤재붕(尹在鵬) | 889 | 5위 |
| 4.2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7,747 | 투표율 77.23% |
투표 수 | 21,429 | ||
무효표 수 | 520 |
12. 순창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창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창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인형(姜仁馨) | 13,801 | 1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72.59% | 당선 | |
3 | 임양호(林良鎬) | 5,209 | 2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27.4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5,579 | 투표율 77.09% |
투표 수 | 19,720 | ||
무효표 수 | 710 |
13. 고창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창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창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길진(鄭吉鎭) | 12,089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32.79% | 낙선 | |
3 | 이강수(李康洙) | 21,586 | 1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58.56% | 당선 | |
6 | 정원환(鄭元煥) | 3,184 | 3위 |
| 8.6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1,732 | 투표율 73.19% |
투표 수 | 37,864 | ||
무효표 수 | 1,005 |
14. 부안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안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안군수#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수원(姜守源) | 4,367 | 3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11.89% | 낙선 | |
3 | 이병학(李丙學) | 17,012 | 1위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46.34% | 당선 | |
6 | 문창연(文昌淵) | 1,184 | 5위 |
| 3.22% | 낙선 | |
7 | 김경민(金京旼) | 1,524 | 4위 |
| 4.15% | 낙선 | |
8 | 김종규(金宗奎) | 12,617 | 2위 |
| 34.3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2,694 | 투표율 71.86% |
투표 수 | 37,866 | ||
무효표 수 | 1,162 |
15. 총평
참여정부의 레임덕으로 인해 민주당계 정당의 전통적인 지지 기반이었던 호남에서의 지지도 흔들리고 있는 여당 열린우리당,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친노와 갈라선 동교동계를 중심으로 호남의 지지를 탈환하려하는 제2야당 민주당, 그리고 양당의 공천 갈등에 힘입어 당선을 노리는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간 3파전이 선거구 전체에서 벌어졌다.그 결과는 열린우리당이 겨우 4곳을 건져 5곳을 건진 민주당에게 전북마저도 약진을 허용하며 기록적인 대참패를 당했다.
[1] 일신상의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