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18:36:09

제이크(교육인)

엘리트오픈스쿨 School Director
Jake Lee
파일:Jake Profile 2023.jpg
<colbgcolor=#0067a3><colcolor=#fff> 출생 1974년 2월 ([age(1974-02-05)]세)
서울특별시 마포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속 엘리트오픈스쿨
학력 Yemyung Graduate School (신학 / 석사)
독학사 (영문학 / 학사)
Reinhardt University (Communications / 중퇴)
경기대학교 (금속공예학 / 중퇴)
대일외국어고등학교 (일본어과 / 6기)
한성중학교 (1989년 졸업)
성산초등학교 (1986년 졸업)
현직 엘리트오픈스쿨 스쿨 디렉터 / 상임이사 (2019~)

1. 개요2. 전반적인 생애3. 기독교인으로서의 생애4. 주요 경력5. 찬양사역 주요 경력6. 선교사역 경력7. 특기

[clearfix]

1. 개요

캘리포니아 에 위치한 Elite Open School 의 스쿨 디렉터이며, 서울 신사동에서 원격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2019년부터 명문대학교 입학, 이스포츠 프로게이머 육성, 골프/펜싱/스키/테니스 특기생들이 그들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도록 교육하는 동시에 미국 고등학교 졸업장을 취득하는 과정을 엘리트오픈스쿨에서 진행하고 있다.

2. 전반적인 생애

1974년 서울특별시 마포구에서 태어났다. 어린시절의 대부분을 마포구에서 자랐으며, 도화동 - 연남동 - 망원동 - 성산동, 이 순서로 이사를 다녔다. 1984년 한강홍수 때 살고 있던 2층집이 수해를 입어 그때 헤엄쳐서 탈출하다 생긴 피부질환이 아직도 남아있다. 한성중학교시절에는 비교적 평범한 모범생이었으나 대일외국어고등학교에 부모님의 강요로 진학한 이후부터는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모인 탓"에 성적이 잘 안나온다고 판단, 평소 취미였던 노래에 심취하여 학교 밴드생활에 더 집중했다고 한다. 고2 후반기부터 공부에 다시 신경을 쓰기 시작했지만 3학기 동안 떨어진 성적때문에 내신이 좋지 않았고, 1992년 대입 실패후 음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당시의 밴드 생활은 매우 피폐했었고, 하루에 1000원으로 버티는 생활도 오랫동안 했다고 한다. 그때 단골이었던 혜화동 둘리네 분식[https://naver.me/Gozor8H3] 에서 먹었던 한그릇에 200원이던 라면맛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고 한다. 1993년 4월에 뒤늦게 미술에 대한 재능을 발견하여 홍대입구의 신기원미술학원에서 입시미술 준비를 시작, 실기 준비 8개월만에 대학입시에 성공하여 1994년에 경기대학교 공예디자인학과에 입학했고, 금속공예를 전공하게 되었다. 1995년 말에 공익요원으로 군복무를 하면서 유학에 대한 마음이 생겼고, 부모님의 도움없이 스스로 유학준비를 한 후 1997년 미국의 조지아주로 유학길에 올랐다. 음악과 미술에 재능이 있었고, 요즘으로 말하면 크리에이터 기질이 다분했기에 방송쪽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계획으로 커뮤니케이션/저널리즘을 전공하게 되었는데, 공부하는 분야가 예측했던 것과 너무 달라서 매우 당황했다고 한다. 이 시기에 발생한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한국으로부터 학비지원이 끊기게 되었고, 학교를 다니며 수십종류의 아르바이트로 생계와 학비를 충당하는 고학생의 생활이 시작 되었다. 이 시기에 했던 직업은 마트 포장부서, 생선부, 정육부, 초밥제작, 세탁소, 꽃집, 학교 방송실, 카페 서빙, 식당 서빙, 우편물 배달, 휴대전화 판매 등이 있고, 우연찮게 인연이 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애틀란타 지부에서 현지 직원으로 채용되어서 그 이후 유학생활에 큰 도움이 된 통역관의 길을 걷게 된다. Reinhardt University를 무려 6년이나 다니면서 학부 학점을 130점 이상 취득하고도 결국 졸업을 하지 못했는데, 미국 생활이 너무 힘들었으면서도 미국에서 뭔가를 이루려면 신분문제를 해결해야 했기에 졸업을 위한 필수 학점 1~2개를 듣지 않고 다른 전공 수업을 계속 들으면서 학생신분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2005년에 재미교포 2세를 만나 결혼하면서 신분문제는 해결이 되었으나 직장 및 사업관계로 결국 졸업은 하지 못하게 되었다. 결혼 후 캘리포니아로 이사하여 4~5년간 금융관련업에 종사하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직격탄을 맞게 되었고, 한국으로 귀국하는 계기가 된다. 배우자가 UC 버클리 영문학과를 졸업했는데, 미국에 살면서 이 학교를 졸업한 덕을 거의 보지 못했다고 한다. 한국으로 귀국하면서 많은 학원과 영어유치원에서 서로 모셔가려고 해서 그제서야 졸업장이 쓸모있다고 생각했다고. 2010년부터 한국에서 다시 생활하면서 그동안 몸담았던 금융업계에 대한 환멸때문인지 유학생 시절 쌓아두었던 인맥을 통해 통번역관으로서 일을 시작했고, 그 후 배우자가 시작한 영어수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영어학원으로 변모해야만 하는 시기에 그 학원의 운영을 맡으면서 교육계에 뛰어들게 되었다. 이후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엘리트교육그룹 소속의 학원을 맡아서 운영하다가 2019년 그룹의 이사로 취임한 후 한국에 엘리트오픈스쿨의 리모트 캠퍼스 설립을 주도했다. 2019년 가을부터 이스포츠 프로게이머 지망생들을 교육하기 시작하면서 이스포츠 관련 여러가지 활동을 시작하였고, 2022년 NASEF[https://www.nasef.org/], '네이세프'라고 발음하는 미국의 학생 이스포츠 협회의 전문 교육인 과정을 수료하고 정식 Fellow가 되었다. 엘리트오픈스쿨이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는 세계의 유일무이한 이스포츠 국제 고등교육기관 이었던 탓에 거의 모든 업무와 해결해야 하는 상황들이 아무도 겪어보지 못했던 길이었기에, 엘리트오픈스쿨의 모든 직원들이 많은 고생을 했다고 한다. 5년이 지난 2024년 현재, 이스포츠 특기생들이 오전에는 학업에 매진하고 오후에는 T1 Esports Academy에서 훈련을 하는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3. 기독교인으로서의 생애

할머니가 기독교계에서는 매우 유명한 언더우드선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고, 그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이화고녀(이화여고의 옛 이름)를 졸업하고 전쟁후 리라초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으셨다고 한다. 교감선생님까지 역임을 하셨고, 공덕동에 있는 공덕감리교회에서 여성장로 직위까지 받으셨다고 한다. 이렇게 윗 세대부터 기독교 집안이었던 관계로 교회는 어려서부터 다녔지만 중학교때 선배들과의 다툼으로 인해 교회를 부모님 몰래 빠지고 만화가게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하고, 그 시기에 만화책을 통해 잡다한 지식을 많이 쌓았다고 한다. 대일외고 진학후에는 공부(?)와 음악생활로 교회는 거의 다니지 못했고, 1992년 당시 다미선교회 사건으로 뒤숭숭한 상황이 겹쳐서 신앙생활과는 담을 쌓고 살았다고 한다.

1994년 봄, 어머니의 간곡한 권유로 교회에 출석하기 시작했고, 처음 나간 교회가 동부이촌동의 온누리교회였는데, 밴드를 아직 하고 있던 음악인으로서 교회가 보유한 어마어마한 음향장비와 악기들 때문에 교회가 매우 쿨한 장소라고 여기기 시작했다고. 또 그 교회 서점에서 당시에는 일반 서점에서 찾기 힘들었던 해외 찬양 테이프들이 많이 있었는데 그 테이프들을 구매해서 듣기 시작하면서 Praise & Worship이라는 기독교 음악 분야에 푹 빠졌다고 한다. 당시 많이 들었던 음반들이 아직까지고 기독교 음악계에서 전설로 회자되는 호산나 인테그리티[https://en.wikipedia.org/wiki/Integrity_Music] 음반들이었고, 그중에서도 Don Moen, Ron Kenoly, Alvin Slaughter 등의 찬양인도자들의 스타일과 장르, 인도자들의 멘트까지 달달 외울 정도로 푹 빠져 있었다고 한다.
이런 영향으로 미국 유학을 결정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하는데, 미국 유학중의 바쁜 생활속에서도 한인교회, 백인교회, 흑인교회, 히스패닉교회 가리지 않고 다양한 교회를 다녔고, 가능한 한 그 교회들에서 찬양을 함께 했다고 한다.
찬양인도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1997년경 부터인데, 애틀란타 조지아의 기독청년연합회 (아기연)에서 찬양인도를 하면서 한국인 1.5세와 유학생들을 모아 정기모임, 찬양집회등을 개최하였으며, 사역이 가장 최고조에 이르렀을때는 4개의 교회에서 찬양인도, 드럼연주, 기타연주, 음향엔지니어, 합창단 활동까지 동시에 한 적도 있다고 한다.
애틀란타에서 사역했던 교회는 호산나교회, 새예루살렘교회, 아틀란타연합교회, 제일장로교회, Victory World Church등이 있고, 초교파 사역때는 약 40개의 교회에 방문해서 찬양집회를 인도했다고 한다.
결혼후에는 배우자가 다니던 백인 위주의 교회인 Cornerstone Church[https://www.ccanaheim.com/]로 갔는데, 당시 사업의 어려움으로 힘들었던 시기여서 찬양사역은 다 내려놓고 싶었다고 한다. 재미있게도 교회의 사모님 - 이자 목사님이셨던 - 이 아무런 배경지식없이 음향 오퍼레이션을 맡기셔서 "뭘 믿고 나한테 맡기시나?"라는 의문을 품은채로 음향 메인 오퍼레이션을 바로 다음주부터 했다고 한다. 다행히도 애틀란타 시절 매주 3차례 이상 직접 교회들의 모든 음향세팅 및 튜닝, 운영까지도 직접하면서 찬양인도까지 했던 노가다형 찬양인도자였기에 교인들이 느낄 정도로 소리가 좋아졌다고. 이후 완전히 코가 꿰어버린 형국이 되어 음향, 베이스, 기타, 드럼, 찬양인도 등으로 열심히 봉사했다. 재밌는 사실은 이 교회에 토종 한국인은 혼자뿐이었고 - 배우자도 재미교포 2세 - 그 환경 덕분인지 조금이나마 남아 있던 미국문화에 대한 부담감/거부감이 거의 다 사라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2010년에 한국에 귀국한 후에는 그 동안 쌓아왔던 내공을 바탕으로 정규 음악인들과의 교류가 잦아졌고, 오히려 기존 교회 찬양사역자들 보다는 음악계에서 활동하는 뮤지션들과 더 많이 교류를 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경우가 COMMON GROUND(커먼그라운드)인데, 한국 최고의 펑크밴드로 유명한 이 친구들이 알고보면 대부분 기독교인이라는 것. 밴드의 리더인 Jay Kim, 트럼펫 주자인 DK Slow, 기타리스트인 Jane과 오랫동안 교류하면서 찬양팀으로도 같이 정기적으로 찬양을 하고 있다.
2015년에는 Jane이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게된 계기 중 하나인 폴 잭슨 주니어와의 듀엣 음원 녹음에 스튜디오 헌팅 및 소통을 함께 도와주었고, 음반 제작 현장에서 카메라맨(?)으로도 함께 했다. 꽤 오랫동안 커먼그라운드의 멤버들과 목요일마다 찬양집회를 해 왔는데, 코로나 발생후 zoom으로 집회가 전환되면서 zoom의 당시 한계였던 음질때문에 드럼, 베이스, 트럼펫, 일렉등이 빠지고 피아노와 퍼커션, 어쿠스틱 기타로 집회를 진행하다가 결국 어쿠스틱 기타 하나로 찬양집회를 하게되었고, 2024년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한국 귀국후에는 기장교단의 교회에서 찬양인도를 쭉 하고 있었는데 2017년에 미국에서 귀국한 친구 목사의 권유로 약 3년간 서초동에 있는 예수소망교회(백석)에서 찬양인도를 하였고, 코로나로 인해 교회가 해체된 후 온라인으로 예배를 드리다가 커먼그라운드의 트럼펫 주자가 연결해 준 강남구의 한 교회에서 찬양인도를 2022년 9월까지 하였고, 그 이후 현재 출석중인 용인제일교회[http://www.jesuslove.or.kr/main/main.html]로 옮겨서 매우 평안하게 신앙생활을 하고 있다.
아무래도 오랜 경력때문인지 용인쪽으로 교회를 옮기면서 용인제일교회에 가게 된 이유가 무대위의 LED 스크린 사이즈 - 매우 거대하다 - 와 D&B Audiotek 의 스피커, SSL사의 디지털 콘솔이라고 한다. 물론 담임목사님 말씀도 매우 좋다.
교회 출석한지 2년이 되어가고는 있지만 찬양사역쪽은 멈춘 상태이고, 학교 업무가 바빠진 탓과 자녀 교육때문에 당분간 쉴 예정.

번외로, 기존에 출석하던 예수소망교회 담임목사님의 부모님이 설립한 선교재단이 수행하고 있는 캄보디아 선교를 찬양으로 돕고있다.

4. 주요 경력

5. 찬양사역 주요 경력

6. 선교사역 경력

7. 특기

이전 세대 어른들이 매우 불호하는 팔방미인 스타일이라 90년대 이후에 태어났다면 매우 좋았을 것 같다는 푸념을 많이 하는 편이다. 요즘 20대 스타트업 대표나 혁신 기업가들에게 많이 요구되는 능력이 현대의 기술을 잘 활용하여 다방면에 능숙하고 임기응변이 빠르며, 여러 분야를 통합하여 사고하는 Critical Thinking을 두루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특기를 나열해 보면

[https://naver.me/Gozor8H3] [https://www.nasef.org/] [https://en.wikipedia.org/wiki/Integrity_Music] [https://www.ccanaheim.com/] [http://www.jesuslove.or.kr/main/main.html] [6] https://techdata-ps.com/m21_view.php?listType=1&c_code=008001001&idx=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