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8:26:54
관련 문서: 체스 올림피아드#!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제10회 체스 올림피아드 10th Chess Olympiad |
|
대회기간 | 1952년 8월 9일 ~ 8월 31일 |
개최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핀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핀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헬싱키 |
참가국 | 25개국 |
대회 결과 |
금메달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
은메달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
동메달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
이전·이후 대회 |
1950년 유고슬라비아 | 1952년 핀란드 | 1954년 네덜란드 |
10회부터 참가국이 많아지면서 8회처럼 예선전과 본선전을 나눠 진행했다. 또 새로운 체스 초강국인 소련의 등장으로 매 대회마다 금메달을 휩쓸기 시작했다.
각 조마다 1~3위는 A조로 진출하고 4~6위는 B조, 나머지는 C조로 진출하는 방식이다. <rowcolor=#8f5432> 순위 | 국가 | 승점 | 비고 |
1 | | 소련 | 23½ | |
2 | | 미국 | 18 | |
3 | | 핀란드 | 17 | 개최국 |
4 | | 이스라엘 | 16 | |
5 | | 네덜란드 | 13½ | |
6 | | 폴란드 | 12½ | |
7 | | 스위스 | 7½ | |
8 | | 그리스 | 4 | |
■ A조 진출 | ■ B조 진출| ■ C조 진출 |
- 1조는 아르헨티나, 서독, 체코슬로바키아가 초반에 공동 1위를 기록하고 접전을 펼치다 아르헨티나가 계속 앞서나가면서 마무리 되었다.
- 2조는 스웨덴이 우승후보인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를 이기고 1위를 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브라질은 아쉽게 ½점 차로 B조 진출에 실패했다.
- 미국과 소련이 배정된
냉전의 조, 3조는 소련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미국이 2위를 차지했다. 핀란드는 1점 차로 아슬아슬하게 A조로 진출했고 야심차게 등장한 이스라엘이 1점 차로 아깝게 B조로 진출했다.
- A조에서 아르헨티나와 유고슬라비아가 2위 자리를 두고 접전을 벌였다. 아르헨티나가 초반에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½점 차로 역전승을 거뒀다. 미국도 초반에 앞서나가는 성적을 보여줬지만, 의외로 스웨덴과 핀란드를 상대로 높은 점수를 얻지 못하고 5등으로 마무리 되었다.
- B조 상위권에선 이스라엘도 좋은 성적을 보여줬지만 마지막 부분에 오스트리아와 경기에서 비기면서 네덜란드에게 1위 자리를 내어주게 된다.
- C조에서는 브라질이 압승했고, 모두 점수가 비슷해서 아슬아슬하게 마무리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