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6:09:23

제52군수지원단

제2군수지원단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단
직할 지상정보여단 드론봇전투단
1군지사 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8군수지원단
<colbgcolor=#009600> 수도 17사단 제3경비단
I 1포병여단 제2포병단 · 제3포병단 · 제7포병단
III 3군수지원여단 동해안군수지원단
V 5포병여단 제1포병단 · 제5포병단 · 제8포병단 · 제9포병단
VII 7공병여단 도하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사단 예하 단
직할 32사단 세종시경비단
5군지사 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직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단
군수사 보급창 제1보급단 · 제2보급단 · 제3보급단
정비창 특수무기정비단 · 항공기정비단 · 기동화력장비정비단 · 기동화력부품정비단 · 총포/사통장비정비단 · 통신전자장비정비단 · 생산지원단
교육사 종군교 군수교육단 · 병기교육단 · 병참교육단 · 수송교육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7군수지원단 로고.pn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수도군수지원단 제6군수지원단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파일:청마부대 로고.pn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동해안군수지원단 제51군수지원단 제52군수지원단 제53군수지원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52군수지원단
第52軍需支援團
The 52nd Logistic Support Group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위풍당당 최정예 군수지원부대, 제52군수지원단
<colbgcolor=#0000FE><colcolor=#fff> 창설일 1970년 12월 15일(군수사령부 군수지원단)
1986년 10월 1일(제2군수지원단)
2001년 6월 2일(제52군수지원단)
상징명칭 용벌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명령 체계 제5군수지원사령부
종류
역할 경상남도 지역 군수지원
단장 대령 홍광영 (학사 31기)
위치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부대가
6. 여담

[clearfix]

1. 개요

제5군수지원사령부 예하의 군수지원부대.

1986년 10월 5군지사로 예속 전환되면서 제2군수지원단으로 개칭되었으며, 그후 제52군수지원단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1]

2. 상세

경남 지역에 주둔하는 육해공군 부대에 대한 군수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로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위치 해 있으며, 군수 지원 부대인 만큼 훈련의 강도는 다른 부대보다는 높진 않지만 군수지원(급양,정비,수송,보급), 행정업무 및 작업이 주를 이룬다. 때문에 부대 내 공간의 대부분은 창고로 활용되고 있다. 후방에 위치한 지원부대이기 때문인지 전투훈련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약한 반면 업무적인 측면이 그만큼 부각되는 편. 행정병, 운전병, 정비병, 보급병, 경계병 등이 주요 보직이며, 전방 전투부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소총병은 30명정도로 운용되고 있다.

90년대 초까지 부산 1호선 연제역 앞에 본부대가 있었으며 시장 안쪽에 수송근무대가, 부산여대 옆에 정비근무대가 있었고, 현재 부산지방노동청자리에 보급근무대가 있었고 구 53사단 사단본부에 본부대 막사가 있었다. 당시엔 벽돌로 쌓아올린 구형막사 였으나 1995년 1월부터 통합 부대로 운용되어 현재의 김해시 진례면으로 이전하였다.

군지단장직은 대령이 보임된다.

3. 예하부대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52군수지원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단장
00대 조극래 예) 준장 육사 38기 제5군수지원사령관
00대 남기선 예) 준장 3사 17기 제3군수지원사령관
00대 전병민 예) 대령 단장
00대 허열 대령 육사 45기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00대 안창호 준장 육사 48기 단장, 現 제1군수지원사령부 사령관
35대 설주훈 대령 단장
36대 김소영 준장 여군 37기 前 육군본부 보급수송과장, 現 육군군수사령부 보급처장
37대 오성복 대령 육사 45기 단장, 현 국방대 소속
38대 박광수 대령 학군 00기 단장
39대 김진도 대령 3사 33기 단장[2]
40대 홍광영 대령 학사 31기 단장

4.2. 장교/부사관

4.3.


*박계원 (롯데자이언츠)

5. 기타

5.1. 근무환경

과거에는 후방 부대다운 낡은 시설을 사용하였으나, 2016년 2분기 신형 생활관 건설 및 막사 개/보수 예산이 승인되어 신형 막사(본관/별관)를 건설/개조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건설 직후에는 본부/수송/급양대가 본관을, 보급/정비/의보정대가 별관을 사용하였으나, 2021년 현재는 인원이 많은 수송대대가 별관을 전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대는 본관에서 생활한다. 2019년 기준 별관 및 본관 모두 침대식 생활관이다.

교통수단의 경우 장성군에 위치한 제51군수지원단만큼은 아니어도 대구광역시(5군지사 본부)나 대전광역시(53군지단)에 위치한 타 예하부대에 비하면 불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버스로는 김해44번[3]이나 진영-사상간 시외버스가 있고 차로 10여분 거리에 진영역이 위치해 있어 휴가 나가는 장병들은 주로 기차를 이용한다. 현재는 진영으로 휴가나 외출나가는 장병들을 위해 출타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또한 상당수 간부 및 군무원들이 부산광역시창원에서 출퇴근하는터라 출퇴근 버스를 이용해 부산이나 창원으로 나가는 경우도 있다.[4]

군수지원 부대 특성상 군무원이 많은 편에 해당한다. 병사 인원이 약 120명대이고, 간부 인원이 약 50명대인데(장교 20명, 부사관 30명), 군무원 인원이 무려 200명대에 달한다.

5.2. 부대가

6. 여담


(과거에는 전입신고후 4박5일간의 위로휴가 및 매월 외박 또는 격월 특박(2박3일)이 주어졌으나 94년경 위로휴가자
미복귀 등의 문제로 100일 후 위로유가로 바뀌었다)
[1] 원래 부산시 연제구에 위치했으나, 1995년 경남 김해 지역으로 이전하였다.[2]서경대학교 ROTC 단장[3] 하곤법 하차[4] 군무원의 경우 아예 부대 차원에서 통근버스를 운용하기도 한다. 수송대대 간부들이 직접 운행하며, 부대에서 출발하여 부산 3호선 체육공원역까지 운영한다.[5] 5군지사 본부와 시간상 차이가 크게 없어졌다.[6] 분대장 교육, 군기교육대 등.[7] 주로 사단신병교육대를 수료하고 부울경권 부대로 직배속된 인력들.[8] 2020년의 사례를 예로 들자면, 1년 내내 눈이 딱 한 번 왔다. 그나마도 바닥에 밀가루 뿌린 것 마냥 아주 얇게 깔린 게 전부였다. 그래도 수송대대도 있고 하니 제설작전을 실시하긴 했는데, 그 작전이라는 게 아침점호 대신 한 20분 정도 병사들에게 빗자루 쥐여 주고 도로를 쓸어내라고 한 것과 간부 한 명이 30분 동안 주요 도로 부분에 깔린 눈을 블로어(blower)로 불어낸 것이 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