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여수캠퍼스 | 출신 인물 | |||
교육기관 | ||||
사범대학부설중학교 |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643E>
}}}}}}}}} ||부속병원
||전남대학교병원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
전남대학교치과병원 | 전남대학교어린이병원 |
1.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1951년 10월 6일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52년 1월 1일 광주농과대학, 사립 대성대학, 목포상과대학, 광주의과대학을 묶어서 발족하게 되었다. 초대 총장으로는 최상채 박사가 취임하였다.
1960년대에는 국립대학 정비조치에 따라 상대나 농대가 없어지고 현재 광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이었던 광주사범대학을 임시로 병설화 시키기도 했으나 시간이 지나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의 시작이며, 중심에 섰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최초 시위가 있었던 곳이 전남대 입구이고, 계엄군들은 교내에 주둔하며 사람들을 무차별로 잡아와서 마구 구타하기도 했으며 그 과정에서 맞아 죽은 사람도 여럿이다. 그래서 과거의 대학본부는 현재 5.18연구소로 쓰이고 있으며, 정문은 5.18 사적지 목록 1호, 전남대학교병원은 9호이다.
5.18 민주화운동을 비롯해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전남대 출신 열사 20명을 기리는 용봉열사 추모의 벽이 2020년 교내에 조성되었다.
2. 역대 총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43E, #006a33, #006a33, #00643E);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2대 최상채 | 제3대 박하욱 | 제4대 김준보 | 제5대 박하욱 | 제6-7대 유기춘 |
제8-9대 민준식 | 제10대 오항기 | 제11대 정득규 | 제12대 김영인 | 제13대 오병문 | |
제14대 최한선 | 제15대 노성만 | 제16대 정석종 | 제17대 강정채 | 제18대 김윤수 | |
제19대 지병문 | 제20대 정병석 | 제21대 정성택 | 제22대 이근배 |
- 최상채 (1952~1960)
- 박하욱 (1960~1962/1965~1969)
- 김준보 (1962~1965)
- 유기춘 (1969~1974)
- 민준식 (1974~1980)
- 오항기 (1980~1984)
- 정득규 (1984)
- 김영인 (1984~1988)
- 오병문[1] (1988~1992)
- 최한선 (1992~1996)
- 노성만 (1996~2000)
- 정석종 (2000~2004)
- 강정채 (2004~2008)
- 김윤수 (2008~2012)
- 송경안 직무대행 (2012)
- 지병문 (2012~2016)
- 이용복 직무대행 (2016~2017)
- 정병석 (2017~2021 )
- 정성택 (2021~2025)
- 김병인 직무대행 (2025)
- 이근배 (2025~)
[1] 김영삼 정부 초기 교육부장관 역임. 2010년 6월 21일 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