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3:45:57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keepall>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colcolor=#000000,#dcdcdc> 발생일 <colbgcolor=#ffffff,#1c1d1f>2007년 8월 12일
유형 조종사 과실, 기상악화, 기체 결함
발생 위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부산광역시 김해국제공항
탑승인원 승객: 74명
승무원: 5명
부상자 4명
생존자 탑승객 79명 전원 생존
기종 봉바르디에 Q400
항공사 제주항공
기체 등록번호 HL5256[1]
출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제공항
도착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부산광역시 김해국제공항
콜사인, 편명
IATA 7C502
ICAO JJA502
콜사인 JEJU AIR 502

1. 개요2. 사고 기체3. 사고 진행4. 유사 사고5.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image/001/2007/08/12/PYH2007081200370005100_P2.jpg
사고 당시의 사진. 옆에 아시아나항공보잉 737-400이 이륙하고 있다.[2]


사고 재현 애니메이션

김해서 여객기 활주로 이탈..10여명 부상(종합)

2007년 8월 12일, 제주항공 502편이 활주로를 이탈해 일부 승객이 부상을 입은 사고.

2. 사고 기체

HL5256
파일:attachment/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사고/5256.jpg
사고 1개월 전, 김포국제공항에서 촬영된 HL5256
<colbgcolor=#f5f5f5,#2d2f34> 등록번호 HL5256
제조사 드 해빌랜드
기종 봉바르디에 Q400
기령 8개월
생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캐나다}}}}}}]]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캐나다}}}}}}]]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캐나다}}}}}}]]
토론토
엔진 2 X PWC PW150A
최초 비행일
최초 인도 항공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대한민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대한민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대한민국}}}}}}]]
제주항공
제주항공 도입일 2006년 12월 27일
파일:끌려가는짐차.jpg
2006년 12월 27일~2007년 8월 12일에 김포국제공항에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HL5256[3]

사고기는 2006년 12월 27일에 도입되었다. 사고 이전인 2007년 2월 8일 제주항공 107편이라는 편명으로 오전 8시 50분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해 제주국제공항으로 가던 중 20여분 남겨둔 오전 9시 45분 제주도 상공에서 낙뢰를 맞은 사고가 일어났다.

3. 사고 진행

제주발 부산행 제주항공 502편(Q400, HL5256)이 09시 38분에 김해국제공항의 18R에 선회접근[4]으로 착륙 중 활주로를 이탈하여 활주로 옆 배수로에 랜딩 기어가 박혔다.

이 사고로 인하여 23분 동안 18R-36L 활주로가 폐쇄되었으며 승객 4명이 부상을 입었다. 기체와 날개가 일부 부서지고 프로펠러가 파손되었으며 왼쪽 랜딩 기어는 부러졌다.

당시 김해국제공항에는 강한 측풍(방향 130 13노트, 돌풍 18노트)이 불고 있었고 사고기는 유압 계통의 경고등이 비행 내내 점등되는 등 유압 계통의 상태가 썩 좋지 않았다. 이어 착륙 절차에서 더 많은 경고등이 점등되었으나 기장은 컴퓨터의 오류라고 생각하고 계속 절차를 밟았다.

터치다운 직후 조종사들은 러더가 듣지 않는 것을 발견했으나 이미 늦은 상태였다. 가벼운 기체는 바람에 활주로 좌측으로 밀려나갔으며 항공기는 활주로와 활주로 사이에 설치된 배수로[5]랜딩 기어가 빠지고 나서야 멈췄다.

건설교통부(국토교통부) 항공철도조사위원회에서 조사하였으나 러더가 작동하지 않은 이유를 밝히지는 못했다.

그 후 조사 결과 기체 결함으로 밝혀졌다. 공중에서는 러더를 차더라도 노즈 기어가 움직이면 안되었으나[6] 설계 결함으로 인해 공중에서 러더를 움직일때 노즈 기어가 같이 돌아갔다. 이로 인해 접지 시점에 노즈 기어가 정방향이 아닌 측면으로 돌아간 상태가 되어버렸고 착륙한 비행기는 노즈 기어가 돌아간 방향대로 활주로를 이탈했다.

비슷한 사례로 항공대학교에서 M-20J Moony 비행기도 공중에서 러더와 연동해 노즈기어가 돌아가서 활주로를 벗어나는 사고를 당했다.

당시 저비용 항공사들의 (준)사고가 잇따르면서[7] 승객들에게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심어 주었는데 이 사고도 그런 사고 중 하나였다. 제주항공은 결국 기령이 8개월밖에 안 된 새 비행기를 스크랩해야 했고 이 사고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터보프롭기에 대한 이미지도 나빠져서 남아 있던 Q400을 전량 매각했으며 2019년 소형 항공사인 하이에어의 등장까지 대한민국에서 터보프롭기를 사용하는 항공사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이에어 또한 오래 가지 못하고 경영악화로 폐업하게 된다.

4. 유사 사고

5. 관련 문서



[1] 당시 기령 8개월의 새 비행기였다.[2] 좌측 프로펠러를 유심히 보면 알겠지만 프로펠러 날개가 모두 부러진 상태다. 지면과 접촉하면서 파손된 것으로 보인다.[3] 지상조업 중인 앞의 여객기는 대한항공의 A300인 HL7295로 2012년에 퇴역했다.[4] 다만 서클링이 사고의 주요 원인이 아니다. 선회접근 전부터 경고등이 켜졌다.[5] 사고 원인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이 배수로는 규정에 따르면 있어서는 안 되는 곳에 있었다. 사고 이후 2009년에 복개가 완료되었다.[6] 접지 시점까지 모든 랜딩 기어는 정방향이어야 한다.[7] 불과 9개월 전에 한성항공 205편 노즈기어 파손 사고가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