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 Japan Rugby League One | |||
| |||
<colbgcolor=#000><colcolor=red> 기간 | 2024.12.21 ~ 2025.6.1 | ||
팀 수 | 디비전 1 - 12개 | ||
디비전 2 - 8개 | |||
디비전 3 - 6개 | |||
2023-24 | 2025-26 |
[clearfix]
1. 개요
일본 1부 럭비 리그의 22번째 시즌이자 재팬 럭비 리그 원의 4번째 시즌.하프 타임이 기존 12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난다. 승격/강등전 대상이 3팀에서 2팀으로 축소된다.
2. 디비전 1
<colbgcolor=#000> Division 1 | |
<colcolor=red> 우승 | |
준우승 | |
리그 1위 | |
강등 | |
최우수 선수 |
포스트시즌 또한 진출권이 상위 4팀에서 6팀으로 확장된다. TOP 14처럼 상위 2팀은 4강에 자동 진출하고, 3~6위팀은 4강 진출을 위해 준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한다.
이번 시즌엔 슈퍼 럭비의 뉴질랜드 팀을 맞이하는 크로스보더 럭비가 열리지 않는다.
2.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 경기장 | 감독 | 주장 | 지난 시즌 |
컨버런스 A | ||||
BL 도쿄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시라나미 스타디움 삿포로 돔 | 2위/우승 | ||
요코하마 E | 닛산 스타디움 NHK 스프링 미츠자와 경기장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오이타 스포츠공원 종합경기장 | 4위 | ||
고베 S | 노에비아 스타디움 고베 고베 유니버시아드 기념 경기장 하나조노 럭비장 | 5위 | ||
시즈오카 BR | 야마하 스타디움 | 8위 | ||
사가미하라 DB | 사가미하라 기온 스타디움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타케비시 스타디움 교토 나가사키시 종합 운동 공원 | 9위 | ||
우라야스 DR |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J빌리지 스타디움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미야기 스타디움 | D2 1위 | ||
컨버런스 B | ||||
사이타마 WK | 구마가야 럭비장 | 1위/준우승 | ||
도쿄 SG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 하나조노 럭비장 | 3위 | ||
S 도쿄 베이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에도가와구 육상경기장 하나조노 럭비장 | 6위 | ||
토요타 V | 기후 나가라가와 스타디움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기타큐슈 토요타 스타디움 하나조노 럭비장 | 7위 | ||
BR 도쿄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코마자와 올림픽 공원 육상 경기장 J빌리지 스타디움 유메노시마 스타디움 | 10위 | ||
미에 H | 미에현영 스즈카 스포츠 가든 | 11위 |
2.2. 정규시즌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사이타마 WK | 6승 | 1무 | 265/152 (+113) | 30점 | |
BL 도쿄 | 5승 | 1무 | 1패 | 234/143 (+91) | 25점 |
S 도쿄 베이 | 5승 | 1무 | 1패 | 208/158 (+50) | 24점 |
시즈오카 BR | 5승 | 2패 | 232/204 (+28) | 21점 | |
요코하마 E | 4승 | 3패 | 225/182 (+43) | 20점 | |
고베 S | 3승 | 4패 | 224/167 (+57) | 18점 | |
도쿄 SG | 3승 | 2무 | 2패 | 191/184 (+7) | 17점 |
사가미하라 DB | 3승 | 4패 | 184/273 (-89) | 13점 | |
토요타 V | 1승 | 1무 | 5패 | 188/205 (-17) | 11점 |
미에 H | 2승 | 5패 | 152/211 (-59) | 10점 | |
BR 도쿄 | 1승 | 6패 | 145/228 (-83) | 5점 | |
우라야스 DR | 1승 | 6패 | 143/284 (-141) | 4점 |
플레이오프
강등전
2.2.1. 라운드별 순위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red>||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2.2.2. 클럽별 요약
<rowcolor=#000> 홈 경기 | 원정 경기 |
2.3. 플레이오프
3. 디비전 2
<colbgcolor=#000> Division 2 | |
<colcolor=red> 우승 | |
준우승 | |
승격 | |
강등 | |
최우수 선수 |
3.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 경기장 | 감독 | 주장 | 지난 시즌 |
하나조노 L | 히가시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 | D1 12위 | ||
GR 히가시카츠 | 가시와노하 스타디움 | 2위 | ||
S 아이치 | 파로마 미즈호 스타디움 | 3위 | ||
RH 오사카 | 요도코 사쿠라 스타디움 | 4위 | ||
규슈 KV |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 5위 | ||
가마이시 SW | 가마이시 우노스마이 기념 경기장 | 6위 | ||
히노 RD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 D3 1위 | ||
고토 BS | 고토구 유메노시마 육상경기장 | D3 2위 |
3.2. 정규시즌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하나조노 L | |||||
GR 히가시카츠 | |||||
S 아이치 | |||||
RH 오사카 | |||||
규슈 KV | |||||
가마이시 SW | |||||
히노 RD | |||||
고토 BS |
4. 디비전 3
<colbgcolor=#000> Division 3 | |
<colcolor=red> 우승 | |
준우승 | |
승격 | |
최우수 선수 |
4.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 경기장 | 감독 | 주장 | 지난 시즌 |
WG 아키시마 | 도쿄 국립경기장 | 3위 | ||
SA 히로시마 |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 4위 | ||
주코쿠 RR |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 5위 | ||
LR 후쿠오카 | 쿠루메 종합 스포츠 센터 | 신규 | ||
사야마 RG | 세콤 럭비 필드 | 신규 | ||
L 토다 | 야쿠르트 토다 그라운드 | 신규 |
4.2. 정규시즌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WG 아키시마 | |||||
SA 히로시마 | |||||
주고쿠 RR | |||||
LR 후쿠오카 | |||||
사야마 RG | |||||
L 토다 |
승급
승급전
5. 디비전 1/2 승강전
승강전 1차전은 하위 팀의 홈에서, 2차전은 상위 팀의 홈에서 열린다.6. 디비전 2/3 승강전
승강전 1차전은 하위 팀의 홈에서, 2차전은 상위 팀의 홈에서 열린다.이번 시즌부터 디비전 2/3 승강전에도 TMO가 도입된다.
7. 상훈
- 페어플레이 팀[1]
- 신인상
- 최우수 심판
- 드림팀
8. 통계
- 총 경기
- 총 관중
- 최다 득점
- 최다 트라이
9. 기타
[1] 카드를 가장 적게 받은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