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20:04:08

재팬 럭비 리그 원/2024-25 시즌

2024-25 Japan Rugby League One
파일:재팬 럭비 리그 원 로고.svg
<colbgcolor=#000><colcolor=red> 기간 2024.12.00 ~ 2025.5.00
팀 수 디비전 1 - 12개
디비전 2 - 8개
디비전 3 - 6개
2023-24 2025-26

1. 개요2. 디비전 1
2.1. 참가 구단2.2. 정규시즌2.3. 플레이오프
3. 디비전 2
3.1. 참가 구단3.2. 정규시즌
4. 디비전 3
4.1. 참가 구단4.2. 정규시즌
5. 디비전 1/2 승강전6. 디비전 2/3 승강전7. 상훈8. 통계9.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 1부 럭비 리그의 22번째 시즌이자 재팬 럭비 리그 원의 4번째 시즌.

2. 디비전 1

<colbgcolor=#000> Division 1
<colcolor=red> 우승
준우승
리그 1위
강등
최우수 선수
12개팀을 지난 시즌 성적에 따라 균일하게 컨퍼런스 A,B로 구분한다. 이번 시즌부터 팀당 경기 수가 16회에서 18회로 늘어났다.

2.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경기장 감독 주장 지난 시즌
BL 도쿄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토드 블래커더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이클 리치 2위/우승
사이타마 WK 구마가야 럭비장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로비 딘스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테 아츠시 1위/준우승
도쿄 SG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파일:일본 국기.svg 다나카 스미케 파일:일본 국기.svg 호리코시 야스스케 3위
요코하마 E 닛파츠 미츠자와 구기장 파일:일본 국기.svg 사와키 케이스케 파일:일본 국기.svg 카지무라 유스케 4위
고베 S 고베 유니버시아드 기념 운동장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이브 레니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로디 레탈릭 5위
S 도쿄 베이 에도가와구 육상경기장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프란스 루데커 파일:일본 국기.svg 다치카와 리도 6위
도요타 V 도요타 스타디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벤 헤링 파일:일본 국기.svg 히메노 카즈키
파일:일본 국기.svg 모노 카이토
7위
시즈오카 BR 야마하 스타디움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이 유이치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콰가 스미스 8위
사가미하라 DB 사가미하라 기온 스타디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글렌 딜레이니 파일:일본 국기.svg 이와무라 마타 9위
BR 도쿄 코마자와 올림픽 공원 육상 경기장 파일:호주 국기.svg 피터 휴왓 파일:일본 국기.svg 타케이 히나타 10위
미에 H 미에현영 스즈카 스포츠 가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키어런 크롤리 파일:일본 국기.svg 후루타 료 11위
우라야스 DR 코마자와 올림픽 공원 육상 경기장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요한 아커만 파일:일본 국기.svg 이이누마 렌 D2 1위

2.2. 정규시즌

플레이오프
강등전


<rowcolor=#fff> 구단 득실 승점
사이타마 WK
BL 도쿄
도쿄 SG
요코하마 E
고베 S
S 도쿄 베이
도요타 V
시즈오카 BR
사가미하라 DB
BR 도쿄
미에 H
우라야스 DR

2.3. 플레이오프

3. 디비전 2

<colbgcolor=#000> Division 2
<colcolor=red> 우승
준우승
승격
강등
최우수 선수
지난 시즌 6팀에서 8팀으로 확장됐다. 하나조노가 디비전 1에서 내려와 우라야스와 자리를 바꿨고, 디비전 3에서 히노와 고토가 자동 승격했다.

3.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경기장 감독 주장 지난 시즌
하나조노 L 히가시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 파일:일본 국기.svg 무나카 아키고 파일:일본 국기.svg 노나카 쇼헤이 D1 12위
GR 히가시카츠 가시와노하 스타디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웨인 피박 파일:일본 국기.svg 로마노 레메키 2위
S 아이치 파로마 미즈호 스타디움 파일:일본 국기.svg 도쿠노 요이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가스켈
파일:일본 국기.svg 김륭생
3위
RH 오사카 요도코 사쿠라 스타디움 파일:호주 국기.svg 맷 코베인 파일:일본 국기.svg 스기시타 유키 4위
규슈 KV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카미 류 히로시 파일:일본 국기.svg 알렉스 워커 5위
가마이시 SW 가마이시 우노스마이 기념 경기장 파일:일본 국기.svg 스다 야스오 파일:일본 국기.svg 오노 코다이 6위
히노 RD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파일:일본 국기.svg 소노다 유우지 파일:일본 국기.svg 카사하라 유타 D3 1위
고토 BS 고토구 유메노시마 육상경기장 파일:일본 국기.svg 니키 게이유 파일:일본 국기.svg 시라코 유타로 D3 2위

3.2. 정규시즌

<rowcolor=#fff> 구단 득실 승점
하나조노 L
GR 히가시카츠
S 아이치
RH 오사카
규슈 KV
가마이시 SW
히노 RD
고토 BS

4. 디비전 3

<colbgcolor=#000> Division 3
<colcolor=red> 우승
준우승
승격
최우수 선수
지난 시즌 5팀에서 6팀으로 확장되었다. 2팀은 디비전 2로 올라가고, 지역 리그에서 신규 참가를 희망하는 세 팀을 선발하여 편입했다.

4.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경기장 감독 주장 지난 시즌
WG 아키시마 도쿄 국립경기장 파일:호주 국기.svg 위클리프 팔루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이 요스케 3위
SA 히로시마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이 토모아키 파일:일본 국기.svg 사키구치 긴지로 4위
주코쿠 RR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파일:일본 국기.svg 이와토 히로카즈 파일:일본 국기.svg 니시카와 타로
파일:일본 국기.svg 도리 마코토
5위
르리로 후쿠오카 쿠루메 종합 스포츠 센터 파일:일본 국기.svg 고토 유타 파일:일본 국기.svg 니시무라 마쓰타
파일:일본 국기.svg 야쓰다 나카키
신규
세콤 러거츠 세콤 럭비 필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스콧 피어싱 파일:일본 국기.svg 이이다 미츠키 신규
야쿠르트 레빈스 야쿠르트 도다 그라운드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야스 유타로 파일:일본 국기.svg 오가와 마사시 신규

4.2. 정규시즌

<rowcolor=#fff> 구단 득실 승점
WG 아키시마
SA 히로시마
주고쿠 RR
르리로 후쿠오카
세콤 러거츠
야쿠르트 레빈스
승급
승급전

5. 디비전 1/2 승강전

승강전 1차전은 하위 팀의 홈에서, 2차전은 상위 팀의 홈에서 열린다.

6. 디비전 2/3 승강전

승강전 1차전은 하위 팀의 홈에서, 2차전은 상위 팀의 홈에서 열린다.

7. 상훈

8. 통계

9. 기타



[1] 카드를 가장 적게 받은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