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8:50:38

버스터 포지 상

자니 벤치 상에서 넘어옴

1. 개요2. 수많은 실패 사례3. 역대 수상자


Buster Posey Award

1. 개요

대학야구 최고의 포수에게 수여되는 상. 정식 명칭은 버스터 포지 전미 대학 야구 올해의 포수(Buster Posey National Collegiate Catcher of the Year)로, 간단히 버스터 포지 상(Buster Posey Award)로 주로 부른다. 2000년부터 시상을 시작했으며, 처음 시상할 당시 명칭은 현대야구 역사에 남을 전설적인 포수 자니 벤치의 이름을 따 자니 벤치 상이었다. 그러다가 2019년부터 대학 야구 역사상 최고의 포수 중 한 명이자, 자니 벤치 상 수상자 가운데 가장 위대한 선수인 버스터 포지의 활약을 기리고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기사

2. 수많은 실패 사례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예로부터 자니 벤치 상 수상자들의 미래는 그다지 잘 풀리지 않기로 유명했다. 현역 시절 메이저 리그의 대표적인 얼굴마담이었던 버스터 포지를 제외하면 빅 리그에 주전급으로 자리잡은 선수는 2024년 기준으로 애들리 러치맨이 유일하며, 그나마 커트 스즈키, 마이크 주니노 정도가 오래 주전 포수로써 뛰었던 선수이다. 빅 리그에서 잠깐이라도 주전을 해보거나 백업으로라도 몇 년 붙어있던 케이스라고 해도 켈리 쇼팩, 제프 클레먼트, 브라이언 홀러데이, 개럿 스텁스 정도가 끝이다.[1] 아직 경력이 짧은 유망주인 매슈 넬슨은 논외.

이렇게 역대 수상자들의 말로가 그리 좋지 않은 것은 포수라는 포지션의 특성을 들 수 있다. 수비가 강조되며 막대한 체력 소모로 인해 상대적으로 타격 재능을 키우는 데 애로사항이 있는 포지션에 있는 관계로 대부분의 수상자들은 저학년 시절에는 평범한 수준의 타격 성적을 기록하는 데 그치다가 3학년/졸업반 시절에 대폭발하여 수상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이 대부분의 경우 타격 재능의 발현이 아닌 쌓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성적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

경험이 쌓이는 게 아마추어 레벨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는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페드로 알바레즈와 같은 기간에 뛰었던 도미닉 데라오사(Dominic de la Osa)의 성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2학년 시절 데라오사는 9홈런 46타점에 .319/.363/.490의 타격 라인을 기록했다. 그리고 3학년이 된 데 라 오사는 20홈런 62타점 .378/.452/.727의 타격 라인을 기록했다. 이것만으로는 예가 부족하다면 맷 러포타(Matt LaPorta)의 경우도 들 수 있다. 3학년 때까지 .328이 커리어 하이였던 러포타는 4학년 시즌 .402를 기록했고, 매년 볼넷보다 많던 삼진도 50:16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찍었다. 아마추어 무대에서 경험이 쌓인 베테랑의 위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2]

수상자들이 3학년/졸업반 시절에 수상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들의 성적이 진정한 타격 재능의 발현보다는 쌓인 경험에 보다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결국 프로 무대에서 공격력이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대부분의 경우 마이너리그 베테랑이 되어 쓸쓸하게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아마 야구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하지만, 정작 상을 받은 선수들이 프로에서는 흥하지 못하고 사라진다는 점에서 국내 팬덤에서는 이영민 타격상과 비교하기도 한다.

3. 역대 수상자

역대 버스터 포지 상 수상자
<rowcolor=#000> 회차 연도 이름 소속 학년 주요 성적 지명 결과 MLB 경력
1 2000 브래드 크레스
Brad Cresse
루이지애나 주립대 69G .388/.490/.795
30HR 106RBI
5R
ARI
없음
2 2001 켈리 쇼팩
Kelly Shoppach
베일러대 3 61G .397/.463/.654
12HR 69RBI
2R
BOS
2005~2013
통산 572G bWAR 8.3
3 2002 제러미 브라운
Jeremy Brown
앨라배마대 66G .320/.493/.566
11HR 64RBI
1R 35th
OAK
2006
통산 5G
4 2003 라이언 가코
Ryan Garko
스탠퍼드대 3 69G .402/.482/.703
18HR 92RBI
3R
CLE
2005~2010
통산 463G bWAR 3.6
5 2004 커트 스즈키
Kurt Suzuki
캘리포니아 주립대
풀러턴 캠퍼스
3 69G .413/.511/.702
16HR 87RBI
2R
OAK
2007~
통산 1584G 1396H 139HR bWAR 19.9
1x All-Star
1x World Series
6 2005 제프 클레먼트
Jeff Clement
서던캘리포니아대 3 63G .348/.472/.617
15HR 54RBI
1R 3th
SEA
2007~2012
통산 152G bWAR -1.2
7 2006 제이크 스미스
Jake Smith
이스트캐롤라이나대 54G .344/.371/.606
13HR 65RBI
21R
OAK
없음
8 2007 에드 이즐리
Ed Easley
미시시피 주립대 3 60G .358/.???[3]/.572
12HR 63RBI
1R 61th
ARI
2015
통산 4G
9 2008 버스터 포지
Buster Posey
플로리다 주립대 3 68G .463/.566/.879
26HR 93RBI
1R 5th
SFG
2009~2021
통산 1371G 1500H 158HR bWAR 44.9
2012 MVP
7x All-Star
3x Worid Series
1x Gold Glove
5x Silver Slugger
10 2009 J.T. 와이즈
J.T. Wise
오클라호마대 61G .359/.419/.665
17HR 62RBI
5R
LAD
없음
11 2010 브라이언 홀러데이
Bryan Holaday
텍사스크리스천대 68G .355/.434/.631
17HR 53RBI
6R
DET
2012~
통산 301G bWAR 0.0
12 2011 제이크 라워리
Jake Lowery
제임스매디슨대 3 61G .359/.442/.797
24HR 91RBI
4R
CLE
없음
13 2012 마이크 주니노
Mike Zunino
플로리다대 3 66G .322/.394/.669
19HR 67RBI
1R 3th
SEA
2013~
통산 814G 141HR bWAR 10.6
1x All-Star
14 2013 스튜어트 터너
Stuart Turner
미시시피대 3 .374/.429/.518
5HR 51RBI
3R
MIN
2017
통산 37G bWAR -1.2
15 2014 맥스 펜터코스트
Max Pentecost
케네소 주립대 3 .422/.475/.627
9HR 61RBI
1R 11th
TOR
없음
16 2015 개럿 스텁스
Garrett Stubbs
서던캘리포니아대 .346/.435/.434
1HR 25RBI 20SB
8R
HOU
2019~
통산 51G bWAR -0.3
17 2016 잭 콜린스
Zack Collins
마이애미대 3 .363/.544/.668
16HR 59RBI
1R 10th
CWS
2019~
통산 114G bWAR -1.0
18 2017 맷 와틀리
Matt Whatley
오럴로버츠대 3 .302/.446/.509
11HR 49RBI
3R
TEX
없음
19 2018 조이 바트
Joey Bart
조지아 공대 3 .359/.471/.632
16HR 38RBI
1R 2th
SFG
2020~
통산 35G bWAR 0.3
상명 변경 (자니 벤치 상 → 버스터 포지 상)
20 2019 애들리 러치맨
Adley Rutschman
오리건 주립대 3 .411/.575/.751
17HR 58RBI
1R 1th
BAL
2022~
통산 267G bWAR 9.6
1x All-Star
1x Silver Slugger
- 2020 미시상
21 2021 매슈 넬슨
Matheu Nelson
플로리다 주립대 3 CB-A
CIN
없음

[1] 라이언 가코도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긴 한데, 가코는 메이저에서는 포수를 포기하고 1루수로만 나선지라 좀 애매하다.[2] 러포타는 이러한 활약으로 대학야구 탑 유망주로 꼽히고 2007년 드래프트에서 전체 7번이라는 높은 순위로 지명되었으며, CC 사바시아 트레이드 때 클리블랜드로 건너간 후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미국 대표로 선발되기도 했다. 그러나 클리블랜드에서 그렇게 밀어줬음에도 한계를 드러내며 포텐을 터뜨리지 못하고 2012년을 끝으로 메이저 리그에 복귀하지 못했다.[3] 희생번트/사구 기록이 완전하지 않아 불확실하다.