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2 14:50:58

장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단어를 발음할 때 지속부가 긴 음}}}에 대한 내용은 [[장단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장단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장단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장단음의 표기}}}에 대한 내용은 [[장음 표기]]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장음 표기#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장음 표기#|]]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뉴럴 클라우드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장음(뉴럴 클라우드)]]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장음(뉴럴 클라우드)#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장음(뉴럴 클라우드)#|]]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단어를 발음할 때 지속부가 긴 음: }}}[[장단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장단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장단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장단음의 표기: }}}[[장음 표기]]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장음 표기#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장음 표기#|]]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뉴럴 클라우드의 등장인물: }}}[[장음(뉴럴 클라우드)]]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장음(뉴럴 클라우드)#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장음(뉴럴 클라우드)#|]]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정사 삼국지3. 삼국지연의4. 기타 창작물

1. 개요

張音

생몰년도 미상

후한 말의 인물.

2. 정사 삼국지

태상 겸 어사대부로 220년에 조비헌제에게 강제로 선양을 받으려 했는데, 헌제가 신하들을 불러 고묘에 제사를 올린 후에 장음은 절을 받아 천자의 옥새, 수대를 조비에게 바쳐 황제의 지위를 양위하고 조서의 내용을 읽었다. 그러자 조비는 형식상으로 양위받는 것을 사양해 서로 오가는 것을 서너번 했다가 조비가 명을 받았으며, 수선단을 설치하고 조비는 좋은 날을 선택해 황제에 즉위하면서 한나라는 멸망했다.

혜동은 각 기록에 따라 조비가 황제에 즉위한 것이 28일 또는 29일로 나온 것에 대해 지적했는데, 양위 과정에서 유이가 을미일에 제단, 제사터가 완성될 것이라고 상소를 올리거나 환계 등이 신미일에 올라 천명을 받을 것이라고 상소를 올린 부분을 이야기했다. 을미일인 17일부터 29일에 이르면 신미일로 후한서 헌제기, 삼국지 문제기에서 13일에 양위 조서를 받은 것은 틀린 것이며, 장음이 왕래하면서 사양한 과정을 생략해 어긋나게 된 것이라고 했다.

3. 삼국지연의

고묘사로 헌제의 명을 받아 절을 받아 조비에게 옥새를 바쳤다가 사양하자 조비에게 돌려주는 것은 동일하게 나오는데, 실제로는 이 시대에 고묘사가 아닌 고묘령이라는 관직이 있었다.

4. 기타 창작물

드라마 대군사 사마의에서는 천자의 조서를 조비에게 전하러 오면서 조서를 읽다가 조비가 읽는 것을 중지하게 하면서 천자의 뜻이 무엇인지 묻자 천자가 선양하려는 것을 알려주며, 조비가 거부하자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이것은 천자의 뜻이라 하자 조비가 거절하면서 물러가게 하자 물러난다.

조비가 3번째로 거절하면서 헌제가 당황하면서 자신이 직접 초현으로 가서 전하겠다는 뜻을 조비에게 전하라고 하자 장음은 폐하께서 직접 가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면서 당황해하자 헌제의 재촉에 조비에게 헌제의 뜻을 전하러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